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사를 활용한 대안학교의 수학교육 (Mathematics Education for Alternative Schools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 한길준;이기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9-100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목적과 특성을 지닌 여러 가지 형태의 대안학교가 있다. 대안학교에서의 수학교육이 일반학교의 수학교육과 같아서는 대안학교의 교육적 이념에 맞는 교육을 실시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육환경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대안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학교육의 한 방법으로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교육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수학 교육 (Mathematics Education in Ming and Qing dynasties)

  • 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89-299
    • /
    • 2020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au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modern China, focusing on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this process, mathematics education was investigated from the overall educational view of each dynasty, so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each dynasty was also considered.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자 수학사 특강'의 학습효과 (The Effects of a Mathematics History Lecture by a Mathematician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차인숙;한정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3-150
    • /
    • 2006
  • 본고에서는 수학사의 교수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수학사 특강 자료 3차시(120분) 분량을 개발하여, 이를 수학자가 직접 학생들에게 강의함으로써 수학사 내용 및 수학자로 인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수학사 내용뿐만 아니라 수학자와의 만남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 형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프로이덴탈과 ICM (Freudenthal and ICMI)

  • 김성숙;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7-96
    • /
    • 2011
  • 프로이덴탈은 대수적 위상수학과 기하학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수학사와 수학교육에도 크게 이바지한 수학자다. 많은 업적 중 가장 인정받는 것은 1970년대,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새수학으로부터 네덜란드의 수학을 보호한 것이다. 그가 남긴 가장 큰 유산은 ICMI의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현실적 수학교육의 기초를 다졌으며, 또 세계 수학교육에 영향을 끼치는 ICME 개최로 그 위상을 높인 점이다. ICMI의 회장이었던 Bass가 프로이덴탈이 회장으로 재임하였던 기간을 프로이덴탈 시대라고 명명하였으며, 많은 수학교육학자들 역시 ICMI의 역사를 프로이덴탈 이전 시대와 프로이덴탈 후기시대로 나누는데 동의할 정도로 그가 ICMI에 끼친 영향력은 대단하다. 이 논문에서는 프로이덴탈의 생애를 돌아보고 그가 ICMI를 통하여 세계수학교육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Forty-five Years of HPM Activities: A Semi-personal Reflection on What I Saw, What I Heard and What I Learn

  • Keung, Siu Man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61-275
    • /
    • 2020
  • HPM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activities deal with integrat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As a teacher of mathematics the author will share his personal experience in the engagement of HPM activities during the past forty-five years with fellow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such activities and who may wish to know how another teacher goes about doing it.

초등교사 양성 대학의 초등수학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 신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453-463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work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theory, the other is the practice. The theory deals with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learning, the theorie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methods of assessment. With respect to the practice,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activities of numbers and their operation, geometry, measurement, statistics and probability, pattern and function.

  • PDF

수학교육 관점에서 본 MST 교육에서 STEAM 교육까지 통합교육의 흐름 분석 (To Analyze the Trend of Integrated Education from MST to STEAM on Mathematics Education)

  • 김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69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integrated educations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I look around the developments of the integrated educations from MST education through STEAM education, especially in mathematics education. I analyzed integrated educations such as MST, STS, STEM, STEAM educations and compare them to each other,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I discuss how to apply STEAM education to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I suggest a proper integrated education, in particular, STEAM education, as one that is suitable for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중국 수학교육의 역사(주나라에서 송나라까지) (Mathematics education in ancient China)

  • 김성숙;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23-234
    • /
    • 2018
  • Ancient Chinese mathematics education has a long history of more than 3,000 years, and many excellent mathematicians have been fostered. However, the systematic framework for teaching mathematics should be considered to be started from the Zhou Dynasty.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educational goals, trainees(learners), providers(educators), and cont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ancient Chinese Zhou Han Dynasty,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통계교육 연구의 역사와 한국의 통계교육 (History of the Research on Statistics Education, and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 탁병주;이경화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05-323
    • /
    • 2017
  • Statistics was not recogniz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as an independent science, and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came to an international milestone in the late 194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ISI)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tatistical Education (IASE).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is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search on statistics education in this study. It implies for the direction of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to domestic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and statistical researchers related to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F. Klein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F. Klein)

  • 강현영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1-89
    • /
    • 2011
  • 이 글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수학교육개혁 운동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F. Klein의 수학교육에 대해 재음미하고 시사점을 논의한다. Klein의 초기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을 보여주는 1872년 'Erlanger Antrittsrede'와 현대 수학교육과정의 기초이며 널리 알려진 1905년 'Meraner Lehrplan f$\"{u}$r Mathematik'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육의 목적과 방법, 교사교육의 중요성 등의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