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content

검색결과 5,532건 처리시간 0.03초

생물교육 연구의 동향- 영국의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의 컴퓨터 분석 (Research Trends on Biological Education An analysis of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of England Using a Com puter Program)

  • 안태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9-74
    • /
    • 1989
  • For the advancement of research in biological education in Korea, research trends shown i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JBE)of England were analyzed by using a PC program(REFMENU). Papers Published in JBE between 1977 and 1987 were registered on the program with classifying keys of biological education and biology including names of authors, year, title, volume pages, and key words. Those input-date were analyzed by sorting depend-ing on either the classifying keys or the key words. Among the 361 papers 28.8% was dealing with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The rest dealt with biology and biological education, together. Of the six categories of biological education, the research on biological curriculum was 41 % of total and was the most. The major trends in this category was in developing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the research of biological instruction, 37 papers dealt with the instruction theory and the rest 60 papers dealt with the tactics of Instruction. Of the 60 papers on materials in biological education, the research in developing the biological material was the most. Thus, the general research trend was far more practical aspect than the theoretical aspect of biological education. In the analysis of the papers depending on the biological categories, the one dealt with ecology was the most(26.8%). The rest papers showed almost even distribution in the 13 categories of biolog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as discussed by comparing with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to suggest the possible future studies.

  • PDF

수업컨설팅을 통한 고경력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전문성 변화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Changes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Instructional Consulting)

  • 권치순;이선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8-2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lements and the changes in the science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case of the Seoul City Office of Education Scholarship Support Group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on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support plan for improving the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lements on the science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related to teaching strategy and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lesson content organization using lesson model and experiment facilitation and questioning, as well as in the area of interest and motive management that are definitional characteristic of learner in the learner element. Second, as for the changes in the PCK through science instructional consulting,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designing and experimenting process as students become the subject in the experiment facilitation in lesson, and they ended up attempting the postscript for promoting the thinking power of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 but also the definitional characteristic of learner is important in science lesson and that students' motive is also an element that needs to be continuously managed. Third, a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plan for enhancing the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develop lesson expertise improvement consulting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of teaching profession advancement phase of high-career teachers, and establish instructional consulting system and human resource pool of high-quality consultant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fact that it examined and searched for support plan on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 but a more extensive and in-depth study is needed since there is a limitation in this study on the object of study and the period.

온라인 창업 교육의 사회적 현존감과 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학습 기대감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Expectancy in Social Pres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현선해;서문교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79-87
    • /
    • 2017
  • 기존 온라인 창업 교육 연구에서는 교육이 실제 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됐을 뿐 교육 효과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사회적 현존감을 이용해 학습 기대감과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했다. 또한 학습 기대감을 매개 변수로 활용해 사회적 현존감과 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전국 189명의 창업 관련 온라인 수업을 들은 대학원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 이론에 근거해 가설과 설문문항을 만들었으며, 교육 만족도의 경우 운영 만족도와 콘텐츠 만족도로 구분해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구분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 결과 사회적 현존감은 학습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학습 기대감은 운영 만족도와 콘텐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현존감이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학습 기대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콘텐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는 간접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온라인 창업 교육을 실시할 때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학습 운영의 만족도를 높일 때는 학습자의 부담감을 줄여 기대감을 높여야지만 효율적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등 가정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 (A Trend analysis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 From 2009 to 2016 -)

  • 백민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8년간 출제된 중등 가정교사 임용시험의 문항을 '임용 상세화 기준'을 기본 잣대로 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년간 출제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 영역 12개 중 12개, 평가내용 요소 43개 중 42개가 출제되어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출제된 문항 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8년간 출제된 각 영역은 가정과교육학 93회(32.7%), 가족생활 41회(14.4%), 소비생활 31회(11.3%), 식생활 43회(15.2%), 의생활 41회(14.4%), 주생활 34회(12.0%)로 교과내용학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 출제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셋째, 8년간 출제 빈도가 높은 영역별 평가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가정과교육학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가족생활은 '인간 발달 과정', 소비생활은 '가계경제의 이해와 재무관리'와 '소비자 의사결정', 식생활은 '조리원리 및 실습'과 '식생활 관리', 의생활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 주생활은 '주거생활 문화의 이해' 등으로 출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영역 및 내용에 설정된 모든 영역들이 균등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미시적 관점으로 질적인 문항 분석이 필요하겠다.

설화를 통한 장소 경험의 융합교육적 의의 -청주 지역 전승의 <지네 장터> 설화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lace Experience through Folklore)

  • 황윤정;서명희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4호
    • /
    • pp.75-113
    • /
    • 2017
  • 융합교육은 이질적인 영역의 교과들이 각자의 시각과 내용을 바탕으로 공통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협력적으로 다룸으로써 교육적 효율성을 획득하고 세계를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획득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통의 교육 내용 마련이 시급한 과제임을 지적하고 문학과 지리학의 공통 교육내용으로서 '장소 경험'을 제안하였다. 공통 교육 내용으로서의 '장소 경험'은 '구체적인 공간' 제시나, '인간의 세계와의 첨예한 대결', '지명 유래'의 전승이라는 지역 전설 특유의 장르적 속성이 매개가 되어 한 장소에 대한 입체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장소를 구성하는 '물리적 조건', '인간의 활동', '부여된 의미'가 매개가 되어 설화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장소경험'이라는 공통의 영역은 기존의 지리 교과에서 정보의 단순한 제공으로 흐를 수 있는 학습 내용에 문학적 맥락을 부여함으로써 학습자의 장소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기존의 문학 교과에서 추상적으로 흐를 수 있는 학습 내용에 실재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경험적 이해를 신장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융합교육은 공통 교육 내용을 통해 교육적 효율을 달성하고 새로운 사고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교육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신종교의 영상 콘텐츠 활용 현황과 과제, 그리고 제언 -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물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Utilizing Daesoon Jinrihoe's Video Content: Focusing on the Film, The Road of Peace and Harmony, and the Videos of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 박종수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239-268
    • /
    • 2024
  • 영상 콘텐츠는 매체적 특성인 재현과 정보 전달, 몰입과 경험 등으로 교육의 수단으로 자주 활용되곤 한다. 특히, 종교영화의 경우, 종립학교나 신앙공동체에서 신앙의 이해와 고취를 위해서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과제와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제2장에서는 대순진리회 영상 콘텐츠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현황을 살펴보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콘텐츠가 현재 종단 내부의 종교교육 자료로만 기능하고 있다는 한계를 장르영화로서의 '예수 영화'를 통해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제4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 콘텐츠가 종교교육을 넘어선 다문화 종교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활용할 때 좀 더 시의성 있는, 지역 종교를 넘어서 세계 종교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by Adult Learners)

  • 안현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38-450
    • /
    • 2020
  •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 1,78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 특성,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1의 결과 성별,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은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2의 결과 교수자, 제도·지원 운영요인 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육 환경 요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검증결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실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및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는데 있어, 향후 새로운 대학평생교육 모형 구축에 있어 유용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7차 교육과정 시행 후 초등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 (A Descriptive Analysis on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Introduction of 7th Curriculum Modification)

  • 김경렬;김영해;주현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54
    • /
    • 2005
  •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and barriers of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introduction of 7th curriculum modification. Method: A questionaire was sent by mail on November 1, 2003, and received a total of 230 till November 30, 2003. Among them, 198 were included in fm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of the school health task, the most time spending task was emergency treatment and medication.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which now being taught was sex education and prevention of drug abuse in the 6th grade, prevention of obesity in the 5th grade, emergency treatment, safety education in the 4th grade and prevention of disease of teeth in the 3rd grade.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health education was pointed to no subject, no hour about health education by policy. Conclusion : It was necessary to formalize the health education subject, to ensure of health education hour by policy and to establish of extra health education room to improve health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동북아시아-태평양지역의 환경교육 제도화 및 교류실태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Institutionaliz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change in the Northeast Asia & the Pacific Region)

  • 유영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483-1497
    • /
    • 2011
  •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study of institutionalization and exchang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Japan, Northeast Asian count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Korea,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alization requires an instigation. For example, a specific environmental policy is established after raising awareness to modify environmental policies, as the result of aggravation of damage due to pollution. Therefor, it is the necessary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al policy in order to proceed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alization. Second, even though institutionalization process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three countries are considered to be very similar, differences are apparent if one carefully examines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ch country. In particular, South Kore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Japan all agre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cessary, but differ in their ideas of main body for advocating institutionalization, as well as maintenance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the order of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alization is Japa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re exists about a 10 years time gap between each country. Four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xchange was forme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first. Then it was enlarged to TEMM(Tripartite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 and TEEN(Tripartit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among three countries.

국민학교에서의 주거학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us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윤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9-124
    • /
    • 198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t up the basic outline to define and to develop "hous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in focu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the basic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housing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and the secondary data o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ethods used in the study were the content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data on teachers and thei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re on follows, 1.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fined as the related fields of housing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4 domains: housing planning, housing maintenance, housing environment, housing decoration. 2. The subject areas related to housing education was found to be moral education, soci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rt, practical education. The total hours studying on housing education were the average of 1.1 hours per week. 3. Among the above 4 domains, the total hours used for housing decoration amounted to the highest rate through all the subject areas. 4. According to the secondary dta analysis, 49.5% of the teacher were the national teacher's college graduates, but there are no courses on housing education as such in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teacher's college. it was concluded that mo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