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labor type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중등 과학교사의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 유형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Types)

  • 김희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05-7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의 감정노동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감정표현규칙, 감정노동 유형, 감정노동 사례, 과학 특정 감정표현규칙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사 감정노동 설문지(TELSTS)'를 개발하여 145명의 설문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과학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과학교사로서 요구되거나 기대되는 감정표현규칙이 있다는 것에 동의하였으며, 특히 긍정적 감정표현규칙을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과학교사들은 자신들이 인식한 감정표현규칙을 지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면행위에 대한 응답 평균값이 높았다. 집단별 차이를 보면 정교사 여부와 교직경력에 따라서 감정노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과학교사의 특수성을 분석한 결과, 주로 실험지도와 과학의 객관적, 논리적 이미지와 관련되었으며, 74%의 응답이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감정표현규칙에 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한 대학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 수준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mong Workers in One University Hospital)

  • 김현주;이보우;황지혜;이무식;나백주;이진용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9-144
    • /
    • 201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on emotional labor among one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Material and Method : This study was based on cross-sectional, self-administered, and Internet-based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 2 to Mar. 28. 2011. Total subjects were 812 employees working in one university hospital. Total response rate was 61.5%. Modified evaluation tool was used,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Morris and Feldman, to measur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mong hospital personnel. In order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high level of emotional labor, we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The SPSS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was used to per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All statistical tests were 2-sided and a p-value<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Average score of emotional labor was 3.06. Employees(3.39) who are working at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hemodialysis room indicated the highest level of emotional labor, followed by wards(3.14), department of administration(3.14), department of ambulatory cares(3.06).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high level of emotional labor were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types of department, and types of personality(p<0.05). Conclusion :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level of emotional labors among hospital employees. Therefore, the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s are needed.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과 수면건강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leep Health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Dental Hygienists)

  • 윤성욱;남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3-249
    • /
    • 2011
  • 본 논문은 구미 지역의 치과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20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A/B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을 확인하고 수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감정노동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타당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전체평균은 2.75로 중위수 이상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일반적인 특성 중 학력은 전문대학졸업이 4년제 대학 졸업이상자보다 높았으며, 근무장소는 종합병원이 치과병원이나 개인의원보다 높고, 임금은 낮거나 높은 단계보다 중간단계인 경우에 높게 분석되었으며 음주를 한다고 응답한 경우 감정노동이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성격유형을 A/B 구분하였을 때 A유형인 경우 감정노동 항목에서 '내 일을 잘 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호의와 협조가 필요하다'가 3.14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를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의 6문항별 감정노동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A유형의 성격이 B유형의 성격보다 감정노동의 평균값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3. 치과위생사의 수면건강은 좋은 군과 나쁜 군이 각각 45.9%, 53.1%로 나쁜 군의 분포가 높았다. 감정노동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면건강도 좋지 않았으며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과 수면건강수준과의 관계는 성격유형 A유형의 감정노동인 경우 수면건강이 나쁜 군은 88.1%로 좋은 군보다 분포가 높으며 감정노동 평균이 2.8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성격유형 B유형의 감정노동은 수면건강이 좋은 군의 분포가 높고 감정노동의 평균도 나쁜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성격유형 A유형의 감정노동과 수면건강과의 회귀분석 결과 A유형은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수면건강도 좋지 않다고 나타났으며 수면건강문항과 A유형과 감정노동 간의 인과성은 '잠들기 어려움', '깨었을 때 불충분한 잠을 잔 느낌',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음'이 A유형의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치과의료기관의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감정노동자로서 치과위생사임을 인식하고 감정노동의 중요성과 성격의 특징에 따른 감정노동의 관리를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건강한 생활을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디지털시대 세무대리인의 정서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 Job Burnout in the Digital Era : Focusing on Staff Accountants)

  • 신용재;이신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61-71
    • /
    • 2015
  •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의 융복합연구로 세무대리인의 정서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탈진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에 활용된 도구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이며,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강건성을 분석하고자 Sobel 검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표현빈도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이 있으며, 정서다양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부조화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노동과 직무탈진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규명되었다. 그리고 정서적 표현빈도와 직무탈진, 정서다양성과 직무탈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완전 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서부조화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세무대리인의 직무탈진은 정서노동보다는 직무스트레스에서 비롯된 것임을 지지하며, 세무대리인에게 있어서 직무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증거가 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수행 (Comparing the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and the General Ward)

  • 최하나;이미향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9-14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nursing practice efficiency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formance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and in general wards. Methods: The study surveyed 151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and general ward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hi}$ 2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formance for the two different types of nur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nursing performan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and betwee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erformance in the general wards. Conclusion: A longer duration of direct nurs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tended to increas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However, the quality of nursing provided to patients tended to impro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plan for carrying out efficient nursing while reducing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감정노동에 따른 공항서비스 직원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Airline Service Employees' Psychological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otional Labor)

  • 이준섭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1-120
    • /
    • 2017
  • Purpose - Service employees who work at airline check-in counters in airport are typically employed to undergo emotional labor. Emotional labor of airport service employees is an important managerial issue that must be solve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underlying mechanism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It focuses on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of service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empirically test how the two-types of emotional labor(deep-acting & surface-acting) of service employees differently affect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it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between deep-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empirically test thes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by a interview from service manager of domestic airline companies and survey from 179 service employees who are working at single domestic airline check-in counters in airports in Korea using a self-rating questionnaire with total 19 items dealing with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SEM). Results - This study obtains meaningful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ep-ac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ereas, deep-acting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surface-ac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whereas, the effects of surface-acting on job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Also, job satisfaction has partial mediating rol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emotional labor of service employees is one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particular, deep-acting is the important factor in emotional labo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reduce job stress. Finally, theoretical, managerial implications, and research limitations are mentioned in discussion parts.

보건소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Self Efficacy, and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 최현경;하영미;양승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5-8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and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Factors that influence burnout of workers were also assessed. Methods: One hundred sixty six workers in public health centers completed a pack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long with $Scheff{\acute{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seemed to experience emotional labor to some ext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depending on the age of workers. Employees' burnou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labor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were emotional dissonance, surveillance & monitoring of organization, age, and self-efficacy. Conclusion: Consider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which increase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decrease certain types of emotional labor for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to help them effectively manage burnout.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감정노동 및 직무스트레스 (Communication Typ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박지선;박성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35-341
    • /
    • 2022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감정노동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6개 중소병원 간호사 192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연구도구는 의사소통 유형,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8월20일부터 9월10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의사소통 유형은 평균 3.55±0.31점, 감정노동은 3.21±0.59점, 직무스트레스는 3.44±0.52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의사소통 유형 중 친화적 의사소통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감정노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총 임상경력, 감정노동이었고 28.0%의 설명력을 보였다. 향후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일반병원과 요양병원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f Workers with the Types of Hospital Influencing Job Stress by Health Care - General Hospital and Nursing Hospital)

  • 정연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59-666
    • /
    • 2020
  • 본 연구는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G광역시, J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387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병원종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월 소득, 현 병원근무경력에서 유이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학력, 현 병원근무경력, 설립구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양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학력, 음주여부, 월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병원종별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원종별 감정 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학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Communication Difficulty with Parents and Their Job Satisfaction on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 정선영;조안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7-111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vel of communication difficulty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eacher's emotional labor. Methods: The data of 137 questionnaires collected in Y city, Gyeongggi-do were analyzed. The responden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teachers of 0-5 year old childre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the p < .05 by SPSS 24.0 program. Result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child-care teachers'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parents by sociologic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sociologic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by teaching careers, types of workplace, and marital status. Third, these two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reduce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care settings, it will be necessary to pursue a multi-faceted approach to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