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rming practice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4초

발효퇴비 시용이 토마토의 생육 , 수량 및 토양중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ed Animal Manure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es and Changes of Soil Nutrients)

  • 전대우;구자형;이영복;이종석;문창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4-259
    • /
    • 1998
  • 농가에서 실행되고 있는 유기농업의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돈분, 또는 돈분과 계분을 혼합하여 만든 발효퇴비를 10a 당 3, 6, 12ton씩 시비하고 다시 미생물제를 처리한 후 토마토의 생육, 수량 및 토양 중 양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토마토 초장은 퇴비 시용구에서 관행구에 비하여 길었으며 엽폭은 관행구에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관행구에서 계속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퇴비 시용량의 차이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차이는 정식 45일 후부터 아주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미생물제를 사용하여 충분히 발효시킨 경우 12ton/10a의 시용에서 토마토의 수량이 관행구의 50-60%에 불과하였으나, 재배도중 추비하였을 경우에는 6ton/10a 시용구에서 관행구의 82%정도에 달하는 수량을 얻었다. 3. 일차 발효된 퇴비의 시용 후에 미생물제의 토양 살포는 질소성분의 빠른 유실을 초래하였으며 토양중 미생물의 밀도를 상당히 높혀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과실의 색깔은 모든 퇴비 시용구에서 관행구에 비하여 붉은 색이 선명하게 나타났으며, 당도와 산도는 퇴비 시용량이 많은 12ton/10a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도는 관행구에서 유기물 시용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5. 퇴비 시용구에서 $NO_3-N$$NH_4-N$의 함량은 시용 직후에는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나 급속히 감속되어 4-5주 후부터 아주 미량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인산,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함량은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USLE모형과 대체법을 이용한 밭농사의 토양유실 저감기능 계량화 평가 (Evaluation on national environmental functionality of farming on soil loss using the USLE and replacement cost method)

  • 현병근;김무성;엄기철;강기경;윤홍배;서명철;성기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61-371
    • /
    • 2002
  • 밭농사에 다원적기능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토양유실저감기능에 대하여 기존에 보고된 결과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그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밭농사의 토양유실량을 USLE모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인자별 값은 다음과 같다. 강우인자(R)값은 429.4, 토양침식성인자(K)값은 0.15, 지형인자(LS)값은 1.72, 작물인자(C)값은 0.275, 토양관리인자(P)값은 0.856이었다. 2. USLE모형에 의한 우리나라 밭농사의 토양유실량은 ha당 연간 26.1톤이었으나, 나지토양의 경우에는 ha당 연간 110.8톤으로서 밭농사에 의한 토양유실량은 나지에 비하여 23% 수준이었으며, 연간 밭농사는 나지토양에 비하여 84.7톤의 토양유실량 저감기능이 있었다. 이것을 밭면적전체로는 연간 62,650천톤에 해당되었다. 3. 밭농사에 의한 토양유실저감량을 객토단가로 환산할 경우 연간 4,974억원에 해당하였다. 4. 토양유실 세부모형중 LS값이 1.72로 매우 높았는데, 밭농사의 공익기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등고선, 대상재배 등 농경적인 접근과 계단전 등의 전환 등 농토목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유기농 밭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under Organic Farming)

  • 조현준;황선웅;한경화;조희래;신재훈;김이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8-102
    • /
    • 2009
  • 유기농재배농가 토양관리 실태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농 밭 토양은 인근대비 용적밀도와 경도의 개선효과가 있었고, 특히 공극률, 소형판침하량, 표토심, 경운심, 근권심은 높게 나타났다. 내수성입단은 유기농재배 밭이 인근농가 밭보다 오히려 낮았다. 이는 유기농가에서 염류집적을 고려하여 파쇄목, 나무껍질, 수피 등과 같은 C/N율이 높은 거친 유기물들을 시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농재배 밭의 유효인산 및 치환성양이온 함량 등의 토양화학성은 대부분 인근농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물을 과량 시용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논벼 농가의 재배기술 선택요인 분석 (Selection Factors for Cultivation Practices in Paddy Rice Farming)

  • 정우석;김성섭;서상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1호
    • /
    • pp.45-56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selection factors for cultivation practices in paddy rice farming. For the study, conjoint model with part-worth utility was adopted, where model profiles included three attributes of yield, production cost, and cultivation difficulties and two levels for each attribute. The value of each level was set up with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nety three rice farmers, who joine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s farmer correspondences, were surveyed through internet with the profiles selected by factorial design. Result showed that rice farmers considered cultivation difficulties a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factor to adopt new cultivation practices followed by production cost and yield in consecutive order. This results were robust in spite of past experiences with new practices, willingness to adopt new practices in the future, imitative nature and government interventions.

농촌 주택정원 실태 분석 연구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ural House Garden)

  • 최진아;조세환;박미정
    • 농촌계획
    • /
    • 제21권4호
    • /
    • pp.65-75
    • /
    • 2015
  • The purposes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were the efficient fo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house gardens of the farming villages in the future by stereotyping the house gardens of the farming villages and the garden spaces and the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farm villages and the suggestion of the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farming village environments. As a result, there were the limitations that this research had been limited to the garden spaces of the farm village houses, without considering all the environments of the farm villages. It was thought that, if,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s for drawing the item of the concrete creation of the gardens and the management are proceeded with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in the vei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rm village homestead gardens and the villages in the future, this will prove helpful in practically formulating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policies for supplying the farm village gardens for the farm villages.

유기농업단지 주요경관요소의 물리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Management of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 안필균;공민재;이상민;김상범;조정래;김남춘;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107-116
    • /
    • 2020
  • Up to date, the majority research on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seeking efficiency. The problem is that this type of study contributes to pollu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c farming,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that research on how to manage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practicing organic farm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conservative aspects of rural landscapes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landscape of organic agriculture and, intended to be used to maintain and preserve natural and ecologically harmonious landscapes by deriving management methods suitable for landscape elements targeting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of the organic farming complex. To carry out, this study performed the experts survey which is composed of 13 major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dirt roads, windbreak trees, accent planting, dum-bung(small pond), natural small river, natural waterways, plastic film houses, one-storied houses, and pavilion. As a result, Farm land was formed in a square shape, concentrated in an independent space, planted companion plants around the crop, and covered with plants to manage the borders. As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aspart road system circulating through the village, the evergreen broad-leaved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ultivated land, and the accent plant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were suitable.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consists of Round small pond made of stone in an open space, natural rivers around the village, and natural channels around the farmland, and The Major facilities are suitable for greenhouses that are shielded by plants in independent regions, and wooden duck houses located inside the cultivation area are suitable and The settlement facilitie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for single-story brick houses located in independent residential areas, pavilion located with greenery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and educational spaces shielded with wood from arable land. If supplementary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management of organic farming landscape are additionally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landscape value of ecologically superior organic farming.

Effects of eggplant rootstocks on root-knot nematode(Meloidogyne arenaria, race 2)

  • Ryu, Young-Hyun;Kim, Dong-Geu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67-270
    • /
    • 2011
  • Root-knot nematodes cause a significant damage on fruit yield and quality of green house growing crops. To asses the effect of eggplant rootstock, Torvum vigor', TaibyouVF' and 'Daitaro' were grafted on eggplants(Solanum melongena cv. Chookyang) and planted in root-knot nematode infested microplot in green house and compared their fruit yield, quality and plant growth with non-grafted control. Eggplant grafted with Torvum vigor had the highest fruit yield and top growth and followed by Daitaro. Non-grafted eggplant had lower yield but had higher root weight because of heavy root-knot nematode infection. Rootstock grafting in eggplant farming is a good alternative technique in root-knot nematode infested green houses without compromising fruit yield and can be applied instantly as organic farming practice.

유기농업 철학과 원칙의 회복을 통한 위기 극복 방안 (Issues on Overcoming Present Crises of Organic Agriculture through its Philosophy and Principle)

  • 김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3-69
    • /
    • 2017
  • The organic farming was begun with principles and values like environmental friendliness, symbiosis, and cooperation and circulation. And there has cut keen market competition, as sales and market siz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much larger. Thus producers and consumers have kept up with the market trend making light of the philosophy and principle of organic agriculture. So cases of fraud or false certification have been increased since 2010. Accordingly, not a few consumers have distrusted of the safety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status of organic agriculture has shown downward trend and market siz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reduced since 2012. Thus the income of organic agricultural farmers hasn't been increased. It is thought that present organic agriculture fell into the crisis. Now, organic agricultural farmers should practice farming methods based upon the philosophy and principle of organic agriculture in order to overcome its crisis.

대체농업자재에 의한 과수의 품질 및 주요병해방제 효과 (Effect on Fruit Quality and Tree's Main Disease Control by Agro-chemical alternatives)

  • 남기웅;김승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7-77
    • /
    • 2002
  • 과수농가에서 시용하고 있는 대체농업자재들을 대상으로 과실수량 및 품질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고, 또한 이들 자재들이 사과에서 발생하는 주요병해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료와 농약을 시용하지 않고 대체농업자재만을 사용하여 재배한 과수원에서는 과실 수확량이 관행농법의 56%수준으로 낮은 경향이었으며, 과일의 크기도 적어 상품성 있는 과실 생산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면에서 처리간 과실중의 당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비타민C 함량은 환경농법구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농약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목초액, 유산균, 천혜녹즙, 현미식초, 키토산을 사과원에서 처리한 결과 키토산 처리구에서 사과병해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그 외 처리는 관행농법구보다 병해발생이 많았다. 키토산, 현미식초, 천혜녹즙과 아미노산처리구에서 생산된 과실중에 당함량이 다소 많았으며 키토산, 현미식초, 활성탄과 목탄처리구에서는 비타민C 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과수원에서 농약을 전혀 시용하지 않고 대체농업자재에 의존한 과수원 경영은 매우 곤란한 것으로 생각되며, 대체농업자재는 비료와 농약 사용량을 줄이면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고 특히 영년생인 과수의 경우는 장기간 동안 대체농업자재를 처리한 후에 토양의 비옥도 변화, 토양미생물상 변동, 천적 생물의 변동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효과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농수산대학 재학생의 학교생활 감성 분석 및 영농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ibility Analysis of School Life and the Will to Farming of Students at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al and Fisheries)

  • 주진수;이소영;김종숙;신용광;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103-1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농대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선호도 및 졸업 후 영농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에는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의 분석 기법으로 오피니언 마이닝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텍스트 마이닝의 결과는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여 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감성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졸업 후 농사일을 하려는 학생들의 영농의지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대학생활 호감도 조사는 대학 이미지, 자기 역량, 기숙사, 교육시스템, 미래 비전 등 5개 분야에 전체 10개 항목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감성 분석을 위한 긍·부정 사전은 수집된 응답지에서 긍정과 부정의 감정을 분류하여 긍정어 사전과 부정어 사전을 각각 만들어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10개 평가항목 가운데 대학 지원 당시의 '대학 이미지', 10년 후의 '자기 모습' 항목은 70% 이상, '자기 역량'과 '현재의 한농대' 항목은 60% 이상의 긍정적 감정을 나타냈다. 반면 '대학 기숙사' '교육과정' '장기현장실습' '한국 농업의 미래' 항목에 대해서는 긍정적 감성보다 부정적 감성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 영농기반, 입학 동기에 따른 영농의지 차이의 교차 분석에서는 성별, 입학 동기에 따른 영농의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영농기반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영농의지에 대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입학 동기'로 파악되었으며, 본인의 의지로 입학한 학생일수록 영농의지가 형성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