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job

검색결과 2,690건 처리시간 0.028초

뷰티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Analysis of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Job Experience Had Been Done During Undergraduate on the First Job in Beauty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 황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88-295
    • /
    • 2020
  • 뷰티 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 GOMS) 6개년도 (2012~2017년) 자료에서 뷰티 계열 취업자 16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및 통계분석은 Windows 기반 SPSS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독립성 검증과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결과, 재학 중 일 경험 여부, 일 경험 기간, 일 경험 회수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불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반면 전공 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일 경험 기간이 1년 이상일 때 대비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학 중 일 경험에 대한 학점인정 제도의 교육 정책 지원과 뷰티 계열 졸업생의 취업 이행 행태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irth Intention of Working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in Infanc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최미란;장경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3-7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2 working mot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l of who had a single child under 36 months old.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were assessed with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mot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mothers'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child's main caregiver. The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of the mothers who relied on babysitters to care for their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the mothers whose mothers, mother-in-laws or child care teachers cared for their children. Secondly,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Thirdly, the mothers' job satisfac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ng stress and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working mothers with social support for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alleviating their job stres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econd childbearing intention.

환경분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 (A Study on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 for the Environmental field)

  • 주인중;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3호
    • /
    • pp.5-18
    • /
    • 2004
  • 이 연구는 1998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로서 교육 훈련 자격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2002년도에 개발된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고, 2003년에 이 연구와 함께 수행된 $\ulcorner$직업 변동에 관한 연구(III)$\lrcorner$에서 추출된 환경 산업 관련 직업 중에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요구되는 1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교육 과정, 훈련 기준, 자격 검정의 출제 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작 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직무분석 관련 선행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며, 셋째, 직무분석 대상 직업을 선정한 후, 넷째,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직무분석 관련 선행 연구 및 자료 분석, 직무분석 보완 및 대상 직업 선정과 직업별 직무분석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데이컴법(DACUM process)을 이용한 직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직업교육훈련과정의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 4단계는 선수 코스 및 교과목 선정, 5단계는 교육 훈련 내용 상세화, 6단계는 출제 기준 설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절차에 따라 10개 직업에 대한 직업별 직무분석이 진행되었다.

의류판매원의 직무관련 변인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Related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Apparel Salespeople)

  • 박광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8-385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job related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gain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impacts of job related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questionnaire survey collected data from september $1^{st}$ and $7^{th}$ 2011. A convenience sample was drawn from salespersons working for department stores in Daegu and Pohang. A total of 337 responses were complete and usable questionnaires. Data were tested through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x factors were extracted from job related variables (positive reaction of customer, career of salespeople, interpersonal relations, influence of salesperson, customer complaints, overwork).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related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verage monthly income, work period, and job position. Thir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job related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was career of salespeople,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 influence of salesperson, customer complaints, and overwork.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between job related variables and job performance was positive reaction of customer, followed by career of salespeople, interpersonal relations, influence of salesperson, and customer complaints.

패밀리 셋업이 존재하는 병렬기계 일정계획 수립 (Scheduling for Parallel Machines with Family Setup Times)

  • 권익현;신현준;엄동환;김성식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41
    • /
    • 2005
  • This paper considers identical parallel machine scheduling problem. Each job has a processing time. due date. weight and family type. If a different type of job is followed by prior job. a family setup is incurred. A two phased heuristic is presented for minimizing the sum of weighted tardiness. In the first phase. using roiling horizon technique. group each job into same family and schedule each family. In the second phase. assign each job to machines using schedule obtained in the first phase. Extensive computational experiments and comparisons among other algorithms are carried out to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Organization Members on Job Satisfaction

  • Kim, Moon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156-165
    • /
    • 2020
  • W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inal 216 copies of the responses from SME organization memb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using statistical programs of SPSS24.0 and AMOS 24.0.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s shown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onsensus, development, hierarchy, and rationa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hypothetical one-man organizational culture was adopted by showing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autonomy in job performance, compensation system,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hypothesis 2 were adopted as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was expressed as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so hypothesis 3 was adop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s, and the improvement in job satisfac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ndicate job performance.

보건소 공무원들의 감정노동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Job Attitude of Public Health Workers)

  • 신선해;안재선;김문중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attitude in public health centers. Results: First, emotional dissonance had no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owever, emotional endeavor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Third, emotional labor had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Four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attitud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clusions: Higher emotional labor leads to lower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in public officials, thereby affecting job attitude. Accordingly, various systematic methods, such as flexible working hours and personnel policy, need to be implemented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코로나 19 이후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fter COVID-19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 이진열;윤기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3-69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질 향상과 함께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업무량을 조절과 사물인터넷 기술의 활용이다. 둘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을 줄이기 위해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플랫폼 노동시장의 구직기간 단축 결정요인: 웹크롤링과 생존모형을 이용한 분석 (Determinants of Shortening Job-hunting Period in Platform Labor Market: Analysis by using Web Crawling and Survival Model)

  • 이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임금수준이 첫 업무획득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플랫폼 노동시장은 실업률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와 고용인 간의 신뢰형성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전 고용주의 피드백이 고용주와 고용인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였다. 다만, 첫 번째 업무를 획득하지 못한 신규 구직자의 경우 이전 고용주에 의한 피드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랫폼에서는 임금이 고용주가 아닌 구직자들에 의해 스스로 제시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이 구직기간 단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Freelancer.com에서 발췌한 3,704명의 구직자 정보를 사용한다. 생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은 구직기간 단축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 Mediating Role of Proactive Behavior -)

  • 최수형;이정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2호
    • /
    • pp.47-66
    • /
    • 2019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역할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첫째,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새로운 발현 기제를 증명하여 이를 통해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둘째, 실증된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 발현 기제를 토대로 국내 조직 구성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는 일터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인 잡 크래프팅 행동을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 방해적 직무요구 감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주도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도적 행동은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도적 행동은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및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