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semble technique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초

효율적인 의료진단을 위한 앙상블 분류 기법 (Ensemble Classification Method for Efficient Medical Diagnostic)

  • 정용규;허고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97-102
    • /
    • 2010
  • 의료 데이터 마이닝의 목적은 효율적인 알고리즘 및 기법을 통하여 각종 질병을 예측 분류하고 신뢰도를 높이는데 있다. 기존의 연구로 단일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이 존재하며 나아가 모델의 더 좋은 예측과 분류 정확도를 위하여 다중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앙상블 기법을 적용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데이터의 보다 높은 예측의 신뢰도를 위하여 기존의 앙상블 기법에 사분위간 범위를 적용한 I-ENSEMBLE을 제안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진단을 위한 데이터를 통해 실험 적용한 결과 앙상블의 대표적인 기법인 Bagging, Boosting, Stacking기법 모두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존 단일모델 기법과 비교하여 다중모델인 앙상블 기법에 사분위간 범위를 적용했을 때 더 뚜렷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사례 선택 기법을 활용한 앙상블 모형의 성능 개선 (Improving an Ensemble Model Using Instance Selection Method)

  • 민성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5-115
    • /
    • 2016
  • Ensemble classification involves combining individually trained classifiers to yield more accurate prediction, compared with individual models. Ensemble techniques are very useful for improving the generalization ability of classifiers. The random subspace ensemble technique is a simple but effective method for constructing ensemble classifiers; it involves randomly drawing some of the features from each classifier in the ensemble. The instance selection technique involves selecting critical instances while deleting and removing irrelevant and noisy instances from the original dataset. The instance selection and random subspace methods are both well known in the field of data mining and have proven to be very effective in many applications.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integrating the instance selection and random subspace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new hybrid ensemble model that integrates instance selection and random subspace techniques using genetic algorithms (GA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random subspace ensemble model. GAs are used to select optimal (or near optimal) instances, which are used as input data for the random subspace ensemble model.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both Kaggle credit data and corporate credit dat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models to investigate performance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levels of diversity, and average classification rates of base classifiers in the ensemble.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ed other models including the single model, the instance selection model, and the original random subspace ensemble mode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nsemble-based Classification Model by Using k-means Clustering

  • Song, Sung-Yeol;Khil, A-R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1-3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nsemble-based classification model which extracts just new data patterns from the streaming-data by using clustering and generates new classification models to be added to the ensembl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data labeling while it keeps the accuracy of the existing system. The proposed technique performs clustering of similar patterned data from streaming data. It performs the data labeling to each cluster at the point when a certain amount of data has been gathered. The proposed technique applies the K-NN technique to the classification model unit in order to keep the accuracy of the existing system while it uses a small amount of data. The proposed technique is efficient as using about 3% less data comparing with the existing technique as shown the simulation results for benchmarks, thereby using clustering.

대용량 이미지넷 인식을 위한 CNN 기반 Weighted 앙상블 기법 (CNN-based Weighted Ensemble Technique for ImageNet Classification)

  • 정희철;최민국;김준광;권순;정우영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7-204
    • /
    • 2020
  • The ImageNet dataset is a large scale dataset and contains various natural scene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weighted ensemble technique for the ImageNet classification task. First, in order to fuse several models, our technique uses weights for each model, unlike the existing average-based ensemble technique. Then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finds the coefficients used in later ensemble process. Our algorithm sequentially selects the model with the best performance of the validation set, and then obtains a weight that improves performance when combined with existing selected models. We applied the proposed algorithm to a total of 13 heterogeneous models, and as a result, 5 models were selected. These selected models were combined with weights, and we achieved 3.297% Top-5 error rate on the ImageNet test dataset.

다중 스태킹을 가진 새로운 앙상블 학습 기법 (A New Ensemble Machine Learning Technique with Multiple Stacking)

  • 이수은;김한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3
    • /
    • 2020
  •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이란 주어진 데이터에 대한 일반화 과정으로부터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model) 생성 기술을 의미한다. 우수한 성능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학습데이터와 일반화 과정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이 준비되어야 한다. 성능 개선을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앙상블(Ensemble) 기법은 단일 모델(single model)을 생성하기보다 다중 모델을 생성하며, 이는 배깅(Bagging), 부스팅(Boosting), 스태킹(Stacking) 학습 기법을 포함한다. 본 논문은 기존 스태킹 기법을 개선한 다중 스태킹 앙상블(Multiple Stacking Ensemble) 학습 기법을 제안한다. 다중 스태킹 앙상블 기법의 학습 구조는 딥러닝 구조와 유사하고 각 레이어가 스태킹 모델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계층의 수를 증가시켜 각 계층의 오분류율을 최소화하여 성능을 개선한다. 4가지 유형의 데이터셋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분류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The ensemble approach in comparison with the diverse feature selection techniques for estimating NPPs parameters using the different learning algorithms of the feed-forward neural network

  • Moshkbar-Bakhshayesh, Khali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2호
    • /
    • pp.3944-3951
    • /
    • 2021
  • Several reasons such as no free lunch theorem indicate that there is not a universal Feature selection (FS) technique that outperforms other ones. Moreover, some approaches such as using synthetic dataset, in presence of large number of FS techniques, are very tedious and time consuming task. In this study to tackle the issue of dependency of estimation accuracy on the selected FS technique, a methodology based on the heterogeneous ensemble is proposed. The performance of the major learning algorithms of neural network (i.e. the FFNN-BR, the FFNN-LM) in combination with the diverse FS techniques (i.e. the NCA, the F-test, the Kendall's tau, the Pearson, the Spearman, and the Relief) and different combination techniques of the heterogeneous ensemble (i.e. the Min, the Median, the Arithmetic mean, and the Geometric mean) are considered. The target parameters/transients of Bushehr nuclear power plant (BNPP) are examined as the case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Min combination technique gives the more accurate estimation. Therefore, if the number of FS techniques is m and the number of learning algorithms is n, by the heterogeneous ensemble, the search space for acceptable estimation of the target parameters may be reduced from n × m to n × 1. The proposed methodology gives a simple and practical approach for more reliable and 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target parameters compared to the methods such as the use of synthetic dataset or trial and error methods.

시계열 예측의 변형된 ENSEMBLE ALGORITHM (Time Series Forecasting Based on Modified Ensemble Algorithm)

  • 김연형;김재훈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1호
    • /
    • pp.137-146
    • /
    • 2005
  • 신경망은 전통적인 시계열 기법들에 비해 대체적으로 예측성능의 우수함이 입증되었으나 계절성과 추세성을 갖는 시계열자료에 대해 예측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Ensemble 기법인 Bagging Algorithm과 신경망의 혼합모형인 Bagging Neural Network이 개밭되었다. 이 기법은 분산과 편향을 많이 줄여줌으로써 더 좋은 예측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nsemble 기법을 이용한 예측모형은 시계열자료를 적합 시키는데 있어 초기부여확률 및 예측자 선정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불어 예측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초기부여확률이 균일분포가 아닌 순차적인 형태의 분포를 제시하고 신경망을 예측자로 활용한 변형된 Ensemble Algorithm을 제안한다. 또한 예측모형의 평가를 위해 실제자료를 가지고 기존 예측모형들과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각 MSE의 비교를 통하여 예측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상청 고해상도 국지 앙상블 예측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igh Resolution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in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김세현;김현미;계준경;이승우
    • 대기
    • /
    • 제25권1호
    • /
    • pp.67-83
    • /
    • 2015
  • Predict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precipitation still remains a main issue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NWP). Resolution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precipitation forecasts in NWP. Compared with a lower resolution model, a higher resolution model can predict small scale (i.e., storm scale) precipitation and depict convection structures more precisely. In addition, an ensemble technique can be used to improve the precipitation forecast because it can estimat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forecasts. Therefore, NWP using both a higher resolution model and ensemble technique is expected to represent inherent uncertainties of convective scale motion better and lead to improved forecasts. In this study, the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the convective-scale (i.e., high resolution) operational Unified Model (UM) i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as developed and evaluated for the ensemble forecasts during August 2012. The model domain covers the limited area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high resolution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developed showed good skill in predicting precipitation, wind, and temperature at the surface as well as meteorological variables at 500 and 850 hPa. To investigate which combination of horizontal resolution and ensemble member is most skillful, the system was run with three different horizontal resolutions (1.5, 2, and 3 km) and ensemble members (8, 12, and 16), and the forecasts from the experiments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QPF) skill of the system, the precipitation forecasts for two heavy rainfall case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analyzed using the Fractions Skill Score (FSS) and Probability Matching (PM) method. The PM method was effective in representing the intensity of precipitation and the FSS was effective in verifying the precipitation forecast for the high resolution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in KMA.

거리척도와 앙상블 기법을 활용한 지가 추정 (Estimating Farmland Prices Using Distance Metrics and an Ensemble Technique)

  • 이창로;박기호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43-55
    • /
    • 2016
  • 본 연구는 사례 기반 학습(instance-based learning)의 논리를 활용하여 지가를 추정하였다. 다양한 사례 기반 학습 기법 중 k-최근린법을 이용하였으며, k-최근린법 적용시 유사성을 측정하는 거리척도는 유클리디안 거리를 비롯해 문헌에 비교적 자주 등장하는 10개의 거리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최근린법에 의한 10 종류의 예측값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1개의 예측값을 최종 가격으로 선택하는 대신, 이들 예측값들을 병합하는 앙상블(ensemble) 기법의 논리를 적용하여 최종 예측값을 결정하였다. 앙상블 기법 중 일종의 잔차 적합 모형인 경사 부스팅 앨고리듬을 적용하여 최종 가격을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례 기반 학습과 앙상블 기법의 이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전라남도 해남군 소재 농지를 사례로 하여 가격을 추정하였으며, k-최근린법에 의한 10 종류의 예측값보다 앙상블 기법에 의한 가격이 보다 정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앙상블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법의 설계: 뜰개 이동경로 예측을 통한 실험적 검증 (Ensemble Design of Machine Learning Technigues: Experimental Verification by Prediction of Drifter Trajectory)

  • 이찬재;김용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57-67
    • /
    • 2018
  • 앙상블 기법은 기계학습에서 다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더 좋은 성능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앙상블 기법에서 많이 사용되는 부스팅과 배깅에 대해 소개를 하고, 서포트벡터 회귀, 방사기저함수 네트워크, 가우시안 프로세스,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하여 설계한다. 추가적으로 순환신경망과 MOHID 수치모델을 추가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적 검증를 위해 사용하는 뜰개 데이터는 7 개의 지역에서 관측된 683 개의 관측 자료다. 뜰개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6 개의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앙상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검증 방법으로는 평균절대오차를 사용한다. 실험 방법은 배깅, 부스팅, 기계학습을 이용한 앙상블 모델을 이용하여 진행한다. 각 앙상블 모델마다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한 방법, 차등한 가중치를 부여한 방법을 이용하여 오류율을 계산한다. 가장 좋은 오류율을 나타낸 방법은 기계학습을 이용한 앙상블 모델로서 6 개의 기계학습의 평균에 비해 61.7%가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