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each Coating Thickness of Fire Retardant Paints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김홍 (호서대학교 안전시스템공학과) ;
  • 박형주 (호서대학교 대학원 안전공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experimental study show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coating thickness of water and oil paint which are used as fire retardant paints that prevent fire propagation through cables in underground culverts and trays. To evaluate combustion characteristics, smoke density(ASTM E 662) and Limited Oxygen Index(ASTM D 2863) experiment method was us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paints produced the following : (a) The molt suitable coating thickness of fire retardant paint was 1.5∼2.0 mm in water paint and 0.2 mm in oil paint. (b) Flaming method in experiments of smoke density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Non-flaming method. (c) Water paint has the fire retardant effect and characteristics better than oil paint in measurement results of smoke density and oxygen index. (d) The oxygen index of water and oil fire retardant was able to know that it was satisfied a standard (30 or above).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및 트레이에 설치된 케이블의 화재시 화염전파를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기밀도(ASTM E 662)와 산소지수 (ASTM D 2863) 시험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난연도료의 연소특성은 다음과 같다. (a) 난연도료의 최적 두께는 수성계의 경우 1.5∼2mm, 유성계의 경우 0.2mm 것으로 나타났다. (b) 연기밀도는 Non-flaming방식보다 Flaming방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c) 연기밀도와 산소지수를 측정한 결과 수성계 난연도료가 유성계 난연도료 보다 연소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산소지수가 규격(30이상)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유태준, '전력케이블의 절연재료', 고분자과학과 기술, Vol. 9, No. 5, pp.381-388(1998)
  2. '전기통신 및 기계시설 화재 진압 대책', 제주도소방서(2000)
  3. 김성길, '수성난연도료의 제조기술 및 응용', 삼화페인트공업(주) 기술자료집, pp.123-146(1998)
  4. E.-K. Park, I.-M. Yang, D.-W Kim, K.-H. Hwang, and H.-S. Park,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U Flame-Retardant Coatings Using Tribromo Modified Polyesters', Polymer (Korea), Vol. 25, No.3, pp.391-398(2001)
  5. W.-B. Im and H.-S. Park,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Flame Retardant Coatings by Phosphate-Containing Modified Polyester/TDI Adduct',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 15, No.3, pp.77-84(1998)
  6. I.-M. Yang, S.-R. Kim, H.-J. Park , H.-S. Hahm, J.-P. Wu, and H.-S. Park, 'Phys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of PU Coatings Polymerized with Two Different Types of Isocyanates and Dichloro-Polyester Polyol', Polymer(Korea), Vol. 26, No. 2, pp.193-199(2002) https://doi.org/10.1016/0032-3861(85)90029-1
  7. '케이블의 화재 확대 예방시설 기준', 한국전기안전공사 검사지침, 제7장(2002)
  8. '연소방지 도료등의 도포 및 성능에 관한 기술기준 제정(안)', 행정자치부 고시 제 2002-9호(2002)
  9. 김운형, 김종훈, 민인홍, 전동일, '전력용 케이블의 연기 유독성 실험', 한국화재 . 소방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59-263(2001)
  10. 김운형, 김태수, 김상욱, '전력용 케이블의 열방출량 측정', 한국화재 . 소방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80-283(2001)
  11. 박찬호, 정창기 , 이복영, 김기옥, 정재희, '내화전선의 내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 . 소방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pp.54-59(2002)
  12. 윤헌주, 유동일, 사공성호, 김학진, '소방용 전선의 연기 밀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 . 소방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50-156(2003)
  13. 박승민, 김운형, 윤명오, '지하구 케이블의 연소특성 실험', 한국 화재 . 소방학회 논문집 , Vol. 16, No. 2, pp.75-80(2002)
  14. ASTM E 662, 'Standard Test Method for Specific Optical Density of Smoke Generated by Solid Materials', ASTM(1993)
  15. ASTM D 2863,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The Minimum Oxygen concentration to support Candle-like Combustion of Plastics (Oxygen Index)', ASTM(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