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505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교 6학년의 패턴의 일반화를 통한 대수 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6th graders' learning algebra through generalization of mathematical patterns)

  • 김남균;김은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99-428
    • /
    • 2009
  • 2007년 개정교육과정은 대수의 도입 시기를 초등으로 앞당기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들로부터 볼 때 초등수학 수준에서 대수를 도입할 때 패턴의 일반화를 이용하는 것은 타당한 과정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패턴의 일반화과정 학습에서 대수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패턴의 일반화 과정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들에게 패턴을 일반화하여 대수를 도입하고 지도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화 과정의 특징과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패턴의 일반화를 지도하거나 패턴에 기초한 대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시사점을 얻고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십진체계에 기초한 실수의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eal Numbers based on the Decimal System)

  • 정영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3-178
    • /
    • 2012
  • 수를 십진체계에 기초하여 표현하려는 노력은 초 중등학교의 관련 수학 지식들에 대한 개념망 구축과 지도의의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준다. 나아가 고유한 표현의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를 십진체계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확대된 십진체계인 소수를 분류할 수 있으며, 실수 분류를 위한 하나의 관점을 얻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의 십진체계 표현에서 출발하여 실수를 십진체계 형태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지식들의 교수학적 의의를 고찰하고, 실수의 분류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초 중등학교의 교사가 학교수학을 비판적 안목에서 이해하게 하며, 관련지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나아가 관련된 수학적 지식들의 내적 연결성과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구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 PDF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Intend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

  • 방정숙;황지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21-41
    • /
    • 2021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그 하위 요소까지 명시되었지만,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교과서에서 정작 교과 역량을 얼마나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별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과 추론 능력이 전체의 절반 정도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창의·융합,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 문제 해결 능력 순서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각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그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수학 교과 역량별로 하위 요소까지 분석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의 특성을 파악하고 더불어 역량 기반의 교과서 개발과 관련하여 논의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표의 구현과 수학적 이해: 경과시간을 중심으로 (Realization of signifiers and mathematics understanding: Focused on the elapsed time)

  • 한채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49-264
    • /
    • 2021
  • 이 연구는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경과시간이라는 수학적 대상을 구현하는 기표를 통해 학생들의 경과시간 이해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기표에 따라 차별화된 방식으로 경과시간 과제를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개별적으로 구성된 학생들의 경과시간 구현 기표 수형도는 이들이 특히 아날로그 시계 기표에서 경험하는 차별화된 과제 수행을 설명해주었다.

초등학교 과학 영재들의 교과 내용 인식과 학습 양식 (Learning Styles and Perceptions on Subject Matter Content by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 조정일;최규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18-12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영재들의 학교교육 과정의 난이도와 흥미, 학습에 도움이 되는 수업 활동, 각 교과에서 선호하는 학습 양식과 그룹 활동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 과학반과 초등수학반 54명, 광주광역시 초등영재교육원 95명, 보통 학생 9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집단 간에 학교 교과 내용의 난이도에 대한 반응에서 차이가 있었다($X^2(4)=33.180$, p<.001). 교과 내용에 대한 관심과 흥미는 세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학생의 34.6%가 '흥미 없다'고 답하였다. 교과 내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영재들에서 비교적 낮게($X^2(4)=12.443$, p<.05) 나타났다.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에 대한 가치 비교에서는 각 집단별 유의한 차이($X^2(4)=9.112$, p<.06)가 있었는데 영재들은 수업의 내용보다 방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각 교과목에 대한 학습 양식에서도 영재들은 실험, 과제 및 작품 발표, 사물 가지고 활동하기 등을 통해 보다 많은 도움을 받는다. 교과목에 따른 학습 양식 선호도 조사 결과 사회, 과학, 수학에서 영재들은 '자신의 진도에 따라 배우는 것'을 선호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 교육 과정을 기초로 한 차별화된 교육 과정의 도입이 제언되었다.

  • PDF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스토리텔링 분석 - 3학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orytell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ing on Grade Three)

  • 신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41-1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학년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였다. 스토리텔링은 메시지, 갈등, 등장인물, 플롯으로 구성되는데 이 구성요소들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학습 내용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특히, 갈등이 분명하고 클수록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학생들이 학습과 문제해결에 적극 참여할 것이다. 3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스토리텔링은 대체로 메시지는 불분명하고, 갈등은 대부분 없거나 궁금증이나 호기심을 유발하는 정도이고, 등 인물의 성격이 불분명하여 그로 인한 갈등이 없으며, 플롯은 개연성이 부족하였다. 수학교과서에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이 재구성되고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초등예비교사 교육에서의 플립드 러닝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Clas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고정화;박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17
    • /
    • 2018
  • 최근 플립드 러닝, 블렌디드 러닝 등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 변화를 꾀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효과성이 검증되고 있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게 교수자 역시 수업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여야 하고, 그러한 새로운 수업 방식의 장단점과 효과를 확인하면서 더 나은 수업으로의 개선을 꾀하여야 할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 2학년 학생들이 필수로 이수하는 초등수학교육 이론 수업에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수학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성별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이광상;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147-162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에서 남녀 차가 두드러진 문항을 추출하고, 이 문항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남녀 간 차이에 대한 심층 분석 사례 연구이다. 지난해의 기초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 영역, 확률과 통계 영역, 규칙성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사문항을 개발하고, 사전검사, 사후검사, 면담을 통해 남녀 성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교실에서 성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전개 및 평가의 개선을 기대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roblem Bank in an Automated Assessment Module for Data Visualization Based on Public Data

  • HakNeung Go;Sangsu Jeong;Youngju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203-211
    • /
    • 2024
  •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는 처리하는 데이터 양, 처리 시간, 유연성에서 효율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프로그래밍에 익숙해지기 위해 연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자동 평가 시스템에서 데이터 시각화를 연습하기 위한 공공데이터 기반 문제은행을 개발하였다. 공공데이터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주제로 수집하였으며 학습자가 데이터 시각화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였다. 문제는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학습하기 위해 수학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문제는 전문가 검토 및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수준,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수학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학생에게 흥미가 떨어지는 주제라는 의견을 받았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이 중심이 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추가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문제 은행은 초등학교 정보영재 또는 중학교 이상에서 파이썬을 학습한 경험이 있는 학생이 데이터 시각화를 배울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나모픽 착시예술을 활용한 초등 과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onvergence Program using Anamorphic Optical Illusion Art)

  • 안재홍;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224-237
    • /
    • 2015
  • In this study, in regard to the change of the paradigm to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we have looked into the ways to apply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arts,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step forth with the science and the arts in educational field. In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ies related to the optical illusion arts, to make sure that the design-oriented science education to reach its goal to make effective teaching, students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method of the artistic designs. Totally it had two rounds for inspection about operation of the convergence with curriculum. As a result, students changed attitude to concentrate in class naturally while doing their art work, participating in person rather than simply looking. It is caused by the scientific approach to strategy of illusion arts. In addition, we could see that students change into a proactive manner as well as teachers comments that they are communicate and make a complete the work with others. A lot of researches give that science can provide the ideas as a method to arts, arts can provide creative ideas to science, but it is still lacking that resear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specifically on how to. An efforts in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will continue to introduce, as this study STEAM of science and a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be shifted paradi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