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1초

맥문동탕 용매 분획물의 UV에 의한 피부손상 개선 효능평가 (UV-induced skin damage improveme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Maekmoondong-tang)

  • 유재묘;강윤환;김보미;김동희;박태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83-290
    • /
    • 2018
  • 맥문동탕 열수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W-EA)에서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세포를 이용한 활성 검증에서는 MW-EA를 처리하였을 때 ROS 저해활성에서 34% ($100{\mu}g/mL$), MMPs 저해 50% ($100{\mu}g/mL$) 이상, 미백 활성에서는 tyrosinase를 25% ($50{\mu}g/mL$)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맥문동탕은 피부개선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커피 은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엘라스타제, 콜라게나제 및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The Coffee Sliver Skin Extracts from Coffee Beans Exhibited Cosmetic Properties with Antioxi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s for Elastase, Collagenase and Tyrosinase)

  • 이경은;손상혁;강상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9-4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커피생두의 로스팅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는 커피 은피(coffee silver skin)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세포독성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mu}g/mL$에서 92.26%의 ABTS 라디칼을 소거시켜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효과와 DOPA 산화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름개선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elastase와 collagenase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각질형성세포(HaCaT)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은 무처리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커피 은피는 주름개선, 미백,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기능성 소재로 평가된다.

pH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 블루베리주스 열처리 시 품질저하억제 (Prevention of quality deterioration of concentrated blueberry juice by means of pH regulators during thermal treatment)

  • 이인경;민세철;김희선;한귀정;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96-501
    • /
    • 2016
  • 본 연구는 농축 블루베리주스를 제조 시 구연산(CA) 또는 산성메타인산나트륨(ASM)을 산미료로써 이용하여 열처리과정에서 블루베리의 폴리페놀과 안토사이아닌과 같은 기능성 성분농도와 산화방지활성, elastase 억제활성 및 tyrosinase 억제활성 등의 저하를 최소화시키는데 있다. 열처리한 농축 블루베리주스의 색가는 1% CA+1% ASM 처리군이 54.672로 가장 높았고, 1% CA 처리군이 33.034, 대조군이 22.083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안토사이아닌 함량에서도 1% CA+1% ASM 처리군이 65.747 mg/100 g, 1% CA 처리군, 대조군 순으로 각각 46.022, 30.864 mg/100 g으로 나타났다. 산화방지활성으로써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대조군은 67.983%, 1% CA 처리군은 75.486%, 1% CA+1% ASM 처리군은 87.338%로 나타났다. Elastase 억제활성에서는 대조군, 1% CA, 1% CA+1% ASM 처리군의 결과 값은 각각 26.063, 26.336, 28.285%로 나타났다. Tyrosinase 억제활성에서는 대조군 26.375%, 1% CA 처리군 67.598%, 1% CA+1% ASM 처리군은 77.89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분석 치에서 대조군과 1% CA+1% ASM 처리군 간에는 5% 내에서 유의성 차이가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ASM처리가 열처리과정에서 기능성성분과 생리활성의 저하를 억제하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산미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Protect Against HOCI-Induced Damage of Biomolecules

  • Lee, Beom-Jun;Park, Jae-Hak;Lee, Yong-Soon;Cho, Myung-Hai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109-115
    • /
    • 1999
  • The antiosidant activity of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such as anserine, homo-carnosine, histidine, and $\beta$-alanine which are found in most mammalian tissues, was investigated using hypochlorite (HOCl)-induced oxidant systems.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were protective against HOCl-induced ascorbic acid oxidation, as determined by UV absorbance at 265nm. L-histidine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m. The inhibitory effect of these compound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HOCl. It was also found that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significantly protected against the HOCl-mediated erythrocyte damage, as determined by hemoglobin release and gemolysis (p<0.05). Carnosine and anserine also inhibited of $\alpha$-antiprotease($\alpha$-AP) by HOCl, thereby inactivating porcine elastase. The inhibitory effect of carnosine on inactivation of $\alpha$-AP by HOCl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carnosine and on the time preincubated with HOCl. Homocarnosine, histidine, and $\beta$-alanine did not inhibit the re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can neutralize or scavenge HOCl. Thus, these compound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against HOCl-mediated damage of biomolecules in vivo.

  • PDF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ernstroemia kwangtungensis Merr. Extract)

  • 정수현;염현지;오민정;이진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9-4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재로서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후피향 추출물의 Nrf2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후피향 잎을 추출한 추출물 200 ㎍/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licuferase의 활성도를 보였다. 상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UPLC를 실시하였으며, 자외선 스펙트럼 패턴의 양상이 동일하여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후피향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했고 1,000 ㎍/mL에서 각각 94.6%, 90.8%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24.4%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후피향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능이 증가하였으며 1,000 ㎍/mL에서 42.7%의 억제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Ternstroemia kwangtungensis Merr. (TK) 추출물이 화장품 천연 소재로서의 이용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택사(Alismatis Rhizoma)로부터 트립신 저해제의 정제와 특성 규명 및 이와 결합하는 단백질, 10-Formyltetrahydrofolate Dehydrogenase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ypsin Inhibitor from Alismatis Rhizoma and its Binding Protein, 10-Formyltetrahydrofolate Dehydrogenase)

  • 김지만;박종옥;신영희
    • 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9-84
    • /
    • 2008
  • Alismatis Rhizoma has been used as diuretics and antiphlogistics in the Chinese oriental medicine. A trypsin inhibitor was isolated from Alismatis Rhizoma using DEAE ion exchange column, trypsin affinity column, and FPLC chromatography, and its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The purifed Alismatis Rhizoma trypsin inhibitor (ARTI) was estimated to be about 22 kDa. The sequence determination on N-terminal amino acid residues and 84 amino acid residues has been completed, yet no homology has been found with trypsin inhibitors reported at NCBI. ARTI did not show inhibitory activities on chymotrypsin and elastase, however it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bovine trypsin, and formed a complex with rat liver 10-formyltetrahydrofolate dehydrogenase.

상황버섯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 김정옥;정미정;최향자;이진태;임애경;홍주헌;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84-690
    • /
    • 2008
  • 상황버섯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황버섯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페놀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tyrosinase의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 추출물 17.31 mg/g, 에탄올 추출물 42.61 mg/g이었으며, 총페놀성 화합물은 열수 추출물 149.92 mg/g, 에탄올 추출물 432.42 mg/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열수 추출물에서 $6.49{\sim}92.98%$, 에탄올 추출물에서 $22.61{\sim}94.28%$의 범위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전자공여능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R^2=0.83$)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14.36{\sim}35.21%$,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7.27{\sim}81.84%$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하여 tyrosin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4.77{\sim}43.69%$, 에탄올 추출물에서 $10.51{\sim}80.9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황버섯의 피부주름 개선 물질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10.01{\sim}76.02%$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GBⅠ-Ⅱ 와 관련된 Cyclic Peptide 들의 합성과 단백질 분해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연구 (Synthesis of Cyclic Peticdes Related to GBⅠ-Ⅱand Study of Their Inhibitory Activity for Proteinases)

  • 강신원;허남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8-296
    • /
    • 1990
  • GBⅠ-Ⅱ의 antielastic 고리과 LBI의 antitryptic 고리는 $P_1$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모든 아미노산 잔기는 동일하다. Inhibitor의 $P_1$을 키모트립신에 효과적인 특이성이 있다고 알려진 Tyr 잔기로 치환시킨 cyclic nonapeptide와 저해작용에 필수적으로 생각되는 5개의 아미노산 잔기만으로 선정된 cyclic pentapeptide 유도체를 액상법으로 합성하였다. 이들 펩티드 유도체를 3종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작용시켜 그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cyclic nonapeptide는 키모트립신에는 저해작용이 없었고 의외로 에라스타제와 트립신에 저해활성이 있었다. 또한 cyclic pentapeptide는 키모트립신에만 저해활성이 있었다.

  • PDF

탁리산 용매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주름 억제 및 미백 효과 (In vitro anti-oxidant,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solvent fraction from takli-san)

  • 유재묘;강윤환;김동희;박태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19-2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탁리산 열수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항산화, 주름억제, 미백효과에 대한 활성을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용매 분획물로 DPPH radical scavenge, ABTS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저해활성을 확인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TW-EA)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내에서의 주름억제,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western blot을 실시하였고 비교 검증을 위해 사용한 positive contol보다 TW-EA의 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탁리산의 화장품소재로서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오미자 유산균 발효물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 이정희;김종임;최화정;이정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5-371
    • /
    • 2014
  • 새로운 주름개선제 성분을 찾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세포독성, 콜라겐 생합성, matrix metalloproteinase-I (MMP-1) 및 elastase 저해활성에 대한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된 오미자 발효액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오미자 추출물은 L. rhamnosus으로 $37^{\circ}C$에서 1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물의 세포독성은 cytopathic effect reduction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콜라겐 생합성에 대한 발효물의 영향은 procollagen type-IC peptide EIA kit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I(MMP-1)에 대한 발효물의 영향은 Matrix Metalloproteinase-1 Biotrack activity Assay Kit에 의해 평가하였다. Elastase inhibition assay는 기질로써 N-Suc-$(Ala)_3$-nitroanilide을 사용하여 기질 반응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로써 오미자 발효물은 사람 피부 섬유아 세포에 대해 $100{\m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오미자 발효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켰으며, MMP-1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05). Elastase inhibition assay에서 오미자 발효물의 $IC_{50}$$36.4{\mu}g/mL$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오미자 발효물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피부의 주름개선을 위해 사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