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수학교육)) ;
  • 선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Received : 2015.10.15
  • Accepted : 2015.11.22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How a pre-service teacher understands and comments on mathematics instruction can serve as the foundation of her teaching expertise. Given that prospective teachers observe demonstrative mathematics teaching implemented by an in-service teacher and make a comment on it during their practicum period, this paper specified the levels of their ability in commenting on mathematics instruction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evel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paper provides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such levels in terms of topic, agent, stance, evidence, and alternative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menting levels may be classified by Level 1 (fragmentary), Level 2 (inspective), and Level 3 (analytical), and that the most frequent level of this study was at Level 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tance is the most influential in determining the levels of comments among their analytic components. An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anecdote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observing demonstrative teaching during the practicum may have impact on the belief of mathematics instruction and self-image as a teacher.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implication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o enhance prospective teachers' ability to analyze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균, 유제정 (2015).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관점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54(1), 1-11.
  2. 김진희, 심준석, 배준성, 최원준, 이임대, 윤정기 외 4명 (2012). 수업비평, 희망을 이야기하다.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3. 고호경, 남가영, 맹은경 (2013).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7(3), 839-868.
  4. 나귀수 (2008).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관점에 대한 연구-예비교사들의 수업 논평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0(2), 279-296.
  5. 나귀수 (2009).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1(4), 583-605.
  6. 나귀수 (2013). 수학 수업 비평의 실제. 학교수학, 15(2), 369-387.
  7. 박승렬, 한상훈, 이명자 (2008). 수업반성 연구 경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403-422.
  8. 방정숙 (2010).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평가 기준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보고서: 교실친화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
  9. 방정숙 (2011).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 분석과 인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221-246.
  10. 방정숙 (2014).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211-236.
  11. 엄훈 (2012). 수업 비평 수업의 사례 분석-예비교사들의 국어 수업 비평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50, 359-385.
  12. 이경화 (2007). 수학. 엄귀영 (편.), 수업, 비평을 만나다(pp. 96-133). 서울: 우리교육.
  13. 이금선, 강옥기 (2008).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반성에 대한 준거 제안. 학교수학, 10(2), 199-222.
  14. 이선희, 박영덕, 유기홍, 장미영, 김진희 (2015). 수업 비평, 교실에서 해답찾기.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15. 이혁규 (2007).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인류학연구, 10(1), 151-185.
  16. 이혁규, 이경화, 이선경, 정재찬, 강성우, 류태호 외 2명 (2007). 수업, 비평을 만나다. 서울: 우리교육.
  17. Ambrose, R. (2004). Initiating change i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ientations to mathematics teaching by building on belief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7, 91-119. https://doi.org/10.1023/B:JMTE.0000021879.74957.63
  18. Bain, J. D., Ballantyne, R., Packer, J., & Mills, C. (1999).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placements.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5, 51-73. https://doi.org/10.1080/1354060990050104
  19. Flinders, D. J., & Eisner, E. W. (1994). Educational criticism as form of qualitative inquiry.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28(4), 341-357.
  20. Goodell, J. E. (2006). Using critical incident reflections: A self-study as a mathematics teacher educator.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9, 221-248. https://doi.org/10.1007/s10857-006-9001-0
  21. Hatton, M.,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 33-49. https://doi.org/10.1016/0742-051X(94)00012-U
  22. Lampert, M. (2001). Teaching problems and the problems of teaching.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3. McDuffie, A. R. (2004). Mathematics teaching, as a deliberate practice: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during student teach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7(1), 33-61. https://doi.org/10.1023/B:JMTE.0000009970.12529.f4
  2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Mathematics teaching today. Reston, VA: Author.
  25. Santagata, R., & Guarino, J. (2011). Using video to teach future teachers to learn from teaching.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3(1), 133-145. https://doi.org/10.1007/s11858-010-0292-3
  26.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27.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28. Sherin, M. G., & van Es, E. A. (2009).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8155
  29. Smith, M. S., & Stein, M. K. (2011).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Reston, VA: NCTM.
  30. van Es, E. A., & Sherin, M. G. (2006). How different video club design support teachers in "Learning to Notice". Journal of Computing in Teacher Education, 22(4), 125-135.
  31. van Es, E. A., & Sherin, M. G. (2008).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notice" in the context of a video clu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244-276. https://doi.org/10.1016/j.tate.2006.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