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blight diseas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of Erwinia amylovora and Erwinia pyrifoliae with a Single Primer Set

  • Ham, Hyeonheui;Kim, Kyongnim;Yang, Suin;Kong, Hyun Gi;Lee, Mi-Hyun;Jin, Yong Ju;Park, Dong S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3호
    • /
    • pp.194-202
    • /
    • 2022
  • Erwinia amylovora and Erwinia pyrifoliae cause fire blight and black-shoot blight, respectively, in apples and pears. E. pyrifoliae is less pathogenic and has a narrower host range than that of E. amylovora. Fire blight and black-shoot blight exhibit similar symptoms,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one bacterial disease from the other. Molecular tools that differentiate fire blight from black-shoot blight could guide in the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to control both diseases. In this study, a primer set was developed to detect and distinguish E. amylovora from E. pyrifoliae by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primers produced amplicons of different sizes that were specific to each bacterial species. PCR products from E. amylovora and E. pyrifoliae cells at concentrations of 104 cfu/ml and 107 cfu/ml, respectively, were amplified, which demonstrated sufficient primer detection sensitivity. This primer set provides a simple molecular tool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bacterial diseases with similar symptoms.

Pseudomonas syringae에 의한 사과나무 가지마름병의 발생 (Bacterial Shoot Blight of Appl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 서상태;원선영;박덕환;김영숙;허장현;임춘근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1호
    • /
    • pp.46-49
    • /
    • 1999
  • Bacterial blight occurred on the flowers, leaves, twigs and branches of apple trees (Malus domestica Borkh) in Chunchon, Kangwon-Do. Infected flowers and leaves turned brownish black, and they were fallen down or remained hanging in the trees. Under humid conditions during postblossom period, the casual bacterium spreaded along twigs and killed them. However, killing of branches was very rare. The symptoms on apple trees were very similar to symptoms of fire blight. But the causal organism isolated from the lesions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yringae based o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described bacterium that causes apple shoot blight in Korea.

  • PDF

Maryblyt 기반 참다래 꽃썩음병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Maryblyt-based Forecasting Model for Kiwifruit Bacterial Blossom Blight)

  • 김광형;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67-73
    • /
    • 2015
  • P.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해 발생하는 참다래 꽃썩음병은 개화기 전후의 기상조건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지금까지 기상조건과 꽃썩음병 발생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들은 많았지만, 이를 활용해 꽃썩음병의 감염 위험도를 나타낼 수 있는 예측모형은 개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보를 조사하고 꽃썩음병의 병원생태와 유사한 화상병 예측모형인 Maryblyt모형을 기반으로 참다래 꽃썩음병 예측모형인 Pss-KBB Risk Model을 개발하였다. 비교평가를 통한 검증 결과, Pss-KBB Risk Model은 각각 온도와 강수 정보만을 이용하는 개화전 평균온도 모형과 강우일수 모형에 비해 실제 과수원의 병해 발생정도를 더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ss-KBB Risk Model과 기상예보자료를 활용해 꽃썩음병의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여 꽃썩음병에 대한 적기적량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과수 화상병 전염 차단을 위한 전정 가위 소독 방법 (Disinfection Methods of Pruning Scissor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Fire Blight)

  • 임연정;함현희;이미현;이우형;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30권2호
    • /
    • pp.194-198
    • /
    • 2024
  • 화상병은 전정 도구 등에서 장시간 생존이 가능하고 작업 도구를 통해 화상병균이 전파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꽃이나 어린 과실, 도장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전정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는데 이런 농작업이 화상병 확산의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정 가위에 묻어 있는 화상병균을 완전히 멸균하기 위하여 국내에 유통되는 소독제의 소독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소독 방법을 구명하였다. 화상병균을 가위 날에 접종 후에 침지 소독할 경우 70% 에탄올 및 1%와 0.2%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경우에는 침지 후 10초가 지나면 바로 멸균되는 반면, 30% 이산화염소는 소독 효과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분무 처리로 소독할 경우에는 70% 에탄올은 분무 1초 후에는 바로 멸균이 되었지만 1%와 0.2%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각각 10초와 60초 후에 멸균되었다. 자연적으로 화상병이 발병한 가지를 5회 및 100회 절단한 후 전정 가위 날 표면에 묻어 있는 화상병균에 대한 침지 소독 시간에 따른 제거 효과를 검증한 결과, 70% 에탄올에 30초 동안 침지 처리한 경우 완전히 세균이 멸균되지 않았지만 60초 이상에서는 세균이 멸균되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현장에서 전정 작업 시 전정 가위를 70% 에탄올에 60초 이상 수시로 침지하여 소독할 것을 제안한다.

Microbial Community Dysbiosis and Functional Gene Content Changes in Apple Flowers due to Fire Blight

  • Kong, Hyun Gi;Ham, Hyeonheui;Lee, Mi-Hyun;Park, Dong Suk;Lee, Yong 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404-412
    • /
    • 2021
  • Despite the plant microbio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plant health, little is known about the potential interactions of the flower microbiota with pathoge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mmunity of apple blossoms when infected with Erwinia amylovora. The long-read sequencing technology,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enome sequence resolution, thus enabling the characterization of fire blight-induced changes in the flower microbial community. Each sample showed a unique microbial community at the species level. Pantoea agglomerans and P. allii were the most predominant bacteria in healthy flowers, whereas E. amylovora comprised more than 90% of the microbial population in diseased flowers. Furthermore, gene function analysis revealed that glucose and xylose metabolism were enriched in diseased flowers. Overall,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icrobiome of apple blossoms is rich in specific bacteria, an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flowers is important for the incidence and spread of bacterial disease.

과수화상병 매몰방재지 토양에서 분리된 8종의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Report of Eight Unrecorded Fungi from the Fire Blight Burial Control Soil in Korea)

  • 노형진;서희주;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7-460
    • /
    • 2023
  • 식물병원 세균 Erwinia amylovora 의해 발생하는 과수화상병은 사과, 배 등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병의 빠른 확산을 막기 위해 국내에서는 병이 발생한 사과나무와 배나무에 대해 매몰하는 병관리를 실시해 왔다. 방제방법의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매몰한 이병식물과 이병식물 주변의 토양을 조사하였다. 매몰토양 미생물군 조사과정에서 Bisifusarium allantoides, Botryotrichum Domesticum, Microascus verrucosus, Paraphoma pye, Phaeosphaeria culmorum, Ramophialophora globispora, Sordaria tomentoalba, Striaticonidium brachysporum 등이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이들 8종 진균에 대한 형태학적,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Characterization of the Lytic Bacteriophage phiEaP-8 Effective against Both Erwinia amylovora and Erwinia pyrifoliae Causing Severe Diseases in Apple and Pear

  • Park, Jungkum;Lee, Gyu Min;Kim, Donghyuk;Park, Duck Hwan;Oh, Chang-Si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5호
    • /
    • pp.445-450
    • /
    • 2018
  • Bacteriophages, bacteria-infecting viruses, have been recently reconsidered as a biological control tool for preventing bacterial pathogens. Erwinia amylovora and E. pyrifoliae cause fire blight and black shoot blight disease in apple and pear,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bacteriophage phiEaP-8 was isolated from apple orchard soil and could efficiently and specifically kill both E. amylovora and E. pyrifoliae. This bacteriophage belongs to the Podoviridae family. Whole genome analysis revealed that phiEaP-8 carries a 75,929 bp genomic DNA with 78 coding sequences and 5 tRNA genes. Genome comparison showed that phiEaP-8 has only 85% identity to known bacteriophages at the DNA level. PhiEaP-8 retained lytic activity up to $50^{\circ}C$, within a pH range from 5 to 10, and under 365 nm UV ligh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bacteriophage phiEaP-8 is novel and carries potential to control both E. amylovora and E. pyrifoliae in apple and pear.

미끼식물을 이용한 화상병 감염 기주 매몰지 내 화상병균 제거 효율 검증 및 병 재발 모니터링 (Monitoring the Reoccurrence of Fire Blight and the Eradication Efficiency of Erwinia amylovora in Burial Sites of Infected Host Plants Using Sentinel Plants)

  • 박인웅;송유림;응우옌 트렁 부;오엄지;황인선;함현희;김성환;박덕환;오창식
    • 식물병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1-230
    • /
    • 2022
  •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병은 2015년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2021년 기준으로 전국 22개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우리나라는 식물방역법에 따라 화상병이 발생한 사과 및 배 과원은 발생주율을 기준으로 모든 기주식물들을 완전히 제거하여 구덩이에 매몰처리한다. 이후, 3년간 화상병균 전파를 막기 위해 매몰지 위에 기주식물 식재를 금하고 있다. 매몰처리법에 의한 화상병균 박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상병 감수성 식물을 미끼식물로 이용하여 매몰지에 식재 후 화상병 재발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에 매몰처리한 경기도 안성시와 충북 충주시 소재 매몰지 3곳을 선정하여 미끼식물 감시시설을 설치하였다. 화상병 감수성 식물인 사과(부사)를 미끼식물로 선정하고, 각 감시시설당 5주를 식재하였다. 감시시설은 울타리와 그물로 격리하였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와 동작감지기, 그리고 현지 기상상황을 기록하는 센서를 설치하였다. 감시시설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육안으로 화상병 발병 유무를 확인하였다. 미끼식물로부터 화상병 의심 증상을 나타내는 표본을 채취하고 화상병균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과 conventional PCR을 통해 화상병균 감염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어떠한 미끼식물에서도 화상병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매몰 후 화상병 기주식물 3년 식재 금지 조항을 완화하는 근거로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국내 과수산업과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배 화상병 종합적 방제를 위한 Maryblyt 활용 방안 연구 (A Maryblyt Study to Apply Integrated Control of Fire Blight of Pears in Korea)

  • 남궁경봉;윤성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5-317
    • /
    • 2022
  • 배 화상병의 성공적 방제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 발병지와 남부지방의 미발병 주산지 주요지점 25곳에 대한 Maryblyt를 구동하여 꽃감염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최근 5년 중 2019년과 2022년 개화기간 중 꽃감염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한편, 개화기간 중 최적의 꽃감염 방제 처리는 High 경보 다음날에 방제하고, 강우예보를 발령한 전날 방제하는 처리가 배 꽃감염을 낮추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월동 궤양으로부터 활성화된 궤양이 병징을 보일 것으로 Maryblyt가 예측한 날은 대략 중부지방 기준 5월 중순이었는데 이때부터 현장에서 궤양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권장하였다. 천안, 이천, 상주, 나주 등 4곳의 배 과수원에 설치한 영상자료로부터 배 개화기간을 이론적으로 계산한 값과 실제 관측한 값의 차이점을 비교한 결과 남부지방은 이론치나 실측치보다 늘 빠르게 개화를 예측하므로 재조정이 필요하였다. 향후 현장 관리자와 농민들로부터 과원에서 관측한 기상, 기주인 과수, 병징 출현일 등의 정보들이 축적된다면 발병 예측 모델은 현재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접종을 통한 국내 야생 장미과 식물의 화상병 감수성 검정 (Determination of Fire Blight Susceptibility on Wild Rosaceae Plants in Korea by Artificial Inoculation)

  • 박인웅;송유림;오엄지;김요엘;황인선;전미진;안초롱;김진숙;김순옥;오창식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23-38
    • /
    • 2023
  •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병은 2015년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화상병은 벌과 같은 화분매개충, 강한 바람을 동반한 강수와 이병주 전정 작업에 의한 전파 등 많은 경로를 통해 병원균 감염이 진행되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자생하는 개야광나무속, 산사나무속, 피라칸다속, 벚나무속, 마가목속 등의 장미과 식물이 E. amylovora의 기주식물과 전파원이 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자생하고 있는 장미과 식물의 화상병 감수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다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국내에서 채집한 야생 장미과 식물 10속 25종을 대상으로 화상병 감수성 검정을 진행하였다. 108 cfu/ml 농도의 E. amylovora 균액을 이용하여 채집한 식물의 꽃, 잎과 가지, 과실에 접종하고, 화상병 유사 병징 발현을 관찰하고 PCR을 통해 접종 조직 내의 E. amylovora 검출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징 발현과 병원균 검출 결과가 동일한 14종의 야생 장미과 식물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적절한 화상병 방제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