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etardant pain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MDF 목재의 방염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MDF Wood According to Flame Retardant Treatment Method)

  • 차정민;현성호;김인범;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46-1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장방염처리(방염후처리)가 적용되고 있는 MDF 목재에 국내에서 유통되는 5개사 제품을 MDF 목재에 부착한 방염필름과 MDF 목재(무처리, 비방염필름)에 수성 유성 방염도료로 도포된 시편을 대상으로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염처리 방법에 따라 방염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MDF 목재에 5개사의 방염필름을 부착하여 연소 시험한 결과 2개사 제품은 4가지 기준 내에 적합한 값을 나타냈으나 나머지 3개사 제품은 10~40 %의 불합격률을 나타냈다. 방염도료의 특성별로는 유성방염도료가 수성방염도료보다 방염성능 기준 내에서는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성방염도료를 도포한 MDF 목재에서 수성방염도료를 도포한 MDF 목재에서 보다 독성지수의 위험등급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었다.

저연기성 이액형 방염우레탄락카 백색도료 연구 (Study for Binary Liquid Type Fire Retardant White Paint of Polyurethane Lacquer)

  • 권경옥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527-530
    • /
    • 2007
  • 방염도료로 일액형 염화고무(Chlorinated Rubber) 백색도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탄화시 검은 연기가 많이 발생되고 목재에 대한 표면강도와 접착력 등의 미흡한 단점이 있어 이러한 점 등을 고려한 Polyurethane Resin계(Alkyd Resin) 이액형 방염우레탄라카 백색도료를 개발하였다. 본 실험에서 개발한 목재용 Polyurethane Resin계 방염도료 조성의 물성은 기존의 방염백색도료보다 목재와의 친화력이 향상되고 다량의 연기발생은 억제하는 결과를 얻었다.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each Coating Thickness of Fire Retardant Paints)

  • 김홍;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4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및 트레이에 설치된 케이블의 화재시 화염전파를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기밀도(ASTM E 662)와 산소지수 (ASTM D 2863) 시험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난연도료의 연소특성은 다음과 같다. (a) 난연도료의 최적 두께는 수성계의 경우 1.5∼2mm, 유성계의 경우 0.2mm 것으로 나타났다. (b) 연기밀도는 Non-flaming방식보다 Flaming방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c) 연기밀도와 산소지수를 측정한 결과 수성계 난연도료가 유성계 난연도료 보다 연소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산소지수가 규격(30이상)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MDF합판의 방염 및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sist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DF Plywood)

  • 김인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256-260
    • /
    • 2014
  • 건축물 내부의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MDF합판은 화염의 착화를 지연시키기 위해 방염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방염도료나 방염액 또는 방염필름 등을 적용하여 착화를 지연시키는데 이 때 적용하는 시료에 따라 방염성능과 연소 시 발생되는 가스의 유독성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MDF에 적용된 방염시료들의 방염성능 및 연소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방염성능에 부합하는 제품이 확인되었으나 방염처리방법에 따라 방염성능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소과정에서 발생되어지는 여러 종류의 유독가스의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P 선박 기관실 난연성 향상을 위한 추가 방열재의 화재성능비교 (Comparison on the fire performance of additional insulation materials for improving the fire retardancy in engine-room of FRP vessel)

  • 최정민;엄한찬;진영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9호
    • /
    • pp.1150-1155
    • /
    • 2014
  • 강화플라스틱(FRP) 선박은 화재 시 화염확산을 막기 위하여 관련 구조 기준에 따라 기관실 주위 벽 내부를 난연성 수지로 3회 이상 적층하거나, 이와 동등한 방열재로 둘러싸야한다. 관련 난연성 적층용 수지 및 일부 난연재료(연질폴리우레탄복합체)의 경우 선박용 물건의 형식승인 시험기준에 따라 그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나, 방열재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겔코트'에 대한 성능기준은 명확하지 않은 실정으로 난연성 수지와 화재안전성능이 비교 평가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FRP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 중인 난연성 수지 3종, 겔코트 4종, 방염도료 1종 및 폴리우레탄 복합재 1종에 대해 화염전파시험과 방염성능시험을 적용하여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화염전파시험 결과 임계열유속(CFE) 기준으로 각 종별 평균값을 비교하면 폴리우레탄 복합재, 난연성 수지, 방염도료, 겔코트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왔고, 겔코트는 3회 도포한 것이 6회 도포한 것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방염성능시험 결과 탄화면적 기준으로 각 종별 평균값을 비교하면 방염도료가 가장 좋게 나왔고 난연성 수지와 겔코트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도료의 주성분에 따른 편백 합판의 방염성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Japanese Cypress Plywood Based on the Main Ingredients of Fire Retardant Paint)

  • 임수희;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6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Japanese cypress(Chamaecyparis obtusa) plywood, commonly used in indoor decoration, furniture, and tableware, by treating it with three different fire retardants with different primary ingredien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Article 31, Paragraph 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ire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ct and Articles 4 and 7-2 of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Standards. After flame time, after glow time, char length, and char area were measured. As a result, first, after flame time was measured at 0 seconds regardless of whether the flame retardant treatment was applied. Second, after glow time was relatively long, measuring 22.7 seconds without treatment, which is likely due to the weak fire resistance and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by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ypress itself.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the primary ingredient, phosphorus, in the flame retardant treatment varied depending o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ers of the same species of Japanese cypress plywoo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to select flame retardant treatments that show high flame retarda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

용접 불티 차단막 개발을 위한 섬유류의 적정 방염처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Suitable Flame Retardant to the Fibers for Welding Blanket Development)

  • 이근원;김관응;이두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8-55
    • /
    • 2002
  • 본 연구는 용접불티 차단막 개발을 위해 섬유류의 방염처리 후 화재성능 평가를 통해 적정한 방염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재료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섬유류이며, 방염처리는 난연제와 방화도료를 사용하였다. 화재성능 실험은 한국과 일본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방염처리된 섬유류는 방염 및 난연성능이 충분하였으며, 그들의 난연등급은 A급에서 C급으로 나타났다. 최소산소지수는 방염제로 처리된 모든 시료가 국제기준을 만족하였다. 용접불티 차단막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대 높이에 관계없이 난연 A급에서 C급의 성능을 가진 제품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난연 C급 성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용접불티에 의한 화재확산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