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tive evalua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초

Mathview로 작성한 웹페이지의 활용에 대한 형성평가 (Formative evalu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Mathview web pages)

  • 전영국;이병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11-12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athview로 작성된 웹기반 학습 자료가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자료 개발은 수학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교과서 내용에 비중을 두고 제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수는 6명이며 그 여학생들은 모두 12시간에 걸쳐 면담, 서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고 또한 관찰 기록의 대상으로 활동하였다. Mathview라는 소프트웨어가 지난 그래픽 제시 기능과 대수적 조작 기능에 따른 원래의 연구 기대치와 달리 학생들은 전통적인 학습 방법을 선호하였음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는 Mathview 자료 제작에서 평가용 항목의 추가와 보다 주의깊게 설계된 문서를 구성함으로써 개인별 학습에 따른 학생들의 작업 과정과 통합되는 설계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인수분해에 대한 오류 분석과 온라인 개별화 수업의 효과 (Error analysis on factorization and the effect of online individualization classes)

  • 최동원;허혜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3-105
    • /
    • 2021
  •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도구의 적극적 활용은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돕는다. 본 연구는 인수분해에 대한 오개념과 오류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용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교육의 영향이 적은 경기도 농촌 지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총 16차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구글클래스룸'을 LMS로 활용하고, 동영상 강의는 유튜브에 업로드하였으며,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인 '줌(Zoom)'과 '페이스톡'을 통해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였다. 온라인 수업상황에서 '구글클래스룸'을 통해 학생의 과제와 질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군에는 학생들의 질의 여부와 상관없이 과제와 시험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졌고, 대조군에도 피드백이 이루어졌으나 자발적으로 피드백을 원하는 학생에게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학생의 실력 향상과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확인을 위해 사전검사, 형성평가 5회,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7번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5회의 인수분해 형성평가 분석을 통해 인수분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학생들이 '다항식으로 된 인수를 하나의 인수로 인식하지 못함'과 '숫자는 인수가 아니다.'라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오류유형을 정리 또는 정의의 왜곡 오류, 기능상의 오류, 풀이를 검증하지 않는 오류, 무응답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를 개별화 지도에 이용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두 집단은 1회부터 4회까지의 형성평가까지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회차 형성평가와 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학습 평가에 관한 실태조사 (An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Evaluation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s)

  • 김호진;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111
    • /
    • 2000
  • 6차 교육과정 개편 이전에 임용된 교사들의 경우 목표 달성을 진단하는 과학 평가에 관한 기본 지식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면, 관찰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지식이며, 관찰 활동을 실천하는 관찰 능력은 탐구 기능인 것인데 오개념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장 수업중에 제시한 학습 목표는 수업 후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여야 하는데 목표에 부합되지 않은 문항으로 형성 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태도 영역 평가의 객관성 확보 방법이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관한 개선이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6차 또는 7차 교육과정에서 지식, 기능, 태도 3영역의 균형있는 평가를 제시하고 있어 어느 정도 개선되었으나 현장에서는 수행 평가 도입으로 탐구 기능의 평가 비율을 높여 더욱 균형있는 3 영역의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 PDF

일개 의과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체제에 대한 연구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System in a Medical School)

  • 윤소정;이상엽;임선주
    • 의학교육논단
    • /
    • 제22권2호
    • /
    • pp.131-142
    • /
    • 2020
  •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system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essential. Monitoring and evaluation (M&E) are two distinct but complementary processes referred to in an evaluation system that emphasizes formative purpose. Monitoring involves regular data collection for tracking process and results, while evaluation requires periodic judgment for improvement. We have recently complete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evaluation using the M&E concept in a medical school.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two loops, one at the lesson/course level and the other at the phase/graduation level. We conducted evaluation activities in four stages: plann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improvement. In the planning phase, we clarified the purpose of evaluation, formulated a plan to engage stakeholders, determined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and developed an evaluation plan. Next, during the monitoring phase, we developed evaluation instruments and methods and then collected data. In the evaluation phase, we analyzed results and evaluated the criteria of the two loops. Finally, we reviewed the evaluation results with stakeholders to make improvements. We have recognized several problems including excessive burden, lack of expertis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stakeholders' evaluation questions, and inefficient data collection. We need to share the value of evaluation and build a system gradually.

보건진료소의 고혈압예방 및 관리사업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an Evaluation Tool for Evaluation of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in Community Health Posts)

  • 조원정;권명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7-208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evaluation tool for evaluation of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HPMP) in community health posts (CHPs). Method: Evaluation tool compos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field visiting,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Result: The evaluation tool had four domains, each with different maximum points:, hypertension prevention (35), hypertension management (40), environment of the CHPs(10), and evaluation system of the HPMP(15). The first domain was hypertension prevention with sub-domains of health education, and early detection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second domain was hypertension management with sub-domains of management of health records of pati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reatment and follow-up of patients. The third domain was the environment of the CHPs with subdomains of accessibility of CHPs to residents, accessibility of general health data to the public, and avail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to the public by multimedia. The fourth domain was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HPMP with the subdomains of planning of program, formative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evaluation tool will contribute not only to plan and set goals for evaluation of HPMP in CHPs.

  • PDF

볼레로의 조형적 특성과 시각적 평가의 구성요인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the Components of Visual Evaluation of the Bolero)

  • 김정미;이정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79-686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look in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bolero and to evaluate the visual effects and imag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ine and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s of the neck, center front, and hem lines from analyzing the bolero style shown in 2005 S/S domestic fashion.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bolero was made philologically with reference books, theses and some articles. And the bolero style shown in 2005 S/S domestic fashion was analyzed with pictures from a fashion magazine "Ceci" and a fashion website 'Interfashion Planning" from Feb. to Aug. of 2005. As a result, the basic lines of the bolero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onnecting lines of the neck, center front line, and hem line. We altered the length of the bolero in three categories with the changes in the waistline-5 cm, 8 cm, and 11 cm. For the visual evaluation, 9 stimuli were placed in mannequins, and were estimated by the experts in the fashion design. For the visual evalu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ine and length of the bolero, we used 12 pairs of items to find the visual effects, and 13 pairs of adjectives to measure the visual images. The stimuli and adjectives were randomly given to the evaluators and were evaluated by the 7-Point Likert Type Scale. Data we got from this experiment was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the SPSS 12.0 and practiced the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the current women's garments, the bolero is a new fashion item which combines with jackets or cardigans. Usually the bolero jacket is made out of a cotton, denim, leather or fur, and the bolero cardigan usually used knitted materials. The design could be very varied depending on the roundness of the center front line, and hem li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the visual effects of the Bolero, four factors were identified the whole silhouette, neck line, breasts and should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the visual image of the Bolero,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maturity, tenderness, neatness.

디자인 전공자의 조형 교과목 비대면 수업방법론 (Methodology: Non-face-to-face teaching for formative art courses of the design majors)

  • 장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19-223
    • /
    • 2021
  •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해 갑자기 수행된 비대면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 이제까지의 수업모형으로는 한계를 느끼고 특히 예체능 계열에 속하는 디자인 전공자들의 이론과 실기수업방법의 비대면 수업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비롯한 쌍방향 수업, 플립러닝 등의 다양한 기존 스마트러닝 방법을 고찰하고 이제까지 연구된 사례를 바탕으로 각 연구들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실기교과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업방법설정, 수업진행, 평가, 사후관리 등의 4단계로 수업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디자인전공자 대학생에게 수업한 결과 수업방법과 진행에 있어서는 효율적 진행이 가능했으나 평가와 사후관리에 있어서는 비대면 수업으로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평가와 사후관리 즉 실기 완성도의 고취를 위한 구체적인 실기수업방법 연구가 요구된다.

Productivity S/W 학습용 웹 코스웨어에서 상황맥락적 오류교정 패드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textual Error-Correction Feedback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o Web Courseware for Learning Productivity S/W)

  • 김도윤;배영권;백장현;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41-149
    • /
    • 2004
  • 현재 웹 코스웨어에서의 형성평가와 이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은 많이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 웹 코스웨어의 형성평가와 사용자 반응에 따라 제공되는 피드백은 실제의 문제 상황과 거리가 먼 상태에서 단순한 텍스트 형태로 정오의 표시, 정답 표시, 관련 정보의 표시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자칫 피드백의 교정적 기능을 약화시켜 학습자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학습 전이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따르면 학습은 그 것이 발생하는 상황에 영향을 받고 지식이 어떤 맥락에서 학습했느냐에 따라 다르게 학습되며 전이된다고 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웹 코스웨어에서 형성평가를 실시할 때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피드백을 문제 상황과 밀접하고 유사하게 상황맥락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상황맥락적 오류고정 피드백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그리고 실제 Productivity S/W를 학습할 수 있는 웹 코스웨어에 '정오/정답제공형 피드백', '관련정보제공형 피드백' '상황맥락적 오류교정 피드백'을 적용한 후 '상황맥락적 오류교정 피드백'이 학업 성취에 있어서 다른 두 가지 유형의 피드백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하였다.

  • PDF

컴퓨터 대수 시스템 기반의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 개발과 형성 평가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of Web-based Contents for Engineering Mathematics Based on a Computer Algebra System)

  • 전영국;김진영;권순걸;허희옥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7-4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동기유발과 수학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기반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Mathematica와 웹 연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webMathematica를 사용하여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미적분학습용 웹 콘텐츠 시스템인 MathBooster를 제작하였다.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웹 콘텐츠의 구성은 먼저 미적분의 개념을 그래프와 같은 시각화한 그림을 사용함으로써 흥미와 동기의 유발, 그리고 개념 형성을 위해 요소 지식에 관련된 내용을 수식과 텍스트로 제시하였다. 또한 단계별 풀이과정이 제시되는 예제를 제공하여 개념의 이해를 통한 응용력을 배양하도록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학습자의 이해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퀴즈를 제공하였으며 베이지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퀴즈 풀이 결과에 따라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학습의 이해 정도를 진단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의 형성평가를 위하여 MathBooster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화면구성의 적절성, 실습하기 모드의 만족도, 퀴즈, 진단결과, 피드백 만족도 등의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MathBooster의 실습을 마친 이공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영역별로 통계 처리한 결과 MathBooster 사용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여 주었다. 이 결과에 따라 향후 시스템을 수정보완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寫眞測量에 의한 우리나라 主要 石塔의 時代別 造形比 分析 (Photogrammetric Analysis of Formative Ratio of Stone Pagodas According to the Period)

  • 유복모;최철순;오이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3-81
    • /
    • 1992
  • 文化材의 관측에 있어서 址上寫眞測量을 적용하는 것은 경제적인 뿐만 아니라 正確度의 측면에서도 그 유용성이 높다. 또한, 날로 심화되어 가는 문화재의 훼손을 감안하여 정밀한 관측을 통한 가치평가 및 보존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石塔 중에서 國寶나 寶物級 또는 그 진가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地方有形 文化財 石塔중 址上寫眞測量에 의해 정확히 관측된 자료를 시대별로 그 造形比를 분석하여 文化財로서의 참뜻 및 독창성을 발견하는데 目的을 두고 있다. 址上寫眞測量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主要 石塔을 精密國化하고 그 造形比를 분석한 결과 각 시대별로 특징적인 造形比를 가지고 石塔이 건조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는 앞으로 石塔의 건조 시대와 그 保存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