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type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29초

階段式魚道에서 隔壁 形狀에 따른 水理學的 特性 및 魚類의 上流移動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Upstream Migration of Fish by the Weir Type in a Pool-Weir Fishway)

  • 김진홍
    • 물과 미래
    • /
    • 제29권6호
    • /
    • pp.225-235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계단식어도의 격벽 형상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과 어류의 상류이동에 미치는 효과를 다루고 있으며, 상류이동이 용이하도록 격벽의 적정 형태를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격벽 형상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적정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수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zig-zag 형태로 설치된 작은 notch를 가진 직사각형 격벽이 notch가 없는 단순 직사각형 격벽이나 사다리꼴 형태의 격벽보다 좋은 것이며이 밝혀졌는데, 이는 수위 저하시에도 어류의 상류이동이 가능하고 더우기 상류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notch를 통한 낙하 흐름을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Notch는 월류 최대유속이 어류의 유영한계유속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표면류를 지속하도록, 즉 무차원유량 값이 0.27과 0.41 범위 내에 들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산 어분의 종류별 아미노산 이용율에 관한 연구 (A Bioassay on Amino Acid Availability of Various Domestic Fish Meal)

  • 김대진;김영길;김진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5
    • /
    • 1984
  • 국내에서 생산되는 정어리어분, 청어어분, 멸치어분, 명태부산물어분 그리고 취치부산물 어분의 일반조성분, 칼슘, 인, 그리고 아미노산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어분의 몇가지 필수아미노산(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을 제외하고는 필수아미노산 진정이용율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분의 종류별 필수아미노산 이용율은 멸치어분, 정어리어분, 쥐치부산물어분, 청어어분 그리고 명태부산물어분이 각각 95, 93, 91, 91%순위였다. 개별 필수아미노산의 진정이용율은 시험 어분들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1). Lysine 의 진정이용율은 청어어분, 명태부산물어분 그리고 쥐치부산물 어분순으로 낮은 반면에 phenylalanine은 쥐치부산물과 명태부산물어분 순위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으로 멸치어분은 모든 어분중에서 진정아미노산 이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Fisheries in Lake Tinishu Abaya (Ethiopia) could be managed using dietary na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1757)

  • Yirga Enawgaw Anteneh;Solomon Wagaw Mamo;Minichil Addis Tilah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491-499
    • /
    • 2023
  • Lake Tinisu Abaya is home to some fish species. The lake's native fish species include Barbus and Tilapia zilli. Tilapia fish (Oreochromis niloticus L.) were stocked in Lake Tinishu Aabaya in 1997.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s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to develop an appropriate fisheries management approach in the lake. 428 O. niloticus fish samples (2.5 to 30.9 cm and 1.1 to 475 g) were collected to calculate the diet composition. Out of the total of 428 gut contents examined, 55 (12.85%) were found to be empty and 373 (87.15%) to be containing one or more food items. The diet behavior of the stocked fish in the study lake revealed that phytoplankton (39.5% by volume) and macrophytes (25.81% by volume) were the most noteworthy food items followed by detritus (14.39%) and zooplankton (12.95%). With increasing fish size, the importance of phytoplankton, macrophytes, and detritus increased while the contribution of zooplankton, insects, and other foods with an animal origin decreased.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fish was evident (t-test; p < 0.05). Macrophytes, zooplankton, and detritus were the dominating food items during the wet season, while phytoplankton predominated during the dry seas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O. niloticus had phytoplanktivores that primarily consumed phytoplankton and that the seasons and fish siz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eeding preferences. The diet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comprised foods with both plant and animal origins. It concludes that the dietary habit of O. niloticus in the lake is, generally, the omnivorous type.

부산 일대에서 시판되는 붕장어의 Anisakis 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larval anisakids in Astroconger muyias.for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near Pusan)

  • 송수복;황은경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63-268
    • /
    • 1992
  • 인체 소차관의 급성 질환 띤 만성으로 호산구성 육아종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nisakis류에 있어서 중간 숙주가 되는 우리나라 남해안산 허산 어류 중 부산 각 지역별 광안리, 자갈치, 송도와 다대포에서 붕장어를 구입하여 유충류를 채집한 후 헙대학적인 조사를 시도하였던 바 Anisakis type과 Contracaecum type의 두가지 유충을 검출하였다. 붕장어 382마리 중 259마리가 양성으로 67.8%의 감염률이었으며 붕장어 마리당 감염를은 전체 충체 1,768마리로써 4.6마리였다. 넉장어의 크기에 따른 선충류의 감염률은 꽐수록 증가되었다. 통장어의 각 장기별 선충류의 감염률은 망 1,430(80.8%), 소장 166(9.38%), 위장 107(6.0%), 퍼부 32(1.8%), 근육 18(1.0%), 간장 13(0.7%) 그리고 두부 2(0.1%)의 순위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붕장어회의 생식으로 Anisakis류의 인체 감염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on in vitro Gonadotropin Release in Testosterone-Treated Immature Rainbow Trout

  • Kim, Dae-Jung;Kim, Yi-Cheong;Aida, Katsum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429-437
    • /
    • 2009
  • The control mechanism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on gonadotropin (GTH) release was studied using cultured pituitary cell or cultured whole pituitary obtained from Testosterone (T) treated and control immature rainbow trout. The release of FSH was not changed by salmon type GnRH (sGnRH), chiken-II type (cGnRH-II), GnRH analogue ([des-$Gly^{10}D-Ala^6$] GnRH ethylamide) and GnRH antagonist ([Ac-3, 4-dehydro-$Pro^1$, D-p-F-$Phe^2$, D-$Trp^{3,6}$] GnRH) in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and control fish. Indeed, FSH release was not also altered by sGnRH in cultured whole pituitary. All tested drugs had no effect on the release of LH in both culture systems of control fish. The levels of LH, in contrast, such as the pituitary content, basal release and responsiveness to GnRH were increased by T administration in both culture systems. In addition, the release of LH in response to sGnRH or cGnRH-II in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fish, but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both GnRH at the concentration examined. Indeed, LH release was also increased by sGnRH in cultured whole pituitary of T-treated fish. GnRH antagonist suppressed the release of LH by sGnRH ($10^{-8}\;M$) and GnRH analogue ($10^{-8}\;M$) sti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cultured pituitary cells of T-treated fish, and which were totally inhibited by $10^{-7}\;M$ GnRH antagoni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nsitivity of pituitary cells to GnRH is elevated probably through the T treatment, and that GnRH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LH release. GnRH-stimulated LH release is inhibited by GnRH antagonis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s of gonadal steroids on FSH levels are less clear.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a C-type lectin in the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 Kwon, Mun-Gyeong;Kim, Ju-Won;Park, Myoung-Ae;Hwang, Jee-Youn;Park, Hyung-Jun;Park, Chan-Il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0
    • /
    • 2012
  • C-type lectins are crucial for pathogen recognition, innate immunity, and cell-cell interactions. In this study, a C-type lectin gene was cloned from the rock bream. The full-length RbCTL cDNA was 729 bp with a 429 bp ORF encoding a 164-residue protein.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RbCTL had all of the conserved features crucial for its fundamental structure, including the four cysteine residues involved in sulfide bridge formation and potential $Ca^2+$/carbohydrate-binding sites. RbCTL contains a signal peptide one single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It showed 29.4% similarity to the C-type lectin of rainbow trout. RbCTL mRNA was predominately expressed in gill and head-kidney tissue and expressed less in peripheral blood leukocytes, trunk-kidney, spleen, liver, intestine and muscle. Expression of RbCTL was differentially upregulated in rock bream stimulated with LPS, Con A/PMA and poly I:C.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놀래기류의 성 특성 (Sex Characterization of Wrasses Inhabiting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Korea)

  • 이치훈;김윤석;이영돈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79-84
    • /
    • 2006
  •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용치놀래기, 어렝놀래기, 황놀래기, 놀래기를 대상으로 체장에 따른 성 분포와 생식소의 성 특성을 조직학적으로 탐색하여 성 전환 양상을 조사 비교하였다. 용치놀래기, 어렝놀래가, 황놀래기, 놀래기는 자성선숙형 자웅동체어로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정소조직(정자형성부위)이 퇴화기 난소의 전역에 출현하는 혼재형 2에 속하는 어종이었다. 용치놀래기, 황놀래기 그리고 놀래기는 1차 수컷과 2차 수컷이 존재하는 복웅성 어류이고, 조사된 어렝놀래기는 암컷이 수컷으로 성 전환된 2차 수컷만이 출현하는 단웅성 어류로 사료된다.

  • PDF

의암호의 어류군집 (Study of the Fish Community of Lake Uiam)

  • 최재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3
    • /
    • 2005
  • 2003년 7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의암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동태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 13과 41종 4,706개체이었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R. uyekiid)을 포함하여 줄납자루 (A. yamatsutae), 중고기 (S. nigripinis morii), 긴몰개 (S. gracilis majimae), 몰개 (S. japonicus coreanus), 돌마자 (M.yaluensis), 참종개 (I. koreensis), 새코미꾸리 (K. rotundicaudata),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퉁가리 (L. andersoni), 동사리 (O. platycephala) 등 11종 (26.8%)이었다. 우점종은 누치 (H. labeo) 16.2%, 피라미 (Z. platypus) 13.8%, 줄납자루 (A. yamatsutae) 11.8%, 긴몰개 (S.gracilis majimae) 10.4%, 돌고기 (P. herzi) 5.8%, 빙어 (H.olidus) 4.3% 등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을 살펴보면 총 92,057.6 g이 채집되었고 누치 (H. labeo)가 35,868.8 g (39.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잉어 (C.carpio) 22,471 g (24.4%), 큰입우럭(M. salmoides) 5,446.7 g (5.9%),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5,163.0 g (5.6%), 떡붕어 (C. cuvieri) 3,328.0 g (3.6%), 피라미 (Z. platypus) 2,537.4 g (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암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뱀장어 (A. japonica), 빙어 (H. olidus), 꾹저구 (C. urotaenius), 갈문망둑 (R.giurinus), 이스라엘잉어 (C. carpio (Israeli type)), 떡붕어 (C. cuvieri), 무지개송어 (S. gairdneri irideus),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큰입우럭 (M. salmoides) 등 9종이었다. 이 중 이스라엘잉어 (C. carpio (Israeli type)), 떡붕어 (C. cuvieri), 무지개송어 (S. gairdneri irideus), 파랑볼우럭(L. macrochirus), 큰입우럭(M. salmoides)은 국외종이며, 뱀장어 (A. japonica), 빙어 (H. olidus), 꾹저구 (C. urotaenius), 갈문망둑 (R. giurinus)은 국내 다른 수계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3. 구조개량을 위한 각멍어구 모형실험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Fishing System of Set Net in the Coast of Jeju Island 3. The Mode| Experiment of Fyke Net for Construction Improvement)

  • 김석종;구명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37-46
    • /
    • 2004
  •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 시스템 개량과 개발분야에서 연안해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각망어구의 구조개량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물망을 1/20로 축소하여 개량된 입구 구조를 갖춘 모형 어구 8종류를 제작하고, 실험 수조에서 고등어 어군을 이용하여 모형 어구에 대한 어군의 입 ${\cdot}$ 출망 행동을 관찰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통그물내에서의 어군의 행동 패턴은 원형 모양으로 한쪽 원통그물내에 체류하는 행동과 긴 타원형 모양으로 좌 ${\cdot}$ 우 원통그물내를 왕복 유영하는 행동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모형 어구 내에서의 고등어 어군의 평균 유영 속도는 원통 그물 중간 부분에서 24.9cm/sec, 오른쪽 원통그물내에서 12.6cm/sec, 입구에서 32.0cm/sec였다. 3. 어군의 입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47%였고, 깔대기 그물이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4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7% 정도로 그다지 크지 않았다. 4. 어군의 출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69%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1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로 그 폭이 컸다. 5. 어군의 잔여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31%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의 모형 어구에서는 9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였다.

쏘가리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Endocrin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 이재현;구세광;박기대;이형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9-297
    • /
    • 2002
  •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Steindachner)의 위장관에 존재하는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빈도를 포유류의 peptide에 대한 7종류의 항혈청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쏘가리의 위장관은 근위부에서부터 원위부까지 위, 소장 및 대상으로 3 등분 하였으며, 다양한 종류의 항혈청에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면역반응세포들이 상피세포 사이와 위샘 또는 장샘에서 관찰되었다. 상피세포 사이에서는 대부분의 면역반응세포들은 장 내강까지 신장되어 있는 긴 세포질 돌기를 함유한 방추형의 개방형 세포 (open type cell)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 돌기 없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폐쇄형 세포 (close type cell)들이 위 부위에서 소수 관찰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serotonin, somatostatin, pastrin, cholecystokinin (CCK)-8 및 human pancreatic polypeptide (HPP) 면역반응세포들이 관찰되었으나, insulin 및 glucagon 면역반응세포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Serotonin 및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위 부위에 국한되어 각각 중등도 및 다수의 출현빈도로 관찰되었다. 또한 gastr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와 소장에서 출현하였으며, 각각 소수 및 중등도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었고, CCK-8 면역반응세포들은 소장에 국한되어 중등도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HPP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와 소장에서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에서 쏘가리 위장관 내분비세포들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 빈도는 다른 경골어류에 비해 특이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