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가금유래 병원성 대장균의 extended-spectrum β-lactamase(ESBL) 특성 조사 (Survey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i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oultry in Korea)

  • 성명숙;김진현;조재근;설성용;김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59-265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cidence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strains and characteristics of ESBL gene i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oultry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03 to December 2005 in Korea. Among 203 isolates, 4 isolates (3 from broilers and 1 from layer) were confirmed as ESBL producing strains by double disk synergy test,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equencing for ${\beta}$-lactamase genes. $bla_{CTX-M-15}$ and $bla_{CMY-2}$ were detected in these 4 isolates and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 by conjugation, respectively. Also, these ESBL producing strains were associated with multiple drug resistanc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exhibit incidence of CTX-M and CMY-2 ${\beta}$-lactamase in pathogenic E coli from poultry in Korea, and clinically important meaning in human. And they also suggest the needs for rapid and broad surveillance to monitor ESBL genes and R plasmid transferring resistant gene in poultry.

부산 도축장에서 분리된 광범위 베타 락탐 분해효소(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생성 장내세균의 형별분류 (Typing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Slaughterhouse in Pusan, Korea)

  • 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5-13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도축장과 도축물에서 plasmid 매개성 광범위 ${\beta}$-lactam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와Escherichia coli가 분리됨으로서 한국에서는 이들 균주가 임상범위를 넘어 자연계까지 확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디스크 확산 시험, 등전점 수치, 접합시험 등을 통하여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최종 10균주의 접합자를 얻었고 이들의 형별결정은 아미노산서열분석과 기준주와 대조등을 BCM Search Laucncher 및 NCBI blast를 통해 이루어졌다. 광범위 ${\beta}$-lactam 유형은 Klebsiella pneumoniae 8균주가 TEM-52형이었고 2균주 Escherichia coli가 SHV-12형이었다. CMY-1형은 본 연구에서 분리되지 않았다.

부산지역 하천에서 분리된 장내세균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pneumoniae의 광범위 베타 락탐 분해효소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대한 유형별 분류 (Typing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of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Rivers in Busan, Korea)

  • 이훈구;김혜진;김군도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6-123
    • /
    • 2007
  •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하천에서 plasmid 매개성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ESBL$)를 생성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생성된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를 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함이다. Escherichia coli 6균주와 Klebsiella pneumoniae 15균주가 피전달균주인 Escherichia coli J53 $Azid^{R}$에 plasmid 매개성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 생성 인자를 전달하였다. PCR 후 얻은 유전인자를 plasmid로 매개된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E. coli와 K. pneumoniae 유전자를 BCM Search Launcher 및 GenBank nucleotide database를 통하여 검색한 결과 ESBL 유형은 TEM-52형과 SHV-12형이었다. TEM-52는 E. coli와 K. pneumoniae 양쪽에서 분리되었다. 그러나 SHV-12는 K. pneumoniae에서만 분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lasmid 매개성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이 한국에서는 이미 임상범위를 넘어 자연계까지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와 보호자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유전자를 획득한 다약제내성 Klebsiella pneumonia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Genes Acquired Multidrug-Resistant Klebsiella pneumoniae in a Dog and Its Owner)

  • 한재익;장혜진;김근형;장동우;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5-129
    • /
    • 2010
  • 2년령 암컷 포메라니안이 교통사고로 인한 골반골절로 내원하여 골절 교정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수술 후 술부에서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 삼출물이 발생하였고, 분리한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penicillins, cephalosporins, aminoglycosides, quinolones, 그리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내성이 관찰되었다. 분리한 세균의 동정 및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확진시험을 통해 ESBL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임을 확인하였다. 치료를 위한 Carbapenem계 항생제의 감수성 시험 결과에 따라 meropenem을 선택하여 치료에 이용하였다. 분리된 세균에서 ESBL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검사 결과 TEM-1 ESBL 유전자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보호자의 손바닥에서 분리된 세균에서도 TEM-1, SHV-1 ESBL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광안리 오수처리장에 분리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Klebsiella와 Enterobacter의 유형 (Characterization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ESBL) Producing Klebsiella and Enterobacter Isolated from Sewerage Plant Drain Water at Kwang-An in Pusan)

  • 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7-283
    • /
    • 2001
  • 본 논문은 임상검체 이외의 자연계내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주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고, 분리되었을 경우 이들의 유형을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하수종말처리장, 가물치양식장, 부경대학교 담수어양식장, 공중목욕탕으로부터 분리된 균주를 double disk synergy 검사, 교환접합시험, 등전점 조사 등을 실시하여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로붙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주가 26 균주 분리되었다. 균종은 Entero-bacter cloacae와 E. sakazakii,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및 K. pneumoniae subsp. ozaenae 였다. 이들은 모두 PCR결과 TEM+SHV 복합형이었고 등전점 결과 Klebsiella속의 균들은 pI 5.9, 5.9+5.4 E. cloacae는 $pI{\ge}8.5$, 8.0+5.4, E. sakazakii는 8.0+5.4, 8.0+5.9+5.4였다. 교차접합시험(transconjugation) 결과 피전달 균주인 E. coli RG176 nal$_{r}$에게 K. pneumoniae subsp. pneumoniae (1 균주) K. pneumoniae subsp. ozaenea (5 균주)및 E. cloacae (1 균주)의 $\beta$-lactamase 생성유전자가 전달되었다. 이 결과는 국내에서 임상검체 이외의 자연계에서 분리된 ESBL생성 장내세균의 첫 번째 보고이다.

  • PD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for Typing Extended-Spectrum-β-Lactamase of Klebsiella pneumoniae

  • Yang, Byoung-Seo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49-154
    • /
    • 2005
  • 대학병원의 임상검체에서 extended-spectrum-${\beta}$-lactamase (ESBL)생성 Klebsiella pneumoniae 51균주를 분리하였다. ESBL생성 K. pneumoniae 51균주는 광범위한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대부분의 균주는 amikacin, gentamycin과 ciprofloxacin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대학병원에서 분리한 51균주를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로 분석한 결과 충남대학병원 21균주와 충북대학병원에서 분리한 10균주는 Ia 와 Ib에 속하였고 경상대학 병원에서 분리한 20균주는 IIa, IIb에 속하였다. ESBL 생성 K. pneumoniae 51균주는 RAPD 분석으로 4가지의 유전형으로 구분 할 수 있었고 유전적으로 다양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RAPD 분석은 유전형분석에 빠르고 단순하고 경제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부산시내 종합병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의 형별 분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Typing of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 in Pusan)

  • 김윤태;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1-227
    • /
    • 2000
  • 본 연구는 등전점과 PCR 생성물을 통하여 광범위 $\beta$-Lactamase(ESBL) 를 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의 ESBL 유형을 결정하였다. 부산시내 소재 3개 종합병원의 임상검체로부터 20균주의 ESBL 을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를 분리하였다. 제 3세대 cephalosporin인 cefotaime, cef-tazidime, ceftriaxone으로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여 ESBL 생성균주를 확인하였다. 등전점 및 PCR결과 TEM 형 (pI 5.2~6.0, 1080 bp), TEM+SHV 혼합형(pI 5.2~6.0 및 pI 7.0~7.4 로 1080 bp, 599bp), SHV형 (pI 7.0~ 7.4, 599 bp) , 그리고 PCR결과는 SHV형으로 나타났으나 등전점을 나타내지 않는 것과 등전점 및 PCR 결과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non TEM non SHV 형 등 5개군으로 나뉘어 졌다.

  • PDF

하수처리수에서 분리된 장내세균의 광범위 베타락탐분해효소의 유형 (Types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Produced in Enteric Bacteria Isolated from Sewage Plant Drain Water)

  • 김군도;이훈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76-682
    • /
    • 2010
  • 본 연구는 임상검체만이 아닌 주변 생활환경에도 광범위 베타 락탐분해효소를 생성하는 균주(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존재할 경우 그 균주를 분리하고 ESBL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부산 광안리 하수처리 방류수에서 이중 디스크 확산 검사 결과 양성반응을 나타낸 29균주를 선별하였다. 이중 sodium azide에 내성을 가진 피전달 균주인 Escherichia coli J5에 교차접합이 이루어진 15균주를 대상으로 indole, methyl-red, Voges-Proskauer, Simmon's citrate 시험과 decarboxylase-dihydrolase 및 여러 종류의 당 발효 시험 등 생화학 검사를 실시한 결과 Klebsiella pneumoniae(13균주)와 Escherichia coli(2균주)가 동정되었다. 등전점, PCR, 유전자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ESBL 유형을 결정하였다. Klebsiella pneumoniae의 ESBL 생성유형은 SHV-12(4균주)와 SHV-12/TEM-1(9균주)의 2종류로 구분되었고, Escherichia coli의 ESBL 생성유형은 TEM-1(2균주)로 판명되었다.

주변 수계에서 미생물유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유전자의 분포 (Distribution of th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gen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in the waterfront environments)

  • 배영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16-923
    • /
    • 2022
  • 창원시의 3개 지점(남천, 창원천, 청운지)에서 물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한 시료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DNA와 class A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ESBL) 유전자 5가지(blaOXA-1, blaSHV, blaTEM, blaCTX-M-1, blaCTX-M-9)를 target으로 하는 primers를 사용하여 quantitative PCR을 수행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지점별로 ESBL 유전자들의 수와 비율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천의 경우 DNA 30ng당 ESBL 유전자가 1.93×106 copy나 존재하는 데에 반해 창원천의 경우에는 1.47×105 copy 그리고 청운지에는 9.5×103 copy 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흐르는 하천인 남천과 창원천에서는 각 ESBL 유전자들의 비율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즉, 남천에서는 blaOXA-1 유전자가 65.3%, blaCTX-M-1 유전자가 33.6%를 차지하여서 이 두 유전자가 전체 ESBL 유전자의 99%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었다. 창원천에서도 blaOXA-1 유전자가 64.1%, blaCTX-M-1 유전자가 19.1%를 차지하므로 이 두 유전자가 전체의 83%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천과 다르게 폐쇄된 환경인 청운지 연못에서는 내성세균들의 총량 자체가 다른 두 하천에 비해서 월등하게 적었다. 또한 내성 세균의 비율도 달라서 blaCTX-M-1 유전자가 전체의 87.5%, 그리고 blaCTX-M-9 유전자가 9.8%를 차지하고 있었다.

병원획득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생성 Escherichia coli 균혈증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Nosocomial Bacteremia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Producing Escherichia coli)

  • 고대식;문송미;이지성;박윤수;조용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83-89
    • /
    • 2013
  •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producing Escherichia coli is increasing rapidly worldwide. Treatment options for ESBL-producing E. coli are limited, and infections caused by this organism are associated with improper antibiotic use, a long hospital stay, and increased mortality. Thus, the assessment and early recognition of the risk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s due to ESBL-producing E. coli are important for the infection control and proper treatment. Methods: A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that included nosocomial episodes of ESBL-producing E. coli bacteremia at a tertiary care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7. For each case patient, three controls were randomly selected and data on predisposing factors were collected. Results: Fifty-five cases of nosocomial ESBL-producing E. coli bacteremia were studied. Carbapenem usage (OR: 11.3, 95% CI: 1.1-115.9, p=0.041), quinolone usage (OR: 4.5, 95% CI: 1.1-18.8, p=0.042), biliary obstructive disease (OR: 11.8, 95% CI: 3.0-46.7, p<0.001) and the APACHE II score (OR: 1.3, 95% CI: 1.2- 1.5, p<0.001) were analyz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nosocomial ESBL-producing E. coli bacteremia.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physicians caring for patients with risk factors of nosocomial bacteremia should consider ESBL-producing E. coli as the causative organisms of the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