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특징 분석 (Analysis on Features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 이종학;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91-50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측정 및 분석함으로써, 예비 수학교사들의 정의적 측면을 이해하고 유능한 수학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의 시사점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학습동기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학습동기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조사할 자체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한 지방의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활 동안 예비 수학교사들이 겪는 전반적인 수학 수업에서의 학습동기와 그 구성 요소인 가치, 자기효능감, 흥미에 대한 특징, 그리고 미래의 수학교사로서 선호하는 학습동기 유발 방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 수학교사들의 전반적인 학습동기는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학습동기의 3가지 구성 요소 중 자기효능감과 흥미 요소에서 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의 수학교사로서 학생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유발하는데 주로 선호하는 방법은 수학 학습의 흥미를 유도하는 유형이었으며, 구조적인 측면이나 수학 학습의 관련성을 중시하는 유형은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학습동기를 강화시키기 위해 예비 수학교사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의 흥미 또는 즐거움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수학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 수학 학습동기 유발 형태에 대한 여러 가지의 다양한 소재 개발의 경험을 시켜줄 학습지도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예비 교사교육에서 수학사의 교육적 적용 :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Educational Application of Chosun Mathematics in Educ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179-202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수학사를 교육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설계 진행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 증진 프로그램으로서 조선 산학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조선산학 프로그램은 사회 문화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의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산학 발달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비롯하여 조선산학의 수학적 내용과 학교수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비 초등교사 8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조선산학의 익숙하지 않은 맥락이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교사들의 교과내용지식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수학 주제를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한 교사지식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 조선산학이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산학과 학교수학의 연계가능성을 생각해보게 하고 연계 내용의 교수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게 함으로써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학의 사회 문화적 관점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비초등교사의 사다리꼴 넓이 표상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 Analysi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presentation of Trapezoid Area)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177-189
    • /
    • 2006
  •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presentation of trapezoid area and teacher educator's reflecting in the context of a mathematics course. In this study, I use my own teaching and classroom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s the site for investigation. 1 examine the ways in which my ow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a teacher educator influence and influenced by my work with students. Data for the study is provided by audiotape of class proceeding. Episode describes the ways in which the mathematics was presented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representation, and centers around trapezoid area. The episode deals with my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different types of representations-symbolic, visual, and language. In conclusion, I present two major finding of this study. First, Each representation influences mutuall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asoned visual representation from symbolic and language. And converse is true. Second, Teacher educator should be prepared proper mathematical language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with his students.

  • PDF

Understanding Whether and How Prospective Teachers Support Elementary Students to Compare Multiple Strategies in Their Enacted Number Talks

  • Byungeun Pa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5-61
    • /
    • 2023
  • Number talks as a brief instructional routine benefits students and teachers. In general, the routines consist of four steps- introducing, posing questions, collecting answers, sharing ideas. This paper focuses on the sharing ideas step in which multiple strategies are shared by students because teachers sometimes do not know what to do with these multiple ideas. One way is to support students to engage in comparison given that teachers are expected to support students to compare strategies in number talk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and how 15 prospective teachers supported students in their practicum classroom to compare different strategies in their enacted number talk. In this paper, 15 videos of number talks enacted by the prospective teachers were collected. Analyzing the videos produced multiple episodes in relation to comparing strategies, including 1) where prospective teachers created pre-conditions for comparison, 2) where they invited students for comparison, 3) where they pressed students to compare, and 4) where they offered their own way to compare. There were two patterns that might limit the potential of having multiple strategies as conditions for comparison. Additionally, this paper found that even though the prospective teachers missed opportunities to support students to compare different strategies, there were two ways for teachers to support students to engage in comparis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to support prospective teachers.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47
    • /
    • 2015
  •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Elementary Mathematics Prospective Teachers' Intended Contingent Teaching in Small Groups

  • Pak, Byung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203-222
    • /
    • 2019
  • Despite its importance when it is employed in classrooms, scaffolding is limited in the classrooms.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contingent teaching, which is the first component of scaffolding. Given a lack of research on contingent teaching with prospective teachers (PSTs), this paper explores how PSTs intend to do contingent teaching in small groups when they engage in mathematics teaching. Building on research on contingent teaching, I analyzed 26 PSTs' written responses to scenarios in an online open-ended survey.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how the PSTs would do contingent teaching that might support students to learn the subject matter. I present findings in relation to what the PSTs' responses showed in relation to contingent teaching with the subject matter. The findings will be discussed along with implications.

예비 초등 교사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과 관련 있는 수학 학습은 무엇인가? (What Kinds of Mathematics Learning are related t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강은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1-266
    • /
    • 2015
  • '수학 수업을 더 들을수록 더 나은 수학 교사가 될 것이다.'라는 주장은 정당하게 들린다. 하지만 대학 수준의 수학, 예를 들어, 추상 대수나 해석학 같은 수학을 듣는 것이 어느 정도 초등 수학을 잘 가르치는데 영향을 미칠까 하는 데에는 의문이 생긴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수학자가 초등 수학을 가르치도록 교육 받은 사람보다 나은 초등교사일 수 있는가? 이 논문은 대학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과 학교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는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 전 과목을 다 가르치도록 교육받은 예비 초등 교사들이 연구의 대상이며 교사교육을 이미 다 받은 시점에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그들이 앞으로 가르치게 될 초등 수학을 다시 한 번 접해 볼 기회를 갖는 것이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Mathematical Pedag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the U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87-507
    • /
    • 2011
  •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교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교사교육자 스스로의 반성이나 다른 동료교수의 수업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교수법 강좌를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강좌는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전형적인 교사교육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구현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사교육자에게 대안적인 수학교수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관점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수업 논평 비교를 중심으로 - (Examining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Mathematics Clas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he Comments on the Mathematics Class -)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79-296
    • /
    • 2008
  • 본 연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이수 기간이 서로 다른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논평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관점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에서 수학교육을 심화로 전공하고 있는 3학년 예비교사들과 4학년 예비교사들에게 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업 논평문을 작성하도록 한 후, 그 수업 논평문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수업 관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4학년 예비교사들은 여러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논평한다는 점에서 3학년 예비교사들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4학년 예비교사들은 3학년 예비교사들에 비해 더욱 엄격한 기준으로, 그리고 더욱 심층적으로 수업을 논평하였다. 한편, 4학년 예비교사들이 여러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논평할 때, 일부 이론에 대해서는 그 이론이 지향하는 본질의 범위를 과도하게 확장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학습평가"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안 (Suggestion of Implementing "Assessment of Mathematics Learning" Class for Educating Prospective Teachers)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301-326
    • /
    • 2006
  • 학생평가 전문성은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능력이며 그 질적 제고에 대한 요구가 사회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범 대학에서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에서의 평가 관련 강좌 개설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현장 교사들이 학생평가 활동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가 수준에서 제시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에 비추어 예비교사들이 알아야 할 교육 내용을 제안하고 그 교육 방법을 논하였다. 수학학습평가 강좌는 교과교육학의 필수 과목으로 수학 교사들이 현대 수학교육이론에 더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