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앤더슨 모형을 활용한 융합적 연구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Over 65 Years in Korea: Using Andersen's Behavioral Model)

  • 박효은;서인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83-9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능요인, 요구요인, 건강행태요인들 간에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제 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자 21,724명 중, 65세 이상 노인 3,5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앤더슨 모형에 따른 우울증 여부에 대한 변수들의 다변량 분석을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 분석의 결과로 남성은 0.49 배(0.31-0.78)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증이 1.56 배 (1.05-2.31), 스트레스가 0.55 배(1.10-2.19), 보행 운동이 1.44 배(1.03-2.00), 외래 사용이 1.48 배(1.10-1.98)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 주민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 된 지원이 필요하며 스트레스 중재와 운동에 대한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

페루 도시 빈민 지역 청소년들의 칫솔질 빈도와 건강위험행동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and Toothbrushing among School-Going Adolescents in Poor Urban Areas of Peru)

  • 김연주;남은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322
    • /
    • 2017
  • 본 연구는 2014년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학생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면연구이며, 연구대상은 페루 리마북부 및 까야오 지역 내 일반 국 공립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11~19세의 청소년 959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은 페루 도시 빈곤 지역 학생들의 각 건강위험행동과 칫솔질 빈도 간에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청소년들의 12.1% (116명)는 하루 1회 이하로 칫솔질 하였으며, 87.9% (843명)는 하루 2회 이상 칫솔질을 하였다. 하루 칫솔질 빈도의 평균은 2.42회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보정 한 후에 두 가지의 건강위험행동과 칫솔질 빈도 간에 관련성이 나타났으며, 해당 건강위험행동은 여가시간에 주로 비활동성 여가생활(TV, game, internet)을 하는 학생과 외출 후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지 않는 학생(never/rarely)이 하루 칫솔질을 1회 이하로 할 OR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연구대상 청소년들의 하루 칫솔질 평균치는 WHO에서 권장하는 최소 수준인 2회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건강위험행동(비활동성 여가생활, 외출 후 손씻지 않기)을 하는 학생들은 하루 칫솔질 빈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페루 도시 빈곤 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ODA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개인위생 프로그램에 구강보건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Andersen's Behavioral Model (A Convergenc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Paid Care Service: Andersen's Behavioral Model)

  • 김한결;김성국;심현진;이희명;이현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27-337
    • /
    • 2017
  • 현재 입원환자 및 환자 가족의 사적 고용으로 시행되는 유급 간병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자료 (2011-2014)를 활용하였으며, 연간 1회 이상 입원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5,1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을 위해 STATA 12.0 SE를 활용하였으며, 입원환자들의 기본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성에 따른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 및 t-test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입원환자들의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Andersen's Behavioral Model의 3 범주를 단계적으로 모형에 투입하는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은 여성, 고연령, 장기입원 및 장애가 있을 경우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적고용에서 중요한 가구소득 변수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현재 논의 중에 있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대상자 선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대상자 선정에 관한 세부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프라이버시 우려가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의 다차원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Using Mobile Payment Services: Moderating Effect of Multidimensional Consumer Innovativeness)

  • 허덕원;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8권1호
    • /
    • pp.22-42
    • /
    • 2021
  •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우려가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특히 기존 단일차원으로 논의되어 온 소비자 혁신성의 한계를 넘어 기능적·쾌락적·사회적·인지적 측면의 다차원적 소비자 혁신성을 적용하여 프라이버시 우려와 실제 행동 간의 일치·불일치 여부를 성별(남·여)로 구분하여 위계적 방법의 로지스틱 조절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성별을 막론한 모든 그룹에서 쾌락적 혁신성은 양(+)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기능적 혁신성은 여성 그룹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남성 집단에서는 프라이버시 우려와 기능적 혁신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는데, 개인이 인지하는 기능적 혁신성에 따라 프라이버시 우려에 따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프라이버시 우려와 더불어 다차원적인 소비자 혁신성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신기술 기반 서비스 채택 양상을 다양하고 균형 있게 설명·예측할 수 있다는 점과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가 이용자의 즐거움과 더불어 해당 서비스가 보안 안전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확신을 소비자들에게 보여주어야 함을 연구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행정구역(동.읍.면)에 따른 개인 수준의 사회적 자본과 지각된 건강수준 (Self-rated Health and Individual Level Social Capital Across the Administrative Sections)

  • 이진향;팽기영;김장락;정백근;박기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9-70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the level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and to reveal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status and how the administrative section(dong, eup, and myeon) might modify the relationship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Gyeongsangnam-Do health survey (2008). The study subjects were 6,500 adults randomly sampled from 20 counties. Trained interviewers conducted the interviews in the interviewees' house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association of social capital with self-rated health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oportion of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the highest at eup region and the lowest at myeon, The significant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self-rated good health were both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in the subgroups of dong. The significant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self-rated good health were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in the subgroups of eup. The significant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self-rated good health was trust in the subgroups of myeon.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self-rated good health was associated with social capital measured by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and the direction is different in the administrative section. But, health policy encouraging social capital to improve health should be considered.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in a Suicide High-risk Group With Suicidal Ideation

  • Kim, Hyun-Soo;Lee, Moo-Sik;Hong, Jee-Yo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1호
    • /
    • pp.69-78
    • /
    • 2016
  • Objectives: The suicide rate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is the highest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Psychiatric patients in particular have a higher risk of suicide than other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individuals at high risk for suicide. Methods: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09 to 2011 were used. Subjects were individuals at high risk of suicide who had suicidal ideation, a past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 or had utilized outpatient services for a psychiatric disorder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within the past year. The chi-square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Result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ith complete data on the variables in our model was 989. Individuals suffering from three or more chronic diseases used mental health care more frequently.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was higher in subjects who had middle or high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were receiving Medical Aid, or had a large family size.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control risk factors in high-risk groups as part of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The clinical approach, which includes community-based intervention, entails the management of reduction of suicidal risk. Our study identifi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an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Further studies should examine the effect of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on reducing suicidal ideation.

한국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견해 영향요인: 2012 사회조사 기반 (Factors Affecting Opinions on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in Korea: Based on 2012 Social Survey)

  • 이성희;권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06-616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2년 사회조사 자료 중 30대 미혼여성 529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는 SPSS Ver. 20.0을 이용하여 ${\chi}^2$ test와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연령(Exp(b)=.90,p=.025), 이혼에 대한 견해(Exp(b)=3.81,p<.001), 재혼에 대한 견해(Exp(b)=3.09,p=.001) 그리고 결혼관(Exp(b)=.80,p<.001)이 결혼견해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30에서 34세 미혼여성과 35에서 39세 미혼여성간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는 경제 활동 여부(Exp(b)=19.58,p=.003)였다 연구결과는 가족과 결혼가치관 교육과 경제활동을 하는 35세에서 39세 미혼여성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 저출산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mplementation of Smoke-free Legislation in Malaysia: Are Adolescents Protected from Respiratory Health Effects?

  • Zulkifli, Aziemah;Abidin, Najihah Zainol;Abidin, Emilia Zainal;Hashim, Zailina;Rahman, Anita Abd;Rasdi, Irniza;Syed Ismail, Sharifah Norkhadijah;Semple, Se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815-4821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iratory health of Malaysian adolescents with secondhand smoke (SHS) exposure and smoke-free legislation (SFL) implem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98 students from 21 schools across comprehensive- and partial-SFL states were recruited. SHS exposures and respiratory symptoms were assessed via questionnaire. Prenatal and postnatal SHS exposure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parental-completed questionnaire. Results: The prevalence of respiratory symptoms was: 11.9% ever wheeze, 5.6% current wheeze, 22.3% exercise-induced wheeze, 12.4% nocturnal cough, and 13.1% self-reported asthma. SHS exposure was most frequently reported in restaurant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indicates living in a comprehensive-SFL state was not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reporting asthma symptoms. SHS exposure in public transport was linked to increased risk for wheeze (Adjusted Odds Ratio (AOR) 16.6; 95%confidence interval (CI), 2.69-101.7) and current wheezing (AOR 24.6; 95%CI, 3.53-171.8). Conclusions: Adolescents continue to be exposed to SHS in a range of public venues in both comprehensive- and partial-SFL states. Respiratory symptoms are common among those reporting SHS exposure on public transportation. Non-compliance with SFL appears to be frequent in many venues across Malaysia and enforcement should be given priority in order to reduce exposure.

Association between Awareness of Nutrition Labels and Menstrual Cycle Irregularity in Korean Wome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 Yoo, Hae Young;Ryu, Eunjung;Kim, Ji-Su;Han, Kyung-do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3-141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and menstrual cycle irregularity in women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dels. A total of 4,324 women aged 19~54 years from the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self-report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about thei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s: Reading, Not-Reading, and Not-Knowing Groups. Results: The Reading, Not-Reading, and Not-Knowing Groups comprised 46.4%, 44.9%, and 8.7% of the participants, respectively, and 53.6% of the participants had never used nutrition labels. In the Not-Knowing Group, irregular menstrual cycles for more than 3 months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than women with irregular menstrual cycles for up to 3 months and women with regular menstrual cycles. Women in the Not-Knowing Group were more likely to exhibit menstrual cycle irregularity (adjusted odds ratio: 1.63, 95% confidence interval: 1.10~2.41) compared to women in the Reading Group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mass index, smoking status, alcohol intake, exercise regularity,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metabolic syndrome, age at menarche, parity, and use of oral contraceptives. Conclusion: No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prevalence of menstrual cycle irregularity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group of Korean women.

만성질환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건강융합 -세종특별자치시 30-40대를 중심으로- (Community Health Convergence through Analysis of Chronic Disease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30-40s Adults in Sejong City-)

  • 이미경;조아라;임순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7-135
    • /
    • 2017
  •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동, 면 거주자의 만성질환 진단율과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되었다. 2013-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 연구로 총 1,067명의 자료가 이용되었고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 지역 거주자는 만성질환 진단을 받을 확률이 여자보다 남자가 7.34배 높았고, 걷기 일수가 3일 미만인 군이 3일 이상인 군에 비해 2.20배 높았다. 면 지역 거주자는 비 흡연 군 보다 흡연 군이 1.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동지역 거주자와 면지역 거주자에게 차별화된 만성질환 예방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