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teachers' perception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영재교육에서 비유 만들기 활동의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Analogy Generation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 노태희;양찬호;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22-37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analogy generation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and the self-perception as teacher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ere also investigat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teach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had a relatively good understanding of the advantages/disadvantages of analogy generation in cognitive, affective, and learning environmental aspects. Their perceptions on the usability of analogy gener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practice of it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was also positive. They highly perceived on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effective uses of it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Their self-perception as teacher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as comparatively low,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erceptions on the advantages of it, the usability, the practical methods to use, and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effective uses in scientifically-gifted educ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초등 및 유치원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Gifted Children and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박미영;이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155-173
    • /
    • 2001
  •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재아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서울 및 경기 지역의 115명의 유치원 교사와 116명의 초등학교 교사에게 배포하여 그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집단과 초등학교 교사집단 모두 영재아에 대하여 보통수준 이상의 인식을 나타내었으나, 영재성과 형제 순위와의 관련성,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 영재아의 신체 성장 발육, 영재아의 유머 감각, 영재아 가정의 경제적 배경, 영재아의 친구관계 등에 대하여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영재교육에 대하여서도 역시 대체로 보통 수준의 인식과 관심을 나타내었으나,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관심정도가 유치원 교사들보다 높았다.

  • PDF

Proposing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 Shin Myeong-Kyeong;Park Jong-Wook;Chung Byung-Ho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7-357
    • /
    • 2005
  • Since 1998, 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has hosted the center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institute hired undergraduate students to escort and liaison each class of the gifted student participants with assisting classroom activities. These liaison teachers observed the gifted classroom activities and evaluated them by using a given checklist and filling out pre-made evaluation forms. Currently this system is being transferred from part-time jobs for students to earn allowance into well organized pre-service teacher program focusing on the gifted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system is being shifted from how liaison teachers facilitate the gifted program to how the system helps the liaison teachers to be quality teachers for the gifted who can understand what the gifted are and how to facilitate them. Analyzed were the self reports of the liaison teach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beliefs of the gifted and their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participant liaison teachers purposed to have more live experiences with getting along with students as well. Liaison teachers’ perceptions on establishing a gifted teacher professional education sequence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potential scaffolding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of the gifted education was provided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of Gasses for the Scienc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 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252-25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u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classes for those gifted i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a number of questions were posed to teachers : 27-item-questionnaires were given to 38 teachers of students gifted i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ost elementary teachers were in charge of classes containing students gifted in science, but this was the case with only a few secondary teachers. Therefore, it appears to be more necessary to educate elementary teachers who majored in science content and gifted education. 2. In addition, most teacher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needs, attitudes and environments needed for gifted education. Most of them attended 60-hour training programs on gifted education. They thought that it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but they wanted to learn more about actual pedagogical methods through such programs. 3.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classes for those gifted in science were mainly experimental activities, but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project learning. This may be due to limited class time of about one hour every two weeks in this class. 4. When the materials used in class were first developed, they mainly used materials made by the city board of education and selected the theme of interest by themselves. Therefore, there may be problems of duplication of materials or systems regarding the science contents for one year. 5. Furthermore, the themes of the materials used were mostly relat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than more generally. When planning and managing the classes for those gifted in science, the abov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of those students gifted in science.

  • PDF

수학, 과학 학업성취의 성차에 대한 영재교사의 인식 연구 (Study on Gifted Teachers' Perceptions of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Ability)

  • 채유정;류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10-1120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 과학 성취에 대한 일반학생과 상위 성취 학생들의 성차여부에 대한 영재담당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초등 영재담당교사 167명과 중등 영재담당교사 122명이다. 교사들은 일반학생과 상위 성취학생의 수학, 과학 성취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등에 관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의 65%는 남녀 학생 간 과학 성취에 성차가 존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성차가 존재한다고 인식한 교사의 63%는 초등 고학년에서 중학생 시기에 성차가 드러난다고 보았다. 상위 성취 학생집단에도 성차가 나타난다고 보는 교사들은 전체의 57%였으며, 성차가 나타난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생각하는 성차 발현의 이유로는 선천적 능력의 차이, 사회적 기대, 부모의 양육태도 등이 있었다. 영재담당교사들의 수학,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성차인식은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어 남녀학생들의 실제 성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제언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Standards Gifted Education Program)

  • 김영옥;맹희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799-815
    • /
    • 2015
  •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 후 최근 10여 년 동안 많은 성장을 이루었으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과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마련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수-학습 자료 부족과 지역별 영재아동들의 수준 차이, 학년 및 학교급간 프로그램의 중복성을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영재교사들은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이 마련되면 중복되었던 교육 내용 및 방법이 차별성 있게 운영될 수 있고, 프로그램 주제 선정에 대한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으며, 다양한 측면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확보로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이 높아 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 중 고의 영재교육 연계성 부족의 문제가 해결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별 영재교육 내용의 중복성과 연계성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여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충북 소외지역의 영재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초등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및 지원 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lementary Teachers in the Management of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s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 최보미;정정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55-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the management of the elementary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of Chungbuk province. In this study, rural area was defined that the area where gifted education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or where gifted education service is restricted.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three elementary gifted teachers who manag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s teaching science to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e collected data about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the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difficulty that teachers expressed was the lack of parental attention and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different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ir area, experience, and environment. Teacher A i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managers, teacher B is the difficulty of student selection, teacher C is the most difficult factor in teacher quality management.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s also led to differences in the support improvements required by gifted class teachers in the rural area. Third, the three teachers commonly referred to difficulties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demande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ifted class in the rural area and the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class.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 최문경;박정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125-149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현황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영재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 영재의 특성, 영재의 판별, 영재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영재 담당교사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었으며, 영재의 지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의 정서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그리고 영재의 조기판별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의 판별 기준에 대한 인식이나 판별 능력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접해본 경험 부족으로 인해 매우 낮았으며, 영재 담당 교사 연수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영재 담당 교사에 대한 의향은 매우 낮았다. 이로써 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인식은 보통이나 긍정적인 수준이었지만 실천적 인식은 영재교육에 대한 열악한 재정적, 행정적 환경으로 인해 낮은 수준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의 현실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 가 있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 양일호;최현;임성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14
  •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Arts Gifted)

  • 맹희주;강병직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79-3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담당 교사들의 연수 현황 및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연수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응답자의 약 49.4%는 예술영재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경험 없이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초 연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수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 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내용은 미흡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술영재교육 연수 운영 시 연수지역의 접근성을 고려하고, 연수에 대한 사전 홍보와 정보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셋째,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를 위해 '연수강사진의 전문성 확보'와 '연수 유형의 다양화', '연수기관 및 연수 운영진의 전문성 확보'가 연수 운영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 측면에서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기초, 심화, 전문 등 연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내용의 다양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환경 측면에서 교통과 연수시설의 편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가 되기 위해서 예술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연수모형과 현장적용이 가능한 연수 커리큘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연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