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9.15.05.087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Communication Difficulty with Parents and Their Job Satisfaction on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Jeong, Seon-Yeong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Cho, Anna (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5, no.5, 2019 , pp. 87-11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vel of communication difficulty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eacher's emotional labor. Methods: The data of 137 questionnaires collected in Y city, Gyeongggi-do were analyzed. The responden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teachers of 0-5 year old childre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the p < .05 by SPSS 24.0 program. Result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child-care teachers'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parents by sociologic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sociologic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by teaching careers, types of workplace, and marital status. Third, these two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reduce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care settings, it will be necessary to pursue a multi-faceted approach to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Keywords
communication difficulty;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담영 (2018).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부모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숙 (2012). 상담교사의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담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사녀 (2012).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교수 효능감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Jorde-Bloom, P. (1988). Self-efficacy expectations as a predictor of computer use: A look at early childhood administrators. Computers in the Schools New York, 5(1-2), 45-63.   DOI
5 Grandey, A. A. (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DOI
6 Spodek, B. (1985). Teaching in the early years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7 김윤경 (201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연 (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관 (2011).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분 (2010). 영유아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천시 영유아보육시설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경 (2014).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유형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 가치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원, 이경화, 이연규, 전선옥, 조순옥, 조혜진 (2006). 보육과정. 서울: 파란마음.
13 나석희, 이현진 (2012). 어린이집 교사들이 보육경험과정에서 겪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1), 69-94.
14 민영현 (2017).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어려움과 정서노동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강민정, 유희정 (2012).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효율적인 협력관계를 위한 부모들의 인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2), 25-38. doi:10.6115 /khea.2012.50.2.025
16 강형옥 (2016). 민간.가정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조직분위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고재욱 (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 269-294.
18 곽미라 (2018).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구수진 (2001). 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교육통계서비스 (2018. 4). 교육통계> 유초중등통계> 연도별추이> 연도별 학생 수. http://kess.kedi.re.kr/index에서 2019년 7월 29일 인출
21 김다정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교사와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국가지표체계 (2019.09). 일반고용동향: 연간 성별 경활참가율 추이.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94에서 2019년 9월 25일 인출.
23 국립특수교육원 (2009.11). 특수교육학용어사전(의사소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83967&cid=42128&categoryId=42128 에서 2019년 7월 29일 인출.
24 권영자 (2009).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DAP 교육신념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미나 (2013). 유치원교사의 직무 실태와 만족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미화 (2017).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 어려움이 교사-유 아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 만3세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선화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세은 (2011).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보육시설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은혜 (2013). 유아교사론(4판). 서울: 창지사.
30 박은정 (200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직무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주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박태인 (201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형 국공립 및 민간보육시설간 비교분석.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향아, 제경숙 (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2(3), 67-80.
33 방해순, 조옥선 (2017).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309-332.
34 배현주 (2018).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백서영 (2013). 직장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및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차이.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서재경 (2014).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보건복지부 (2018). 2018년도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38 손인숙 (2014).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관련 변인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 의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손환희 (2009).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서재경 (2014).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신광순 (2013). 어린이집 유형과 보육교사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여성가족부 (2019. 5). 여성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 =1572 에서 2019년 9월 25일 인출.
43 신지혜 (2016). 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과 교사-부모 의사소통 어려움사이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보건복지부 (2018).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2018년): 연령별 보육아동 현황.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pi/8/6/2/index. board?bmode=read&aSeq=372682에서 2019년 7월 29일 인출.
45 신현숙 (2017).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유현정 (2003). 직장보육시설의 근무환경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유현정, 안지혜 (2010). 보육교사의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아동보육연구, 6(2), 39-53.
48 이기애 (2017). 유치원교사의 핵심역량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기향 (200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영애 (2011).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정-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이현정, 김낙흥 (2017). 영유아 교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교사-부모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163-186. doi:10. 20437/KOAECE22-5-07
52 이은주 (2007). 교사의 대인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고찰.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5(2), 109-138.
53 이은혜 (2014). 유치원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교육과학연구, 36(1), 81-104.
56 이희자, 송민재 (2001).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153-163.
57 장혜진, 권미량 (2012). 유치원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관심사의 차이.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407-433.
58 정계숙 (2011). 유아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지각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143-164.
59 최영희 (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2(2), 49-65.
60 최형성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8(5), 271-292.
61 표갑수, 엄영숙 (2012). 민간어린이집 교직원의 정서노동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1, 309-332.
62 한찬희 (2014).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도간의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황선아 (2014).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22(6), 723-742. doi:10.1037//0012-1649.22.6.723   DOI
65 Day, D. E. (2007). A Passion for Teaching, 열정으로 가르치기(박은혜, 이진화, 수경, 조혜선 옮김). 서울: 파란마음(원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