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dispersa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외래종 돼지풀잎벌레(Ophraella communa LeSage)의 국내 발생과 분포현황 (Notes on Exotic Species, Ophraella communa Lesage (Coleoptera: Chrysomeridae) in Korea)

  • 손재천;안승락;이종은;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5-150
    • /
    • 2002
  • 지난 2년 동안의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새로이 유입한 북미 원산의 돼지풀잎벌레(Ophraella communa LeSage)의 국내 발생현황과 알에서 성충에 이르는 형태적 특징과 생활사를 간단히 기술하였으며, 앞으로의 국내 분포 확산전망에 대해 기술하였다.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ull Sperm Hyaluronidase Hyal5

  • Kim, Ekyune;Chang, Kyu-Tae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91-498
    • /
    • 2011
  • During mammalian fertilization, germ cell-specific hyaluronidases, such as sperm adhesion molecule 1 (SPAM1) and hyaluronoglucosaminidase 5 (Hyal5), are important for the dispersal of the cumulus mas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bull Hyal5 is a single copy gene on chromosome 4 that is expressed specifically in the testis. In addition, we expressed recombinant bull SPAM1 and Hyal5 in human embryonic kidney 293T cells and showed that these enzymes possessed hyaluronidase activity. We also demonstrated that a polyclonal antibody against bull sperm hyaluronidase inhibits sperm-egg interactions in an in vitro fertilization (IVF) assay. Our results suggested that bull Hyal5 may have a critical role in bull fertilization.

구기자 혹응애(Eriophyes kuko KISHIDA)에 관한 생태학적 지견 (1) 그의 생태 및 생활사 (Some biological notes on Eriophyes kuko KISHIDA (1) Its biology and life history)

  • 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59-63
    • /
    • 1968
  • 본 논문은 1963-1965년 사이에 구기자 혹응애의 생태에 관하여 조사 관찰한 결과의 일부를 보고한 것이다. (1) 구기자 혹응애의 기주식물은 순기자나무 까마중 및 고추 등이다. (2) 이동과 전파는 물리적인 매개체에 의하며, 풍향은 이동과 전파에 영향이 크다. (3) 1자당 산난수는 평균 $28.5\pm0.499$개이고, 란기간은 평균 $7.0\pm0.447$일이다. 유충기문은 평균 $4.33±\pm0.667$일이다. (4) 식입 후 경과일별 충영의 크기는 1일째는 평균 $290.5\pm0.3415\pm$ 이며, 25일째는 평균 $3260.5\pm0.5157\mu$이다. (5) 성충기간은 25-30일이고 식입 후 산난일은 6일 이다. (6) 연발생회수는 6-7회이며, 성충태로 충영내에서 월동하여 5월 하순에 제1회 성충이 나타난다.

  • PDF

Industrialization possibilities of purified pig sperm hyaluronidase

  • Soojin Park;In-Soo Myeong;Gabbine Wee;Ekyune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6호
    • /
    • pp.1205-1213
    • /
    • 2023
  •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velop a simple method for obtain highly purified pig sperm hyaluronidase (pHyase) and to assess its activity, function, and safety. In mammals, sperm-specific glycophosphatidylinositol (GPI)-anchored Hyase assists sperm penetration through the cumulus mass surrounding the egg and aids in the dispersal of the cumulus-oocyte complex. Recently, Purified bovine sperm hyaluronidase (bHyase) has been shown to enhance therapeutic drug transport by breaking down the hyaluronan barrier to the lymphatic and capillary vessels, thereby facilitating tissue absorption. Commercially available Hyase is typically isolated from bovine or ovine; which have several disadvantages, including the risk of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low homology with human Hyase, and the requirement for relatively complex isolation procedures. This study successfully isolated highly purified pHyase in only two steps, using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The isolated Hyase had activity equal to that of commercial bHyase, facilitated in vitro fertilization, and effectively dissolved high molecule hyaluronic acid. This simple, effective isolation method could improve the availability of pHyase for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한국에서 날개매미충알벌(Phanuromyia ricaniae)의 분포 및 월동 (Distribution and overwintering of Phanuromyia ricaniae (Hemiptera: Platygastroidea), an egg parasitoid of Ricania sublimata(Hemiptera: Ricaniidea), in Korea)

  • 전성욱;공민재;최병렬;김지은;김광호;서보윤;이관석;조점래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07-4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갈색날개매미충(R. sublimata)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초정보를 마련하고자 알 기생천적인 날개매미충알벌(P. ricaniae)의 분포확산 및 월동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은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및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은 서남쪽 평야지대에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갈색날개매미충의 확산에 맞춰 점차 동북쪽 지역으로 발생 범위가 확산하는 경향을 보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야외 기생율은 1~8% 정도로 순천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례, 공주 순으로 나타났다. 날개매미충알벌은 9월부터 갈색날개매미충의 난 속에서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다음 해 6월부터 발육을 시작하여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내한성은 알 상태에서 가장 높았다.

Mitochondrial DNA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학꽁치 Hyporhamphus sajori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 구조 (Low Genetic Diversity and Shallow Population Structure of the Japanese Halfbeak Hyporhamphus sajori Revealed from Mitochondrial DNA in the Northeast Asia)

  • 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87-194
    • /
    • 2019
  • 학꽁치(Hyporhamphus sajori)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동북아시아에서 시료를 채집하여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mtDNA CR)을 분석하였다. 시료는 중국(Liaoning), 한국(통영), 일본(Wakasa Bay) 3곳에서 총 70개체를 채집했고, 일본 3곳(Wakasa Bay, Toyama Bay and Mikawa Bay)에서 분석된 47개체의 mtDNA CR 염기서열을 Genbank에서 다운로드했다. 분석결과 총 358 bp가 나타났고, 7개의 변이와 함께 haplotype이 7개 확인되었다. Haplotype diversity과 nucleotide diversity는 각각 0~0.295±0.156 및 0~0.0009±0.0011이고, main haplotype을 94%의 개체가 공유했다. 매우 낮은 haplotype diversity와 nucleotide diversity 그리고 starlike minimum spanning tree는 집단이 최근에 병목현상을 거친 후, 팽창되었음을 나타낸다. 집단 간에 Pairwise FST 값은 낮고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집단 간 gene flow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꽁치의 genetic homogenity는 부유조와 해류가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