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Arts Gifted

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 Received : 2014.05.12
  • Accepted : 2014.06.20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o seek managing the way of effectiveness for training through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gifted in ar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t is analyzed that about 49.4 percent of respondents do not have any experiences of in-service training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in arts and there are also teachers who teach with no experiences of in-service training. Moreover, it is also analyzed that in-service training is generally being conducted with revolving to basic courses and the opportunities that teachers are able to develop programs for themselves are offered insufficiently. Second, in terms of management of in-service training, it is implied that accessibility to the training site and the active promotion of program, as well as sufficient provision of information, have to be considered in advance. Third, teachers have recognition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types,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and managing directors for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raining. Forth, in terms of program, teachers show that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ntents and the differentiated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programs according to basic, advanced cours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n arts are most important. Furthermor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the amenity of training facility are said to be important elements. Therefore, we suggest that,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of the gifted in arts, not only differentiated in-service training model and curriculum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field, but also efficient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ducation in arts.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담당 교사들의 연수 현황 및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연수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응답자의 약 49.4%는 예술영재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경험 없이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초 연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수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 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내용은 미흡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술영재교육 연수 운영 시 연수지역의 접근성을 고려하고, 연수에 대한 사전 홍보와 정보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셋째,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를 위해 '연수강사진의 전문성 확보'와 '연수 유형의 다양화', '연수기관 및 연수 운영진의 전문성 확보'가 연수 운영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 측면에서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기초, 심화, 전문 등 연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내용의 다양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환경 측면에서 교통과 연수시설의 편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가 되기 위해서 예술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연수모형과 현장적용이 가능한 연수 커리큘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연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직, 맹희주, 최영숙, 박지은 (2013). 예술영재 담당 교원을 위한 연수커리큘럼 개발 연구.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 교육과학사편 (1981). 교육학대사전. 교육과학사.
  3. 권민경, 유미현 (2013). 영재교사 연수 프로그램 평가 및 교사요구 분석. 과학영재교육, 5(2), 105-119.
  4. 김미숙, 이정규, 이희권, 김언주, 맹희주, 이상천, 정경아, 최호진, 한수연 (2007).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수탁연구 CR 2007-66.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5. 김병찬 (2008). 1급정교사 자격연수제도의 명과 암 -1급정교사 자격연수 과정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135-164.
  6. 김아영 (2012).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교육심리연구, 26(1), 63-84.
  7. 김옥분, 김항중 (2012). 초등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1(2), 47-72.
  8. 김이경 (2004). 교사평가시스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9. 김정원, 박소영, 김기수, 정미경, 문찬수 (2011). 교사 생애단계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0. 김종득, 문경근, 정병훈, 박은영 (2004). 과학영재학교 우수교원 확보를 위한 영재교육 관련 법 개선 방향. 영재교육연구, 14(2), 99-127.
  11. 나윤선, 김도기, 김갑성 (2010). 핀란드 교사연수의 특성과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23(1), 329-349.
  12.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13. 박종원, 김본경, 최재혁, 지경준 (2010).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워크솝 방식의 심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17-1030.
  14. 백성혜, 김정은 (2013).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영재교육연구, 23(2), 133-160. https://doi.org/10.9722/JGTE.2013.23.2.133
  15.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수원편 (1986).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배영사.
  16. 서혜애, 박경희 (2007). 영재교육 교사연수의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영재교육연구, 17(3), 421-442.
  17. 신현석, 전상훈 (2008).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교육문제연구, 32, 169-171.
  18. 이미경, 강병직 (2010). 예술영재교육활성화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9. 장영숙, 강경석(1999).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향상 및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9(2), 1-22.
  20. 전주성, 김소영 (2011).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평가모델의 타당성 검증-Kirkpatrick의 교육훈력 프로그램 평가모델의 응용-. 교육과학연구, 42(1), 125-150.
  21. 정재삼 (2004). 교육공학의 평가영역.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편), 서울: 교육과학사.
  22. 진선미, 정은정 (2005). 공무원 교육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안 및 평가도구 개발-서 울시공무원교육원에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18(3), 183-208.
  23. Garet, M. S., Porter, A. C., Desimone, L., Birman, B. F., & Yoon, K. S.(2001) What make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ive? Results from a national sample of teache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4), 915-945. https://doi.org/10.3102/00028312038004915
  24. Loucks-Horsley, S., Hewson, P. W., Love, N., & Stiles, K. E.(1998)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Inc.
  25. Posnanski, T. J.(2002)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ience teachers: An analysis of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and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2), 189-202. https://doi.org/10.1023/A:1016517100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