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 of the Fish Community of Lake Uiam  

Choi, Jae-Seok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v.17, no.1, 2005 , pp. 73-8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fish fauna and the dynamics of fish community structure in Lake Uiam,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July 2003 to May 2004. During the surveyed period, 41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were collected. There were 11 Korean endemic species (26.8%), including Rhodeusuyekii, Acheilognathus yamatsutae, Sarcocheilichthys nigripinis morii, Squalidus gracilis majimae,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Microphysogobio yaluensi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anderson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Dominant species were Hemibarbus labeo (16.2%), Zacco platypus (13.8%), A. yamatsutae (11.8%), S. gracilis majimae (10.4%), Pungtungia herzi (5.8%), and Hypomesus olidus (4.3%). The biomass of collected fishes were H. labeo (35.9 kg), Cyprinus carpio (22.5 kg), Micropterus salmoides (5.5 kg), Lepomis macrochirus (5.2 kg), Carassius cuvieri (3.3 kg) and Z. platypus (2.4 kg). Of the 9 introduced fishes in Lake Uiam, Cyprinus carpio (Israeli type), Carassius cuvieri, Oncorhynchus mykiss irideus,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originated in foreign countries, but Anguilla japonica, Hypomesus olidus, Chaenogobius urotaenius, and Rhinogobius giurinus were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river systems.
Keywords
Lake Uiam; fish fauna; fish community; introduced fis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전상린. 1989. 한국산 황어속, 연준모치속 및 버들치속(황어아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 상명여대논문집, 23 :17-36
2 Pielou, E.C.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Amer. Nat., 100 : 463-465   DOI   ScienceOn
3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 688   DOI
4 전상린. 1983.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대논문집, 11 : 289-321
5 전상린. 1984. 한국산 동자개과 및 메기과 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대논문집, 14 : 83-115
6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서울
7 최재석.이광열.장영수.고명훈.권오길.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2) : 95-104
8 변화근.조규송.최재석.최준길.송병용. 1994. 치악산 (부곡)계류 어류의 월별 군집구조와 서식밀도. 한국육수학회지, 27 : 257-273
9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10 최기철. 1971. 춘천호, 의암호 및 아침못의 어류동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육수학회지, 4(1) : 43-62
11 김익수. 1984. 한국산 모래무지아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7 : 436-448
12 김익수. 1982. 한국산 납자루아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전북대 생물학연구연보, 3 : 1-18
13 남명모.양홍준.채병수.강영훈. 1998. 내린천의 어류상과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 : 61-66
14 손영목. 1987. 한국산 퉁가리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중앙대박사학위논문, 서울
15 양홍준.채병수. 1993. 금호강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I). 한국육수학회지, 26 : 1-10
16 Nelson, J.S. 1994. Fishes ofthe world. John Wiely & Sons, New York, 600 pp
17 김익수. 1988. 한국담수산 골표상목과 극기상목 어류의 분류. 생물학연구연보, 8 : 83-173
18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pp. 133-520
19 양홍준.채병수.남명모. 1997. 안동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 : 347-356
20 Choi, K.C. 1969. Fish population dynamics in the Chunc­hon impoundment, Korea. Kor. J. Lim., 2: 31 -38
21 송호복.권오길. 1992. 댐 건설에 따른 의암호의 어.패류상변화. 강원대학교 논문집, 31 : 178-186
22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문, pp. 14-49
23 김익수.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24 內田惠太郞. 1939. 朝鮮漁類誌. 朝鮮總督府 水産試驗場報告, 6 : 1-460
25 최재석.장영수.이광열.김진국.권오길. 2004.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1) : 111-119
26 송호복.권오길. 1989. 의암호에 서식하는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의 산란 및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육수학회지, 22 : 51-70
27 양홍준.채병수.남명모. 1991. 홍천강 상류수역의 추계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24 : 37-44
28 최기철. 1986. 강원의 자연(담수어편). 강원도 교육위원회, pp. 117-123
29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e Univ. Press, Urbana, 177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