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5초

Incidence of Active HCV infection amongst Blood Donors of Mardan District, Pakistan

  • Karim, Fawad;Nasar, Abu;Alam, Ibrar;Alam, Iftikhar;Hassan, Said;Gul, Rahmat;Ullah, Sana;Rizwan, Muham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235-238
    • /
    • 2016
  • Hepatitis C is an ailment of liver caused by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About 3% of the world population is infected by this virus. HCV infection is a leading reason for liver cirrhosis and therefore a major sour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study focused on the incidence of active HCV infection in blood donors of Mardan district of KPK, Pakistan. A total of 5318 blood donors were inspected for the presence of anti-HCV antibodies and HCV-RNA using ICT (immune-chromatographic test), ELISA and RT-PCR at Mardan Medical Complex (MMC), Mardan. Out of these, 157 (2.95%) were positive by ICT, 60 (1.12%) by ELISA and 56 (1.05%) for HCV-RNA. The frequency of active HCV infectivity amongst the blood donors from district Mardan, KPK Pakistan was 1.05 %. Application of strict measures during blood donor selection and use of proper screening assays such as ELISA in place of ICT devices can give a more accurate picture so that the incidence of this viral infection in HCV negative blood recipients can be reduced.

Dentatin from Clausena excavata Induces Apoptosis in HepG2 Cells via Mitochondrial Mediated Signaling

  • Andas, A Reenaa Joys;Abdul, Ahmad Bustamam;Rahman, Heshu Sulaiman;Sukari, Mohd Aspollah;Abdelwahab, Siddig Ibrahim;Samad, Nozlena Abdul;Anasamy, Theebaa;Arbab, Ismail Ad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311-4316
    • /
    • 2015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primary liver cancer with high global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Current candidate drugs to treat HCC remain lacking and those in use possess undesirable side effects. In this investigatio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entatin (DTN), a natural coumarin, were evaluated on HepG2 cells and DTN's probable preliminary molecular mechanisms in apoptosis induction were further investigated. DTN significantly (p<0.05) suppressed proliferation of HepG2 cells with an $IC_{50}$ value of $12.0{\mu}g/mL$, without affecting human normal liver cells, WRL-68 ($IC_{50}$ > $50{\mu}g/mL$) causing $G_0/G_1$ cell cycle arrest via apoptosis induction. Caspase colorimetric assays showed markedly increased levels of caspase-3 and caspase-9 activities throughout the treatment period. Western blotting of treated HepG2 cells revealed inhibition of $NF-{\kappa}B$ that triggers the mitochondrial-mediated apoptotic signaling pathway by up-regulating cytoplasmic cytochrome c and Bax, and down-regulating Bcl-2 and Bcl-xL.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DTN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further as an anticancer compound targeting human HCC.

Protectiv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Angelica keiskei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HepG2 and HepaRG cells

  • Choi, Yoon-Hee;Lee, Hyun Sook;Chung, Cha-Kwon;Kim, Eun Ji;Kang, Il-J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2호
    • /
    • pp.97-104
    • /
    • 2017
  • BACKGROUND/OBJECTIVE: Although Angelica keiskei (AK) has widely been utilized for the purpose of general health improvement among Asian, its functionality and mechanism of a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AK (AK-Ex) on acute hepatotoxicity induced by acetaminophen (AAP) in HepG2 human hepatocellular liver carcinoma cells and HepaRG human hepatic progenitor cells. MATERIALS/METHODS: AK-Ex was prepared HepG2 and HepaRG cells were cultu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and 30 mM AAP. The protective effects of AK-Ex against AAP-induced hepatotoxicity in HepG2 and HepaRG cells were evaluat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flow cytometry, and Western blotting. RESULTS: AK-Ex, when administered prior to AAP, increased cell growth and decreased leakage of LDH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epG2 and HepaRG cells against AAP-induced hepatotoxicity. AK-Ex increased the level of Bcl-2 and decreased the levels of Bax, Bok and Bik decreased the permeability of the mitochondrial membrane in HepG2 cells intoxicated with AAP. AK-Ex decreased the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the activation of caspase-9, -7, and -3.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K-Ex downregulates apoptosis via intrinsic and extrinsic pathways against AAP-induced hepatotoxicity. We suggest that AK could be a useful preventive agent against AAP-induced apoptosis in hepatocytes.

국내산 황색 방울토마토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생육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Domestic Yellow Cherry Tomato)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18-5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황색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 건조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96±1.57 및 4.12±0.41 mg/g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고 free radical을 50% 감소시키는 농도인 RC50은 각각 490.83±17.35 ㎍/mL과 355.90±0.79 ㎍/mL이었다. 추출 건조물은 정상 간세포(Chang)에 대해서는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A549 폐암세포에 대해서는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자궁경부암세포(HeLa)와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는 100 ㎍/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15.2% 및 18.4%의 생육 억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황색 방울토마토의 항산화 활성과 자궁경부암세포와 간암세포 등 일부 암세포에 대한 억제 활성이 검증되어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New Murine Liver Fibrosis Model Induced by Polyhexamethylene Guanidine-Phosphate

  • Kim, Minjeong;Hur, Sumin;Kim, Kwang H.;Cho, Yejin;Kim, Keunyoung;Kim, Ha Ryong;Nam, Ki Taek;Lim, Kyung-M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0권2호
    • /
    • pp.126-136
    • /
    • 2022
  • Liver fibrosis is part of the wound healing process to help the liver recover from the injuries caused by various liver-damaging insults. However, liver fibrosis often progresses to life-threatening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in vivo liver fibrosis models for studying the pathophysiology of liver fibrosis and establishing effective treatment strategies, we developed a new mouse model of liver fibrosis using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 (PHMG-p), a humidifier sterilizer known to induce lung fibrosis in humans. Male C57/BL6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PHMG-p (0.03% and 0.1%) twice a week for 5 weeks. Subsequently, liver tissues were examined histologically and RNA-sequenc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key genes and pathways affected by PHMG-p. PHMG-p injection resulted in body weight loss of ~15% and worsening of physical condition. Necropsy revealed diffuse fibrotic lesions in the liver with no effect on the lungs. Histology, collagen staining, immunohistochemistry for smooth muscle actin and collage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fibrotic genes revealed that PHMG-p induced liver fibrosis in the peri-central, peri-portal, and capsule regions. RNA-sequencing revealed that PHMG-p affected several pathways associated with human liver fibrosis, especially with upregulation of lumican and IRAK3, and downregulation of GSTp1 and GSTp2, which are closely involved in liver fibrosis pathogenesis. Collectively we demonstrated that the PHMG-p-induced liver fibrosis model can be employed to study human liver fibrosis.

잔대 추출물들의 항돌연변이 및 항종양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s)

  • 함영안;최현진;김수현;정미자;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5-31
    • /
    • 2009
  • 본 연구는 잔대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잔대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Ames test, SRB assay와 종양 억제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Ames test결과, 잔대 에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MNNG와 4NQO로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때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S. Typhimurium TA98를 4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하였을 때 66.5%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S. Typhimurium TA100에서 MNNG와 4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했을 때는 83.3%와 75.1%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잔대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인간 자궁암세포 (HeLa), 인간 간암세포(Hep3B), 인간 유방암세포(MCF-7), 인간 위암세포(AGS), 인간 폐암세포(A549)와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를 사용하였다.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 mg/mL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79.9%(HeLa), 74.9% (Hep3B), 66.0%(MCF-7), 71.0%(AGS)와 74.3%(A549)의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인간 정상 신장세포에서는 $3{\sim}36%$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vivo에서 잔대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켰다. 그 결과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최고농도 50 mg/kg에서 37.2%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모든 처리군 중가장 높은 억제율이었다.

해양심층수염 및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개량식 된장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Added Soybean Paste (Doenjang))

  • 함승시;김수현;유수정;오현택;최현진;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16-421
    • /
    • 2008
  • 다시마분말과 해양심층수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된장의 시료에서 돌연변이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 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0.4{\mu}g$/plate)의 경우 TA100 균주에서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의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89.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NQO($0.15{\mu}g$/plate)에 대해서는 같은 시료 농도에서 7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NQO에서 TA98 균주에 대해서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은 84.4%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HeLa, Hep3B, AGS, A549와 MCF-7을 사용하였으며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이 1 mg/mL의 농도에서 위암세포를 제외한 자궁암세포, 간암세포, 폐암세포 및 유방암세포에서 모두 70% 이상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폐암세포에서 77.3%의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은 고 형암 성장억제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32.5%의 고형암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Sprout)

  • 최승필;이의용;함승시;이득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12-218
    • /
    • 2008
  •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실험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를 처리한 S. typhimurium AT100 균주에 대해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00 ${\mu}g/plate$)이 80.6%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며, 4NQO를 처리한 TA98 및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은 85% 이상의 돌연변이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Trp-P-1에서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각각 80.9와 85.9%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A549 와 Colo 205 세포에 1.0mg/ml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처리 시 모두 70.3% 이상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MCF-7 과 Hep3B 세포의 경우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0mg/ml)에서 80% 이상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AGS는 1.0mg/ml농도의 에틸아세테에트와 부탄올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강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 조미료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Natural Seasoning Using Lentinus edodes Powder)

  • 유수정;김수현;최형택;오현택;최현진;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15-520
    • /
    • 2007
  •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의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RC_{50}$$155{\mu}g$으로서 다른 시료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핵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TA100에서 $79{\sim}84%$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고 다른 시료에서도 65% 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4NQO에 대해서는 TA98과 TA100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에탄을 추출물 1 mg/mL 첨가 시 HeLa, Hep3B, MCF-7, AGS 및 A549에서 각각 83.3%, 61%, 81.3%, 58.9% 및 36.7%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분획물에 대한 억제효과는 시료 농도 1 mg/mL 첨가 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폐암세포인 A549 세포에 대하여 55.7%의 억제효과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71{\sim}85%$ 정도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물 분획물의 경우 다른 추출물과 비교 시 암세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인간 신장 정상세포 293에 대한 시료를 첨가 시 40% 이하의 생육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써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살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Prunus armeniaca Extracts)

  • 유수정;김수현;전미선;오현택;최현진;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0-225
    • /
    • 2007
  • 살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RC50값이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각각 $48.3{\mu}g$$43.9{\mu}g$으로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살구 에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살구씨 및 과육 에탄올 추출물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고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올 추출물 각각에서 TA100이 69.4% 및 65.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같은 농도에서 4NQO에 대해서는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TA98과TA100이 각각45.9% 및 44.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살구씨 에탄올 추출물 4mg/mL첨가 시 A549, AGS, MCF-7, HeLa 및 Hep3B에서 각각 63.7, 56, 86.3, 78 및 53.7%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 4mg/mL 첨가시 위암세포 AGS에서 58.0% 억제효과를 보인 반면 모든 암세포에서 72.8%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에 비해 인간정상신장세포 293에 대해서는 37.2% 이하의 생육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서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