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living alone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5초

동거유형에 따른 노인의 인지기능, 영양상태, 우울의 비교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 정영미;김주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5-503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cognitive level,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in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173 elderly classifying three groups(living alone, living with spouse, living with children).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03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MMSE-K,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COVA,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In MMSE-K, the living alone group showed suspicious dementia while the other groups were normal. The living alone group showed a high nutritional risk and all three groups showed depression. In MMSE-K, the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living situation. In each group except living with spouse, MMSE-K indicat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depression and nutritional status, while nutritional statu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depress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pportive programs for decreasing the risk of bad health in the elderly and an individual approach according to their living situation. Especially, more concern and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the solitary elderly.

아두이노 기반의 독거노인을 위한 스마트홈 시스템 (Arduino Based Smart Home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이인구;조면균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07-315
    • /
    • 2015
  • Recently, Smart Home System(SHS) is applied in order to provide comfort, energy efficient and better security to the residence. Thus, by introducing the SHS in the house of elderly peo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t and safe life for old people especially living alone.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w cost but yet flexible and secure smart-phone based SHS. The design is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rduino board with Bluetooth and Arduino board with Ethernet shield, and the home monitor/appliances are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ports of this board via sensors/relays. In addition, when the old man is put on an emergency, the proposed system will automatically notify it the family. Therefore, we have implemented an inexpensive and efficient SH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by inter-working smart phones, internet server and Arduino micro-controller.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 김영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3-34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differences in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for elderly people who are living alone and elderly people who are living with others.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051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who were surveyed in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The relationship among outcomes and living arrangement by gender in elders was assess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hile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Older men living alone were less likely to have breakfast and more likely to perceive stress and think of suicide than older men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On the other hand, older women who live alone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stress than older women who live with others. Age, educational level, income, and number of diseas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outcom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living alon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health habits and psychological health of elderly people, especially for older men. Therefore, living arrang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ders as well as age, gender, education, and income.

  • PDF

독거노인의 신체, 정신 및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Their Physical, Mental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 박정순;박소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7-177
    • /
    • 2016
  •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their health status and suggest measures that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and oral health, which could be used in future welfare policies on the elderly.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307 senior citizens who lived alone and used senior citizen centers in Jeonju-si, Jeollabuk-do. Results : Life satisfaction tended to be high when the subjects had a low number of chronic diseases, no activity limitations and stress, no suicidal feelings, no tooth mobility and chewing difficulty and denture use. Conclusions :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elderly living alone need to make effort to maintain their health however, policy programs that improve the physical, mental and oral health of the elderly need to be promoted.

농촌지역 노인가구의 특성 및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n Elderly's Living Arrangement in Rural Area)

  • 정재훈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1-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elderly households in rural area. The elderly were classified as elderly living alone, elderly couple living together, and elderly living with their children. Data from the survey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ducted in 1998, 2008, 2017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9,401 respondents who represent aged 65 or more in Korea. The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he sexes of elderly in rural area, and aging is becoming more serious. Second, elderly living with children continue to decrease, and elderly couple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is on the increase, but it tends to decrease in 2017. Third, the proportion of houses in elderly households is still very high, but it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apartments is increasing. Fourth,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ended to increase slightly in all household types, while the frequency of encounter decreased slightly in 2008 and then increased in 2017. Fifth, the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have been gradually improved over the past 20 years. Finally, the emotional support in all elderly households is maintained constantly, but the instrumental support is gradually weakened.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mentia Risk Factors on the Cognitive Function Ability declin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함민주;차태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65-272
    • /
    • 2018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임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43명을 대상으로 치매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간이 설문지, 노인우울척도,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학과 초졸 이하의 학력, 연령, 우울상태, 흡연, 여가활동,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인지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인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다각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저소득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융합적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조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423-431
    • /
    • 2015
  • 본 연구는 저소득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우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거주 국민기초생활수급권을 가진 독거노인 29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우울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나타내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독거노인의 우울과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었고, 우울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도 갖고 있었다. 이를 통해 저소득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갖는 의미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건강증진행위에 있어서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갖는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개입방법을 모색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임대주택 거주 남성 독거노인의 홀로 사는 삶의 의미와 본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Public Rental Housing)

  • 김서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015-10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남성 독거노인의 홀로 살아가는 삶의 의미와 본질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Giorgi(2009)가 제안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남성 독거노인 10명을 네크워크표집방법을 활용해 선정하였다. 연구자료는 1인 당 2회씩의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남성 독거노인으로 살아가는 것은 세상이라는 광야에 홀로 서서 찬바람을 맞는 것과 같았으며, 외롭고 적적한 생을 살아가는 과정은 삶과 죽음 사이의 끊임없는 힘겨루기와 같았다. 그들에게 있어 임대주택은 세상과 단절시켜 자신을 가두어 놓는 철책이자 떠돌이 생활의 종착지였다. 임대주택은 세인들에게는 안정적 울타리지만 참여자들에게는 광야에 홀로 선 심정으로 생존에 의한 본능과 죽음의 본능이 줄다리기하는 양면적 삶을 살아내는 곳이었다.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심리적 주거안정, 대중 매체 속 노인폄하, 심리적 고립 해소방안에 관한 논의와 그에 따른 제언을 했다.

Analysis Of News Articles On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Big Dat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 Jee-Eun, Pa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11-119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 보도된 빅데이터 기반의 '독거노인' 관련 언론 기사를 비교함으로써 '독거노인' 관련 언론 기사에 있어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OVID-19 발생 이전은 2018~2019년, 발생 이후는 2020~2021년으로 선정하였으며, 빅카인즈를 이용하여 '독거노인' 관련 언론 기사를 수집,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발생 이전에 비해 이후에 관련 기사 건수가 감소하였다. 둘째, 연관어 분석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관계도 분석에서 COVID-19 발생 이전에는 '임직원'이, 이후에는 '코로나 19'가 가장 가중치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과 관련하여 감염병 확산 상황에서 국가 정책 및 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일부 농촌지역 노인돌보미 대상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received the elderly care service in a rural area)

  • 최희영;류소연;곽광일;최철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2호
    • /
    • pp.81-93
    • /
    • 2014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G군에 거주하는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독거노인 206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가족지지와 자살생각과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 그리고 상관분석을 이용하였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에서는 연령이 65-74세가 75-84세(${\beta}$=-.181, p=.029)보다 자살생각을 많이 하며 유의하였다. 건강관련특성은 신체적 건강관련요인으로 우울(${\beta}$=.269, p<0.001)과 스트레스의 정도(${\beta}$=.211, p=.005)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하였으며, 신체적 건강관련요인으로 일상생활동작(${\beta}$=.228, p=.003)이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