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fying activity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6초

어류 알로부터 알칼리 가용화공정을 통해 회수한 Collagenous Protein 획분의 식품 기능특성 (Food Functionality of Collagenous Protein Fractions Recovered from Fish Roe by Alkaline Solubilization)

  • 윤인성;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1-361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collagenous protein fractions (CPFs) as functional foods. The specific CPFs studied were recovered from the roe of bastard halibut (BH), Paralichthys olivaceus; skipjack tuna (ST), Katsuwonus pelamis; and yellowfin tuna (YT), Thunnus albacares through the alkaline solubilization process at pH 11 and 12. The buffer capacity, water-holding capacity and solubility of CPFs with pH-shift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better at alkaline pH (10-12) than at acidic pH (2.0). At pH-shift treatment (pH 2 and 12), the foaming capacities of CPFs from ST and YT were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but they were unstable compared to BH CPFs. The emulsifying activity index (EAI, $m^2/g$ protein) of CPFs (controls) was 16.0-21.1 for BH, 20.1-23.9 for ST and 9.3-13.7 for YT (P<0.05). CPFs adjusted to pH 12 showed improved EAI and YT CPF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emulsifying ability than those from BH and ST. CPFs recovered from fish roe are not only protein sources but also have a wide range of food functionalities, confirming the high availability of fish sausage and surimi-based products as protein or reinforcing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s and alternative raw materials.

Biosurfactant의 생산을 위한 Nocardia sp. L-417균주의 배양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of Nocardia sp. L-417 Strain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 이태호;김순한;임이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2-258
    • /
    • 1998
  • Biosurfactant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중에서 표면장력 및 계면장력 감소능에서 가장 우수한 L-417주를 순수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No-Cardia속으로 판명되었다. Biosurfactant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3% n-hexadecane, 0.1% $NaNO_3$, 0.02% $K_2HPO_4$, 0.01% $KH_2PO_4$, 0.01% $MgSO_4 \;.\;7H_2O$, 0.01% $CaCl_2$ 0.02% yeast extract였으며,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6.0이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500ml용 shaking flask에 최적 배지 50ml를 넣어 배양했을 경우 대수증식기 말기인 4일째에 균의 증식과 유화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남에 따라 Nocardia sp. L-417에 의한 bio-surfactant의 생산은 균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계면활성제는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bunker A, paraffin, corn oil 및 oilve oil 등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유화활성을 나타내였다.

  • PDF

해양으로부터 분리한 Pseudomonas sp. CHCS-2가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정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n of Biosurfactant from Marine Pseudomonas sp. CHCS-2)

  • 류병호;김학주
    • KSBB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582-588
    • /
    • 1995
  • 해양의 유류유출이 잦은 지역으로부터 crude oil 분해능이 뛰어난 미생물을 분리하여 통정한 결과 Pseudomoans 속으로 판명되였으며, 이를 Pseud$\sigma$ moans sp. CHCS-2로 명 명하였다. 이 균주가 배양 중에 생산하는 biosurf actant의 생생 최적 pH 및 NaCI 농도는 각각 8.0 및 3.0% 였으며, 질소원인 peptone에 영향을 받았다. 2% Kuwait crude oil이 첨가된 배양액을 48, 96, 132시간별로 gas chroma­t tography를 이용, 잔류 oil을 분석한 결과 Kuwait crude oil의 C10-CI4부위에 biosurf actant가 작용하여 분해하였으며,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Amberlite XAD-7을 이용한 흡착 chromatography와 Sepha­d dex G-100을 이용한 gel chromatography, 그리고 HPLC를 이용하여 biosurf actant를 분리. 정제한 결과 유화력이 뛰어난 단일 peak를 얻었다. Bio-sur­f f actant 유화력은 $40^{\circ}C$에서 가장 좋았으며, 안정성 은 $30^{\circ}C$에서 $60^{\circ}C$까지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유지 되었다. 또한, 정제된 biosurf actant를 이용하여 계 연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상엽적으로 널리 판매되고 있는 Tween 80, Tween 60 그리고 SDS보다 표연장력 저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홍삼농축액 함유 유화액의 유화특성에 관한연구 (Emulsifying Properties of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Influence of Concentration, pH, NaCl)

  • 류관모;장현호;이의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04-5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홍삼농축액의 유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홍삼농축액의 표면활성능을 조사하였으며, 이어서 홍삼농축액 유화액을 제조하고 이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홍삼농축액의 물/기름 계면에서 계면장력은 홍삼농축액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홍삼농축액을 이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결과,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화 지방구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홍삼농축액 농도가 3.5 wt% 이상일 경우 일정한 지방구 크기($d_{43}$$0.39{\mu}m$)의 안정한 유화액을 형성하였고, separation analyzer($LUMiFuge^{(R)}$)를 이용한 유화안정도 평가 결과에서도 이와 유사한 안정도 변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홍삼농축액 유화액 중 지방구 크기는 pH 및 NaCl 농도변화에 의존하였는데, pH가 감소함에 따라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고 음의 제타전위 값[-67.0 mV (pH 9.0) ${\rightarrow$ + 2.1 mV (pH 2.0)]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NaCl 농도(0.1 M ${\rightarrow$ 0.5 M)가 높을수록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홍삼농축액의 유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긴산을 이용한 송이 향의 캡슐화 (Encapsulation of Pine Agaric ( Tricholoma matsutake) Flavor with Alginates)

  • 유병진;임영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6
    • /
    • 2002
  • 국내산 송이의 특징인 송이 향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알긴산으로 송이 향의 주된 성분인 1-oc-ten-3-ol을 캡슐화 공정과 송이 향의 잔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무건조를 위한 alginates의 점도는 350cp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첨가한 citric acid 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낮아졌으며, 또한 $0.1\%의 농도에서 150cp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1-octen-3-ol과 유화제를 첨가하여 에멀젼시킨 alginates 용액의 점도는 에멀젼시키기 전의 점도보다 높았지만 150cp 이하를 나타내 분무 건조 공정에는 영향이 없었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가 낮을수록 용액의 EAI는 증가하였으나 ESI는 감소하였고 캡슐의 1-octen-3-of의 잔존량이 감소하였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는 공정에서 citric acid 첨가 후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점도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에멀전 전후의 점도는 큰 차이 없었다 생송이를 알긴 산용액으로 캡슐화할 때 첨가되는 대두유의 량이 많을수록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생송이를 alginates용액으로 캡슐화한 후 진공동결건조한 캡슐이 풍건한 것보다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어체두부열수추출물에 관한 연구 2. 추출물의 기능특성 (Studies on Hydrothermal Extracts from Fish Head 2.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Extracts)

  • 최상현;박성민;손병일;최현미;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42-549
    • /
    • 1999
  • 가공 후 폐기되는 수산가공부산물의 이용성을 높이고, 식품첨가물로서의 식품 산업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잉어 및 연어의 두부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기능특성을 검토하였다. 제조된 열수추출물은 모두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항산화능이 떨어졌으나 어느 정도의 항산화능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alpha$-tocopherol의 항산화작용에 대한 상승효과를 보였다. 또한 열수추출물의 농도가 $1\%$일 때보다는 $5\%$일 때 그 효과가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결 변성 방지효과에 있어서는 열수추출물들의 제조조건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sucrose보다는 떨어졌으나 동결 변성 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추출물 대부분이 pH에 관계없이 $70\%$이상의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며, pH 3.0에서의 용해도가 가장 낮았다. 잉어 및 연어 두부 열수추출물의 유화 활성은 sugar ester의 유화 활성 (EAI=34.72)에는 미치지 못하나 난백 (EAI=14.69)과는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Sugar ester와 난백 의거품성 및 거품안정성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으나, 열수추출물도 상당한 거품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잉어 및 연어두부 열수추출물의 osmolality는 23$\~$31 mOsmole로 동일 농도의 NaCl(317mOsmo1e) 보다는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 PDF

Pepsin으로 수식된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epsin-modified Myofibrillar protein from Sardine, Sardinops melanostica)

  • 김병묵;김병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0-116
    • /
    • 1994
  • 효소적수식에 따른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1/100량의 pepsin으로 $37^{\circ}C$. pH 1.65에서 각각 1, 4, 8, 12, 24시간 부분가수분해시킨 후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은 pepsin에 의하여 가수분해 1시간까지는 직선적으로 가수분해율이 증가되어 약 3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고 가수분해 4시간에는 약 4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가수분해되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가수분해율은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전기영동상은 분자량 40,000정도의 굵은 ban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비교적 분자량이 큰 것으로 보이는 상층부의 몇몇 엷은 band와 분자량이 작은 하층부의 band가 가수분해가 진행되면서 소실되었다.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몇몇 엷은 band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로 뭉쳐지는 듯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Gel여과 pattern은 두개의 큰 peak와 세개의 작은 peak를 나타내 주고 있는데 가수분해 1시간에 작은 peak는 모두 사라지고 앞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뒷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약간씩 뒤로 밀려가는 경항을 나타내었다. 유화활성과 유화용량은 pepsin 가수분해에 의하여 모두 감소되었으며 특히 유화용량은 가수분해 시간이 경과되면서 현저히 감소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59%로 저하되었다. 유화활성은 가수분해기간중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약 94%의 유화활성이 유지되었다. 기포력은 크게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대조구의 1.9배나 증가되었다. 거품안 정성은 반대로 감소되어 가수분해 8시간에는 약 0.6배로 감소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다시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0.8배로 감소율이 둔화되었다. 열응고성은 pepsin수식에 의하여 0.55 내지 0.69배로 감소되었으며 점도는 가수분해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증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1.36배 증대되었다. 흡수율은 현저히 떨어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0.32배로 감소되었고 용해도는 현저히 커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1.46배로 증대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흡수율이나 용해도 모두 더 이상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용해도의 pH의존성은, pH 5와 9부근에서 다소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며 pepsin수식에 의하여 이러한 경향은 가수분해 초기인 1시간에는 더욱 뚜렸이 나타났다가 가수분해 후기인 24시간에는 크게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효소처리한 참깨박 농축단백질의 가수분해정도에 따른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 as Degree of Hydrolysis by Enzyme Treatments)

  • 윤시혜;박정륭;전정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7-96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olysis by proteolytic enzym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 Sesame protein concentrate was hydrolyzed with papain, pepsin and trypsin to obtain 10% and 20% degree of hydrolysis. The nirogen solubility in water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egree of hydrolysis. Bulk density was increased by enzymatic hydrolysis but water absorption capacity was increased only in the case of pepsin-hydrolyzed SPC. Higher fat absorption capacity was found in SPC with 10% DH than SPC with 20% DH. Emulsifying activity was also increased by enzymatic hydrolysis except SPC with 10% DH by papain.

  • PDF

에틸렌디글리콜과 숙신산 에스테르의 제조와 유화 특성 (Preparation and Emulsifying characteristics of Diethylene glycol succinate Derivative)

  • 이재덕;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239
    • /
    • 2009
  • A reaction device raising a generation yield by efficiently removing water generated in an esterified reaction between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nd succinic acid with mixture of an azeotropic point was newly developed as a new product in development of more stabilized emulsifier with a semi-solid phase(cream) in an emulsified phase of interfacial activity. The bis-(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succinate(hereinafter, called as BDGS) with a high yield of more than 95% was obtained. As this has a property containing amphoteric emulsified functions such as W/O type or O/W type, etc., and has a merit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any emulsified phase, there is no need using other emulsified surfactant. therefore, as this has excellent skin wetability in the cosmetics industry, a product having a wider range in quality compatibility or cost saving, etc. as a humectant has been developed.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유화성 생체계면활성 균주의 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Culture for Emulsive Biosurfactant-Strain from the Soil)

  • 임윤택;윤용수
    • 환경위생공학
    • /
    • 제11권3호
    • /
    • pp.69-77
    • /
    • 1996
  • The result of isolated and selected to the strain having the emulsifying activity from soil's strain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Candida genus. The strain was investigated with culture condition at pH culture temperature, flow rate of air, strring rate etc.,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biosurfactant were examined. The optimum composition of medium for a strain cultivation were obtained as follow : glucose ; 100g/L, yeast extract ; 10g/L, urea ; 1.0g/L, KH$_{2}$PO$_{4}$ ; 50mg/L, MgSO$_{4}$ ; 500mg/L, and the op condition of cultivation was as follow : pH ; 3.0, temperatlue ; 24$\circ $C, strring rate ; 40rpm. The maximum yield of biosurfactant was obtained by pH ; 3.0-3.5, and temperature ; 25$\circ $C. The degree of emulsification of syntesized biosurfactant was increased clearly by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iosurfactant and it's stability wa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surface tension of biosurfactant was varied with pH, especially it was showed that the surface tension was high at acidic p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