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0.23.4.004

Analysis on Features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Lee, Jong-hak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Somin (Inh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3, no.4, 2020 , pp. 491-50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motivation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in learning mathematics, we tri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prospective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and find the implications of developing expertise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Prior research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identifies the three elements that consist of learning motivation as values, self-efficacy, and interest. Based on these elements, a survey tool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learning motivation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This survey was then carried out for 120 students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 of a local college. In addition, the survey asked what methods prospective teachers would choose for motivating their futur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verall motivation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differed by grade (academic yea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in self-efficacy and interest factors. In addition, the prospective teachers preferred to use interesting materials rather than inform the value of learning mathematics to induce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is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learning and to provide various material to strengthen this motivation for learning.
Keyword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Teacher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ress.
2 Mullis, I.V.S., Martin, M.O., Foy, P., & Arora, 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3 Mullis, I. V. S., Martin, M. O., Foy, P., & Hooper, M. (2016). TIMSS 2015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Retrieved from Boston College,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website: http://timssandpirls.bc.edu/timss2015/international-results/
4 OECD (2013). PISA 2012 Results: Ready to Learn (Volume III): Students' Engagement, Drive and Self-Beliefs. PISA,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9789264201170-en.
5 OECD (2016). PISA 2015 Results (Volume I): Excellence and Equity in Education. PISA,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9789264266490-en.
6 Pintrich, P. R., & Schunk, D. H. (1996).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7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3), 329-339.   DOI
8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제2015-71호 [별책8].
9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 강민경, 박효희, 정송.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10 김미례. (2017). 대학생의 학습동기 촉진을 위한 ARCS 평가모형의 타당화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77-91.   DOI
11 김부미. (2014).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동기 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8(1), 243-270.
12 김부미. (2016).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학교수학, 18(2), 397-423.
13 김선미. (2004). 사회과 학업성취와 관련된 학습동기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사회과교육, 43(3), 189-206.
14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15 김영석. (2012).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및 학습동기 연구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등재지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5(1), 31-62.
16 김태연, 위정현, 이순형. (2012). G 러닝 프로그램의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효과: 외재적/내재적 학습동기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2(2), 43-51.   DOI
17 김형태. (1999).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서울:동문사.
18 박석준, 이경원, 권오남. (2019). 동료 간 토의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동기와 수학 학습 감정의 관계: 욕구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33(3), 181-205.
19 신선애, 권정민. (2014). 수학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수학 학습부진아동의 연산 유창성과 수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4(4), 95-104.   DOI
20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I 2010-9.
21 신창환, 이효녕, 김초복, 허재홍. (2018).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9(2). 155-171.
22 이기돈. (2016).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9(1), 21-41.
23 이종연, 김복미, 장은주. (2013).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Exploring myself)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4(1), 359-384.
24 이종희, 김부미. (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413-444.
25 정숙영, 허난. (2017).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수학적 태도가 수학 학습동기와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논문집, 31(3), 291-312.
26 정종진, 이정. (2002). 기대-가치모형에 근거한 인지적 동기변인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와의 상관분석. 초등교육연구논총, 18(1), 187-213.
27 조일현, 김연희. (2014). 대학생의 학습동기,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과학 연구, 45(2), 77-98.
28 한지선, 박형빈, 이헌수. (2013). 수학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대학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6(1), 87-112.
29 한혜진. (2002).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30 허혜민, 조한익. (2019). 사범대학생들의 지루함 대처전략 잠재집단 유형과 자기조절학습, 자기결정성 동기, 일반적 지루함, 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7(4), 219-244.
31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DOI
3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DOI
3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Freeman.
35 조한익, 권혜연. (2010).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1), 62-64.
36 최주영, 김경희. (2018).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12), 87-95.
37 Kilpatrick, J., Swafford, J., & Findell, B. (2001). Adding it up: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Vol. 2101). National Research Council (E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8 Keller, J. M. (1979).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A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2(4), 26-34.   DOI
39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pp. 383-43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0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DOI
41 Keller, J. M. & 송상호. (1999). 매력적인 수업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