• 제목/요약/키워드: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33초

혈관내막 성장인자에 의해 유도된 내막세포 분화에 대한 정맥용 면역글로불린과 메틸프레드니솔론의 효과 (Inhibi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induced Endothelial Cell Differentiation by Intravenous Immunoglobulin and Methylprednisolone)

  • 최현아;하경화;윤종서;이윤;이준성;한지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86-893
    • /
    • 2005
  • 목 적 : 가와사키병은 어린 소아에서 전신성 혈관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가와사키병이 발병한 경우 여러 혈관 성장인자들의 분비가 촉진되어 내막층의 증식과 신생 혈관 생성작용이 진행되면서 관상동맥이 재구성된다. 수년간 가와사키병의 치료제로 IVIG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사용되었으나 그 치료기전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이런 IVIG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가와사키병의 관상동맥합병증을 감소시키는데 어떠한 기전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Matrigel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내막세포 분화에 대한 IVIG와 methylprednisolone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Matrigel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VEGF에 의해 유도된 내막세포 분화에 대한 IVIG와 methylprednisolone의 효과를 보고자 VEGF, VEGF와 IVIG, VEGF와 VEGF antibody, VEGF와 methylprednisolone, VEGF, IVIG와 methylprednisolone을 각각 넣어주고, HUVECs를 18시간 동안 배양 후 튜브의 총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 IVIG의 농도를 25 mg/mL, 그리고 40 mg/mL로 증량하였을 경우 IVIG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각각 유의한 세포수(HUVECs)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P<0.001), 40 mg/mL를 처리한 경우가 25 mg/mL를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수 감소 효과가 더 뚜렷하였다(P<0.05). 세포배양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는 25 mg/mL과 40 mg/mL에서 배양 후 24시간과 48시간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01). 2) VEGF 20 ng/mL를 처리한 군에 IVIG 40 mg/mL 또는 여러 농도의 methylprednisolone($10^{-12}M$, $10^{-9}M$ or $10^{-6}M$)을 처치해 주었을 때 튜브 형성이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P<0.05), methylprednisolone의 경우 그 억제 정도가 농도에 비례하여 일어났으나 IVIG 투여시 보다는 억제 효과가 약하였다. 한편, IVIG와 methylprednisolone와 병합투여한 경우는 methylprednisolone 농도에 상관없이 모두 튜브 형성을 잘 억제하였으며(P<0.001), IVIG만 단독 투여한 것과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VEGF가 HUVECs의 분화를 유도하고 분화된 내막세포의 맥관 형성이 IVIG와 methylprednisolone에 의해 저해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가와사키병의 관상동맥합병증이 생기는 기전 중 VEGF와 내막세포의 분화로 인해 일어나는 관상동맥의 재구성을 IVIG와 methylprednisolone이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치료 기전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다.

상추 추출물(Lactuca sativa L.)의 혈관내피세포에서 항염증 작용과 고지방 식이 생쥐에서 혈중 지질농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 (Anti-inflammatory Effect of Lactuca sativa L. Extract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and Improvement of Lipid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Diet)

  • 황보전;장경옥;정하영;박종화;이태훈;김지영;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98-100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추 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UVEC을 이용한 in vitro 실험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상추 추출물은 HUVEC에서 TNF-${\alpha}$에 의해 증가되는 세포접착단백질 ICAM-1, VCAM-1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TNF-${\alpha}$에 의해 촉진되는 HUVEC와 단핵구 세포의 부착을 감소시켰다. 또한 상추 추출물은 TNF-${\alpha}$에 의해 증가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8 및 동맥경화 유발 케모카인 MCP-1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물모델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 및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상추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혈중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경우 혈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감소하였고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경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경우 감소하였다. 혈청의 동맥경화지수 및 심혈관지수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정상 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상추 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혈관협착을 방지할 수 있고 혈중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를 보여 혈액순환개선 및 동맥경화,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혈관이식술 후 내막과다증식에 대한 Epigallocatechin-3-Gallate의 효과 (The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Intimal Hyperplasia after Vascular Grafting)

  • 박한기;송석원;이미희;박종철;주현철;장병철;박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256-263
    • /
    • 2007
  • 배경: 혈관내막과다증식은 혈관평활근세포가 내막에서 과다증식하여 나타나며,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EGCG는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다른 농도의 EGCG를 포함한 배양 배지에서 인간제대정 맥내피세포(HUVEC)와 쥐대동맥평활근세포(RASMC)를 배양하고, 세포증식과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20마리의 개의 양측 경동맥에 자가경정맥을 이식하였으며, 실험군(n=10)에 대해서는 정맥도관을 이식 전 30분간 EGCG용액에 보관하였으며, 이식 후 300mM의 EGCG를 혈관주위에 도포하였다. 6주 후에 경정맥이식편의 내막과 중간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내피세포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은 EGCG에 의해 억제되었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성은 EGCG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내피세포의 이동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물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EGCG군에서 내막의 두께가 얇았으며(p<0.05), 중간막의 두께는 두 군간에 차이가 얼었고, 내막/중간막의 두께비는 EGCG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p<0.05). 결론: EGCG는 혈관수술 후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EGCG는 혈관내막과다증식을 예방하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돌단풍(Aceriphyllum rossii)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의 항암활성 (Anti-cancer Activity of Flavonoids from Aceriphyllum rossii)

  • 안은미;한재택;권병목;김성훈;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309-315
    • /
    • 2008
  • 돌단풍 지상부를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 중 EtOAc 및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stragalin (1), kaempferol 3-O-${\alpha}$-L-rhamnopyranosyl (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2), rutin(3), kaempferol 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4)-${\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4), quercetin 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4)-${\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5)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FPTase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화합물 3(rutin)은 rat H-ras 세포주의 생장과 bFGF로 유도시킨 HUVECs의 cell migration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추출복합발효물(MP119)이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카드뮴 독성에 대한 효과 (Effect of Phyto-Extract Fermented Mixture (MP119) on the Sexual Functions and on the Toxicities of Cadmium)

  • 장영선;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24-1731
    • /
    • 2009
  • 마카, 홍삼, 남가새 추출물을 일정한 무게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식물추출복합발효물(MP119)이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과 PDE(phosphodiester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통해 혈액순환부진 개선 및 cGMP 농도에 의한 발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MP119의 AC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IC_{50}$값이 241.3${\pm}$35.5 ppm, PD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IC_{50}$값이 372.2${\pm}$33.8 ppm으로 나타나 혈관확장으로 인한 혈류량 증가 및 cGMP농도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P119는 마우스 정소세포인 TM3 cell에 유의성 있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TM3 cell에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세포배양액으로부터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대 20.11% 증가한 testosterone 농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HUVEC에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NO생산량이 MP119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웅성마우스에 MP119를 7일간 경구투여 후 생식장기의 무게와 정자수를 측정하고, MP119를 경구투여한 후 염화카드뮴을 투여하여 생식장기의 무게와 정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쥐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혈청 내 testosterone과 cGMP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MP119의 투여를 통해 생식장기의 무게 변화 없이 정자수 증가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혈청 내 testosterone 및 cGMP의 농도 역시 증가하였다. MP119를 투여한 후 염화카드뮴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역시 정자수 및 혈청 내 testosterone, cGMP 농도 증가를 나타내었으므로 결과적으로 MP119가 염화카드뮴의 독성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생리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한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분석 (Activity-guided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the Hexane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

  • 최희정;최영환;백선용;김봉선;안순철;이문수;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1-318
    • /
    • 2013
  • 예로부터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다양한 약리효능을 가진 약제로 알려져 있는 오미자 열매로부터 항염증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동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오미자의 hexane 추출물로부터 38개의 분획물을 분리한 다음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분획물 중 생리활성이 높은 SCKH1을 선택하여 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해 SCKH1PAIBPB을 분리하였다. SCKH1PAIBPB는 VCAM-1, MCP-1, IL-6 및 IL-8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혈관내피세포와 단핵구 사이의 부착능을 억제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오미자 분획물 및 SCKH1PAIBPB의 항염증효과 뿐만 아니라 혈관내피세포 증식 및 생존능 촉진작용을 응용하여, 다양한 허혈성질환 뿐만 아니라 염중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금은화가 HUVEC에서 죽상동맥경화증 관련 염증인자 발현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nicera Japonica Thunberg on Inflammatory Factor Expression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 양지혜;유호룡;김윤식;설인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5-39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nicera Japonica Thunberg (LJT) on the inflammatory factor expression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Methods: After treatment with LJT in HUVEC which is treated with TNF-α, we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biomarkers (MCP-1, ICAM-1, VCAM-1, KLF2, and eNOS), mRNA (CCL2, ICAM1, VCAM1, KLF2, and NOS3), and the proteins (MCP-1, ICAM-1, VCAM-1, KLF2, eNOS, ERK, JNK, and p38). Results: 1. Compared to the control, LJT significantly reduced MCP-1 and VCAM-1 levels at concentrations of 100, 200, and 400 ㎍/ml and ICAM-1 expression at 200 and 400 ㎍/ml compared to the control. It increased KLF2 levels at all three concentrations, but not significantly, while eNOS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400 ㎍/ml. 2. LJT was seen to significantly reduce the expression of CCL2, ICAM1, and VCAM1 mRNA at concentrations of 100, 200, and 400 ㎍/ml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trast, significantly increased KLF2 and NOS3 mRNA levels were observed at 400 ㎍/ml and at 200 and 400 ㎍/ml, respectively. 3. Compared to the control, LJT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tein expression of MCP-1 and VCAM-1 at 200 and 400 ㎍/ml and of ICAM-1 at 400 ㎍/ml. In addition, it increased both KLF2 and eNOS protein levels at 200 and 400 ㎍/ml. Although LJT did not have an effect on ERK express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it significantly reduced JNK levels at 200 and 400 ㎍/ml and p38 levels at 400 ㎍/m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JT has an effect on the inhibition of inflammatory factor expression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in HUVECs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오가피청혈플러스가 NF-κB 및 MAPKs 신호전달체계와 혈관부착인자 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anthopanax sessiliflorum Cheonghyeol Plus on NF-κB and MAPKs Signaling and Vascular Attachment Factors)

  • 이지원;최규철;배지은;유호룡;김윤식;설인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967-98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nthopanax sessiliflorum Cheonghyeol plus (ASCP) on NF-κB and MAPK signaling and vascular adhesion factors associated with dyslipidemia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Methods: We measured the scavenging activity of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by ASCP in HUVECs. We measur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NF-κB, IκBα, ERK, JNK, and p38 after treatment of HUVECs with TNF-α. We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MCP-1, ICAM-1, and VCAM-1 mRNA and of MCP-1, ICAM-1, and VCAM-1 biomarkers after treatment of HUVECs with TNF-α. Result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CP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F-κB, IκB, ERK, p38 protein expression levels decreased following ASCP treatment at all concentration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HUVECs. JNK protein expression levels decreased in ASCP-treated HUVEC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s at concentrations of 100 ㎍/mL. MCP-1 mRNA expression level decreased with ASCP treatment ≥200 ㎍/mL compared to the control. ICAM-1 and VCAM-1 mRNA expression levels decreased at al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MCP-1 protein expression level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at concentrations ≥200 ㎍/mL, ICAM-1 protein expression level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at concentrations ≥100 ㎍/mL, and VCAM-1 protein expression level was reduced at all concentra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CP has an antioxidative and hypolipidemic effect and that ASCP could treat and prevent dyslipidemia, atherosclerosis, an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오디 추출물(Morus alba L.)의 혈행개선 효과 (Effect of Mulberry (Morus alba L.) Extract on Blood Flow Improvement)

  • 박연실;강성선;최형자;양성준;손호형;서형호;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8-5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국내산(전라북도 부안군) 오디의 혈액순환장애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및 고지혈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MBE가 DPPH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SC_{50}$값은 $89.36{\pm}5.46{\mu}g/mL$로 정제되지 않은 복합물질임을 감안하면 다른 식물추출물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RAW 264.7 세포 및 HepG2 세포에 대한 MBE의 세포독성은 2,500 ${\mu}g/mL$ 이하의 농도를 처리한 경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 COX-2의 활성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MBE의 $IC_{50}$값은 $215.94{\pm}18.15$이었고, human LDL의 산화억제 효과는 최종반응 농도가 200 및 400 ${\mu}g/mL$일 경우 유의적인 감소(P<0.05) 효과가 있었다. 또한 TNF-${\alpha}$에 의하여 활성화된 HUVECs에서 MBE가 증가된 ICAM-1 및 VCAM-1의 발현을 감소(P<0.05)시켰으며 LPS에 의하여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MBE가 증가된 COX-2 및 5-LO의 발현을 감소(P<0.05)시킴을 알 수 있었다. 고지혈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MBE의 일부 실험군(200 mg 및 400 mg/kg 체중/day, 14 days)에서 혈청 total cholesterol의 수치는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P<0.05)시켰으나 혈청 C-reactive protein의 수치는 모든 실험군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MBE의 항산화능, COX-2 활성억제 및 COX-2와 5-LO의 발현억제를 통한 염증억제, 혈중 total cholesterol 감소를 통한 이상지질혈증의 개선 효과 및 ICAM-1과 VCAM-1의 발현억제를 통한 혈관협착 방지의 효과들을 종합해 보면 오디추출물인 MBE가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하거나 확대시키는 다양한 핵심요소들을 다각도로 개선시킴으로써 혈액순환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자씨유의 지방산분석 및 Nitric Oxide 생성, 지방축적능, 렙틴분비 조절효과 (Fatty acid analysis and regulatory effect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oil on nitric oxide producti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21-228
    • /
    • 2014
  • 본 연구는 유자씨유 (Citron seed oil, CSO)의 지방산분포와 생리활성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함으로서 기능성 식용유 소재로서의 CSO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oleic acid 32%, linoleic acid 34%, palmitic acid 19.2%, stearic acid 3.8%, linolenic acid 2.0%, palmitoleic acid 0.6%, arachidic acid 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어 CSO의 독성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HUVECs과 3T3-L1 세포에서 생리활성을 확인하기위해 nitric oxide 생성, Oil Red O 염색을 이용한 지방적형성, leptin 분비를 관찰하였다. CSO는 HUVEC에서 TNF-${\alpha}$의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된 nitric oxide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0.1 mg/ml에서 control 수준까지 nitric oxide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CSO는 MDI solutio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mu}M$ dexamethasone, $10{\mu}g/ml$ insuli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3T3-L1 adipocyte에서 control (100%) 대비 0.05 mg/ml에서 약 27.5%, 0.1 mg/ml에서 약 15.1%의 지방적 (lipid droplet) 형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S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leptin 방출이 control군 (100%)대비 CSO 0.05 mg/ml에서 144.5%, 0.1 mg/ml에서 138.3%로 증가하여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CS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몇 가지 생리활성효과를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