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piness and education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3초

보육교사의 행정 업무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Office Stress on Happines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ectiveness)

  • 김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31-337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정업무스트레스와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J 지역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관련성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행복감과 행정업무 스트레스의 상관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은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행정업무 스트레스는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보육교사 처우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군인의 건강위험행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및 행복감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 박민선;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59-1169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ealth risk behavio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Gangwon and Chungchong provinces from the first to the $15^{th}$ of October, 2016. Excluding five copies with incomplete answers, 20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were analyzed. Health risk behaviors (drinking and smoking), perceived oral health, OHIP-14 and happiness were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amount of daily cigarette consumption of soldiers (66 people) was an average of 10.11 cigarette. The mean of OHIP-14 and that of happiness were 4.43 and 4.05, respectively. The higher the quality perceived oral health, the better the OHIP-14 (r=0.234) and happiness (r=0.192) were. The higher the OHIP-14, the higher the happiness (r=0.357). OHIP-14 was related to army, perceived oral health and happin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7.0%. Conclusions: OHIP-14 is associated with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need to be developed to instill happiness in soldiers.

자기통제, 공정함, 행복 간 구조적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 control, Fairness, and Happiness)

  • 최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331-33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통제와 공정함 및 행복 간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5명(남:107명, 여:168명)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자기통제와 공정함, 행복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고, 선행연구에 따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통제는 공정함을 매개로 행복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는데, 공정함과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통제가 공정함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공정함을 매개로 대학생의 행복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자기통제와 공정함이 대학생의 행복에 있어 교육적, 심리사회적 개입을 제공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중국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행복과 희망의 이중매개효과 (Dual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and hope between growth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China)

  • 왕양;왕문성;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41-248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과 희망이 성장 마인드셋과 학성성취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Guangdong지역의 한 대학교에서 유의표집한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이중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 희망, 성장 마인드셋과 학성성취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행복과 희망은 성장 마인드셋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장 마인드셋뿐만이 아니라 행복 및 희망을 활용하여 학업성취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on Their Sense of Happiness and Enthusiasm for Teaching Profes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조안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41-351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 열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유아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 열정에 대한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행복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전체적 열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행복감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직열정에는 교직열정전체를 제외한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와 영유아가 모두 행복한 교실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n Job Satisfaction of Office Workers)

  • 이혜경;남춘연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0-49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job satisfaction in office worke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eight industries in B Ku in D city, an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10 until October 10, 2014. Job satisfaction was assessed using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Methods: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18.0.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Results: Job stress (lack of reward, occupational climate, job demand, job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happiness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which explained 43.6% of the total variance of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help nurses prepare effective interventions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promotion of office workers.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Happines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 김지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83-297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 및 회복탄력성이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지역 예비유아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V.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 대학생활만족도는 대체적으로'보통'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행복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의 6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의 6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예비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삶의 질과 연관된 변인인 행복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과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양성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증진이 필요하며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효율적 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행복감 비교 (A Comparison study on happiness of preschooler (3-5yrs) mot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6-7yrs) mothers)

  • 이신영;유칠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99-508
    • /
    • 2018
  • 본 연구는 만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와 만 6~7세 초등 1, 2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비교를 통하여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행복감 특성과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두 집단 어머니의 행복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유아 어머니 168명과 초등 저학년 어머니 170명, 총 338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Ryff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전체 행복감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6개의 하위변인 즉,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의 변인에서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변인 중 자율성과 개인성장의 변인에서는 유아 어머니가 초등 저학년 어머니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통제력,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아수용의 변인에서는 초등 저학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연령, 학력, 소득, 종교에 따라 유아 어머니와 초등 저학년 어머니의 행복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자녀교육이 어머니의 행복감에 주는 영향력과 유 초 연계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머니들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서는 유 초등 연계교육의 내실화 및 국가적 차원에서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기초한 체계적인 부모교육과 정책적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A Narrative Approach to Helping an Early Childhood Children Teacher Achieve Greater Happiness in their Classes)

  • 서혜정;변미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9-175
    • /
    • 2012
  • This study is designed to positively transform a teacher's emotional state whilst teaching their classes and be able to create happier lessons for preschool children. To do this, a teacher needs to reflect upon current problems and take steps to deal with them.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making use of photos, a reflective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records from Mar. 28, 2011 through Oct. 7, 2011.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1) teacher centered classes, (2) a daily routine filled with large group activities, (3) disruptive students, and (4) repetitiveness. The routes to greater classroom "happiness" are (1) rearranging seats, (2) "story sharing activities" in small groups, (3) making a separate "story sharing activity" area, (4) using small groups instead of large groups, (5) changing the daily routine. The role of the teacher in finding greater "happiness" are (1) meaningful, 'real observation', (2) discovering genuine change from small points, (3) power sharing, and (4) growing and developing with children.

부모-자녀 놀이에 대한 자녀의 인식과 행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Their Happiness)

  • 이승미;김희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9-105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arent-child pl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children's happiness. Methods: One hundred twenty 5-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parent reported the current status of play with their child and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children about their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their happines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played with their child for about 52 minutes on weekdays and 2-3 hours on weekends. Mothers played longer with their child than fathers on all days. Parents perceived that they played with their child at average frequency and showed above average participation. Children perceived that their parents were actively playing with them and children enjoyed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play with parents. Children were happier when parents spent more time playing with them in an engaging fashion, and when they enjoyed the nature of the pla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s the influence and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parent-child play on children's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