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utheroside 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8초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섬오갈피나무의 부정근 배양시 질소농도 및 NH4+와 NO3- 비율이 부정근의 생육과 eleutherosides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on Eleutheroside production and Adventitious Root Growth in Eleutherococcus koreanum Nakai Bioreactor Cultures)

  • 안진권;이위영;박응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363-369
    • /
    • 2009
  •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섬오갈피 부정근 증식시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 이차대사산물인 eleutheroside 류 생산에 미치는 ${NO_3}^-$${NH_4}^+$의 영향 및 배양기간에 따른 배지성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부정근 증식은 질소농도가 50 mM ${NO_3}^-$와 10 mM ${NH_4}^+$ 농도비율로 첨가된 처리구에서 최대(30.8 g FW/L)에 이르러 60 mM ${NH_4}^+$ 첨가에 비해서는 3.6배 증식되었다. 또한 ${NH_4}^+$의 첨가농도비율이 높아질수록 부정근의 증식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eleutheroside B는 총 질소량이 30 mM 처리에서 $57.3{\mu}g/g$ DW, E는 60 mM 처리에서 $188.4{\mu}g/g$ DW의 함량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eleutheroside $E_1$은 총 질소량이 15 mM 처리에서 $47.3{\mu}g/g$ 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부정근 최대생장은 초기 접종량 대비 배양 9주만에 6.8배가 증식되었고, 배양기간별 배지 성분의 변화에서 ${NH_4}^+$, $K^+$, ${NO_3}^-$${PO_4}^-$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함유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이차대사산물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시오갈피 기내 식물체의 생장, 형태형성 및 eleutheroside 함량에 미치는 발광다이오드의 효과 (Effects of LED on Growth, Morphogenesis and Eleutheroside Contents of in vitro Cultured Plantle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 정재훈;김영선;문흥규;황성진;최용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45
    • /
    • 2009
  • The effects of red, blue, and far-red light by illumination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on growth, morphogenesis and eleutheroside contents of in vitro plantle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were examined. As a control, plantlets were grown under a broad spectrum white fluorescent lamp (16/8 h illumination). The length of plantlets grown under the red/blue LEDs was taller than those under fluorescent lamps. Leaf area, root length and fresh weight of plantlets were highest under blue light compared to other kinds of light sources. Chlorophyll contents in plantlets grown under fluorescent lamps were higher than those in plantlets grown under LED illumination. Production of eleuthroside B and E in plantlets was highest under blue LED. However, production of eleuthroside E1 was highest under fluorescent lam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 growth and eleuthroside accumulation can be controlled by wave length of light under LED illumination system.

섬오가피의 추출 조건에 따른 페놀성 성분 함량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nents in the Stem of Acanthopanax koreanum Depending on Extracting Batches)

  • 김성기;이재범;조순현;고성권
    • 생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4-132
    • /
    • 2019
  •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nents depending on the extracting conditions of Acanthopanax koreanum stem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canthopanax koreanum-based functional foods. Our findings show that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nent peaked at 16 hours of extraction (WAK-16, 7.22%) and when water extracted at $100^{\circ}C$. However, 11-hours water extraction (WAK-11) showed highest eleutheroside B concentration of 1.32%, a main component of A. koreanum, and the level of chlorogenic acid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when 1-hour water extraction (WAK-1) was conducted, being 2.12%. Moreover, highest concentration of eleutheroside E was observed in 16-hours water extraction (WAK-16) as 1.49%. With 60-hours water extraction (WAK-60), the content of syringaresinol, an active phenolic aglycon substanc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with the value of 0.10%. Isofraxidin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water extract(0.09%) for 20 hours (WAK-20) and 0.42% for sinapyl alcohol[16 hours (WAK-16)].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산지별 가시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면역 증강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Stem Extract by Cultivar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 최예은;양정모;정채원;유희원;조현덕;조주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4-53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산 가시오가피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지별 채취한 가시오가피의 유효물질 함량 및 면역 증강 효과을 평가하였다. 태백, 철원, 삼척, 강원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확한 가시오가피의 지표성분인 eleutheroside B 및 eleutheroside E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면역 증강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TT 세포독성 평가, NO 생성량과 cytokine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지표성분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채취 지역별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2.96±0.11-6.24±0.05 mg/g로 태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열수 추출물에서는 1.11±0.05-2.11±0.03 mg/g로 태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Eleutheroside E 함량은 채취 지역별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4.93±0.20-10.79±0.03 mg/g을 나타냈으며 철원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열수 추출물에서는 1.75±0.14-3.64±0.05 mg/g로 철원과 농업기술원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eleutheroside B 및 E 함량은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채취 지역별 가시오가피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50-200 ㎍/mL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100-500 ㎍/mL 농도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식세포의 활성화로 방출되는 NO 성성량을 측정한 결과, 가시오가피 줄기 추출물에서 NO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NF-α, IL-6, IL-1β을 포함하는 cytokine의 방출을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가시오가피 줄기는 면역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시오갈피 생물반응기 배양에서 질소급원이 세포생장과 이차대사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the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in Bioreactor Cultur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 안진권;이위영;박소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301-305
    • /
    • 2003
  • The effects of inorganic nitrogen sources such as KNO$_3$ and NH$_4$ NO$_3$ on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chlorogenic acid and eleutheroside E derivative were investigated in 5L bioreactor cultur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The cell growth in the 1/2MS medium containing 15mMKNO$_{3}$. The fresh weight of cells harvested from bioreactor was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ratio of NO$_3$$^{[-10]}$ and NH$_4$$^{+}$ in culture medium. At the viewpoint of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the production of chlorogenic acid was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NH$_4$$^{+}$ in the culture medium, but not by the total concentration of nitrogen sources in the culture medium. Futhermore, eleutheroside E derivative production was also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ratio of NO$_3$$^{[-10]}$ and NH$_4$$^{+}$ in the culture medium. Base on tho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chlorogenic acid and eleutheroside E derivative) could be manipulated by controlling the total concentration of nitrogen sources and the concentration ratio of NO$_3$$^{[-10]}$ and NH$_4$$^{+}$ in the culture medium. medium.

오가피 부위별 50%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50%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최재명;안준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3-377
    • /
    • 2012
  • 오가피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생리활성 물질(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의 함량, 추출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활성, 아질산염소거능 및 항암활성을 알아보았다. 오가피의 생리활성 표준물질인 eleutheroside E는 줄기(556.00 ${\mu}g/g$)>뿌리(430.22 ${\mu}g/g$)>열매 (32.70 ${\mu}g/g$)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eleutheroside B는 열매 (538.99 ${\mu}g/g$)>줄기(423.60 ${\mu}g/g$)>뿌리(352.30 ${\mu}g/g$)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폴리페놀은 뿌리(2.97 mg/g) 부위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잎, 줄기에 각각 0.95, 0.77 mg/g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은 줄기 추출물에서 90.21%로 대조구인 1% (w/v) L-ascorbic acid의 전자공여능(91.75%)과 유사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고 뿌리 추출물에서도 85.7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발암 전단계를 촉진하며 산성 환경에서 식품 중에 nitrosoamine을 생성하는 아질산염에 대한 오가피의 제거 효과는 추출부위와 관계없이 pH 1.2에서 81.5-93.0%로 높게 나타났다. pH가 높아짐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개 소실되었으나 잎 추출액의 경우 pH 6.0에서도 62.9%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각 부위별 추출액은 모두 정상세포인 DC2.4의 생육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아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뿌리 추출물에서는 위암세포주인 SNU-719에 대해 약 23%의 저해 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염 제거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시오갈피의 부정근 배양시 부정근의 생육과 eleutheroside류의 함량에 미치는 NO3-와 NH4+ 비율 및 농도의 영향 (Effect of NO3- and NH4+ Concentrations on Root Growth and Eleutherosides Accumulation in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 안진권;이위영;박영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48-53
    • /
    • 2007
  •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가시오갈피 부정근 증식시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 이차대사산물인 eleuthroside 류 생산에 미치는 $NO_3{^-}$$NH_4{^+}$의 영향 및 배양기간에 따른 배지성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부정근 증식은 질소농도가 50 mM $NO_3{^-}$와 10 mM $NH_4{^+}$ 농도비율로 참가된 처리구에서 최대(24.4g FW/L)에 이르러 60 mM $NH_4{^+}$ 첨가에 비해서는 3.4배 증식되었다. 또한 $NH_4{^+}$의 첨가농도비율이 높아질수록 부정근의 증식은 감소하였다. Eleutheroside B와 E1은 총 질소량이 30 mM 처리에서 각각 $249{\mu}g/g$$43{\mu}g/g$을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으나, eleutheroside E는 총 질소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산량도 높아져 120 mM에서 $788{\mu}g/g$로 가장 우수하였다. 부정근 생장은 초기 접종량 대비 배양 9주만에 6.2배가 증식되었고, 배양기간별 배지 성분의 변화에서는 산도는 4.81-6.35로 변화가 비교적 심했고, $NH_4{^+}$$K^+$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함유량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이차대사산물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오가피의 열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ing the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s for Acanthopanacis cortex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인호;김성호;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12-520
    • /
    • 2008
  •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의 유효성분 및 항산화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하여 열수추출 특성을 모니터링 하여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총 추출수율의 최적조건은 추출온도 $84.28^{\circ}C$, 추출시간 3.59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8.37 mL/g이었고, 유효성분 eleutheroside E에 대한 최적조건은 $81.16^{\circ}C$, 3.56 hr, 19.06 mL/g, 총 페놀성 화합물에 대한 최적조건은 $88.45^{\circ}C$, 4.33 hr, 21.12 mL/g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공정 인자별 오가피의 총 추출수율, 유효성분 eleutheroside E와 chlorogenic acid 함량 및 항산화적 특성에 대한 최적추출조건을 superimposing한 결과, 추출온도 $81{\sim}88^{\circ}C$, 추출시간 $3.5{\sim}4.3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8{\sim}21mL/g$의 범위로 각각 예측되었다. 오가피의 유효성분과 항산화적 특성에 대한 열수추출조건의 예측값은 실제값과 유사하였다.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canthopanax koreanum

  • Chung, Bo-Sup;Kim, Young-Ho
    • 생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2-66
    • /
    • 1986
  • Acanthopanax koreanum Nakai (Araliaceae) is a indigenous medicinal plant growing throughout Jeju-Do in Korea. The plant extract is used in rheumatism, tonic, paralysis and sedative agent. From the roots of A. koreanum, lignan compounds, a diterpenoid, and a polyacetylene compound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using IR, PMR, CMR and MS spectral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