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acetate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51초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과 Phenolic Compound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Arctium lappa Roots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 임도연;이경인
    • 생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1-146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roots of Arctium lappa. The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found to be 818.29 mg/g and 360.59 mg/g as the highest content. In the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fractions and the extract.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S)/MS system under the multiple-reaction monitoring (MRM) with negative-ion electrospray ionization mode. The main phenolic compounds in the extract and fractions of roots from Arctium lappa were cynarin and chlorogenic acid. The main phenolic compound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cynarin. n-Butanol fraction had a significantly higher chlorogenic acid content than other samples. In conclusio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cynarin-riched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 지상부로부터 항진균성 활성물질 분리 (Isolation of an Antifungal Compound from Aerial Parts of Platycarya strobilacea)

  • 채상기;김진호;강상재;백남인;한재택;최용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68-270
    • /
    • 2003
  • 굴피나무 지상부의 메탄을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H_2O$으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였다. Ethylacetate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화합물은 NMR과 MS의 기기분석 결과 5-hydroxy-2-methoxy-1,4-naphthoquinone로 구조결정 되었다. 이 화합물은 in vivo 실험결과 토마토역병에 대하여 $100\;{\mu}g/ml$에서 76%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벼자나무 잎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Needles of Torreya)

  • 김진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53-59
    • /
    • 2001
  • 비자나무 잎을 아세톤-물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물 분획으로 분류하여 동결건조하고 분말상 화합물로 조제하였다. 그 중에서 ethylacetate 용성 추출물을 메탄올-물 및 에탄올-헥산(n-hexane)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Sephadex LH-20 칼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비자나무 잎의 추출성분은 대부분 (+)-catechin, (-)-epicatechin, (+)-gallocatechin 및 (-)-epigallocatechin과 같은 flavan 화합물과 3'-O-methyl-(+)-catechin 및 3'-O-methyl-(-)-epicatechin과 같은 flavan의 methyl ether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이외에 benzoic acid계 화합물인 protocatechuic acid도 단리 되었다. 단리된 화합물은 $^1H$- 및 $^{13}C$-NMR, NOE와 CI-MS 분석에 의해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 PDF

포도나무 (Vitis vinifero L.) 지상부로부터 분리한 항진균성 활성물질의 특성규명 (Cha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Substance Isolated from Aerial Parts of Vitis vinifero L.)

  • 임태헌;권순열;최용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2-86
    • /
    • 2007
  • 포도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H_2O$으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 하였다. Ethylacetate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hromatography와 재결정하여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이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EI-MS의 조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 betulin으로 구조결정 되었다. 이 화합물이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한 항균활성(in vitro)을 측정한 결과, 100 ${\mu}g\;mL^{-1}$에서 각각 52.1%, 40.8%의 균사생육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잔디 마름병(Rhizoctonia solani) 균의 균사생육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오동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16-23
    • /
    • 2005
  • 강원대학교 구내림에서 오동나무 잎을 채취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및 $H_2O$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avonoid류 화합물인 (+)-catechin, (-)-epicatechin, apigenin, luteolin, taxifolin과 phenolic acid류 화합물인 $\rho$-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및 $\rho$-coumaric acid를 단리 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 PDF

Antioxidant Effect of Tea Tree Root Extracts using Various Extraction Methods

  • Choi, Hyun-suk;Lee, Myung-ja;Kwak, So-young;Choi, Dubok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13-323
    • /
    • 2022
  • To investigate antioxidant effects of tea tree root extracts using various extraction methods, cytotoxicit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SO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reducing power,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were measured. Cytotoxicity for RAW 264.7 cells was not observed at concentrations treated with below 90 ㎍/mL in all extracts. The maximum DPPH radical, nitrite scavenging, SOD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were obtained at the ethylacetate and 70% ethanol extract. The maximum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obtained at the ethylacetate and hot water extract. However, in the case of reducing power and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they were obtained at 70% ethanol and hexane extract, respectively. Nitrate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e most excellent scavenging ability of 59.6% at 90 ㎍/mL of ethylacetate. The hexane extract had the highest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showing 61.05% at 50 ㎍/mL, 66.07% at 70 ㎍/mL and 76.81% at 90 ㎍/m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ethylacetate and 70% ethanol extracts of tea tree root can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for scavenging the radicals. However, future study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vity by identification of substances.

인진사령산 분획물이 간세포활성, 세포주기 및 Fas-Mediated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5 kinds of Injinsaryung-San fractions on Cell Viability, Cell Cycle Progression and Fas-mediated Apoptosis of HepG2 Cells)

  • 고흥;이장훈;우홍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4-185
    • /
    • 200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ive fractions on cell viability, cell cycle progression and apoptosis. Methods : This study employed MTT assay, Cell cycle analysis, Cpp32 protease assay, DNA fragmentation assay and Quantitative RT-PCR analysis. Results : In MTT assay, the butanol fraction of Injinsaryung-San has showed magnificent viability, while the $H_2O$ fraction and ethylacetate fraction also showed higher vi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H_2O$ fraction of Injinsaryung-San has showed magnificent viability, and butanol fraction and ethylacetate fraction of Injinsaryung-San with etoposide have also showed higher viability than the only etoposide group. Cell cycle analysis showed that each fraction of Injinsaryung-Sa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ell cycle. DNA fragmentation assay showed that the butanol fraction, $H_2O$ fraction and ethylacetate fraction carried inhibitory effects on apoptosis induction. Cpp32 protease activity assay showed that the butanol fraction, $H_2O$ fraction and ethylacetate fraction decreased Cpp32 protease activity, with the butanol fraction displaying greater effects. Quantitative RT-PCR showed that the butanol fraction, $H_2O$ fraction and ethylacetate fraction suppressed Fas and Bax genes, the butanol fraction increased BcI-2 gene, however no effect on Cpp32. Conclusions : The data shows that the butanol fraction of Injinsaryung-San increases the hepatocyte viability and has the heptocelluar protective effect by the suppression of apoptosis through gene regulation.

  • PDF

목단피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작용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Moutan Cortex Extract)

  • 권오근;손진창;김상철;정신교;박승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81-285
    • /
    • 1998
  • 목단피의 메탄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균작용,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검색하고, HPLC와 GC를 이용하여 페놀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항균작용은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람 음성균보다는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이었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의 MIC를 측정한 결과,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는 156-1250$\mu\textrm{g}$/ml, 그람 음성균에는 2500-5000$\mu\textrm{g}$/ml 이었다. DPPH 라디칼에 대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과 linoleic acid를 이용한 항산화 시험에서도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의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ol과 비슷하였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U와 HPLC를 이용하여 3종의 페놀화합물을 확인하였으며, 그 함량은 p-hydroxybenzoic acid 1.35%, methyl gallate 14.61%, gallic acid 4.01% 이었다.

  • PDF

녹비작물 추출물의 감자 더뎅이병균에 대한 항균력 검정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otato Common Scab (Streptomyces scabiei) of Green Manure Crop Extracts)

  • 박종인;정희정;배용희;강권규;노일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22-627
    • /
    • 2011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10종의 녹비작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균(Streptomyces scabie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함으로서 감자 더뎅이병 경감을 위한 녹비작물 선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0종의 녹비작물에 대하여 hexane, ether, ethylacetate, methanol 및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하였다. 그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ether, methanol 및 water 추출물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감자 더뎅이병균(Streptomyces scabiei)에 대한 항균활성은 methanol, ethylacetate, ether 및 water 용매를 이용한 모든 녹비작물 추출물의 0.25 mg/mL 농도에서부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methanol 용매를 이용한 하우스솔고 추출물은 감자 더뎅이병균에 대하여 다른 녹비작물 보다 더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하우스솔고의 이용은 감자 더뎅이병 경감을 위한 최적의 녹비작물로 생각되었다.

백작약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s from Paeonia japonica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2-2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과거부터 민간이나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온 백작약의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해 보고자하였다. 백작약을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acetate 및 methanol의 4가지 유기용매 및 열수에 추출하고, Gram(+)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및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Gram(-)세균인 Salmonella typhimirium, Salmonella paratyphimirium, Shigella dysenteriae, Shigella flexneri, Shigella sonnei 및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성장 억제 실험을 해 본 바, 백작약의 methanol 추출물이 10 mg/mL 농도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은 백작약의 ethylacetate 추출물이 5 mg/mL에서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액체 배지에 배양한 경우 5~10 mg/mL 농도에서 18시간까지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