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lace Experience through Folklore

설화를 통한 장소 경험의 융합교육적 의의 -청주 지역 전승의 <지네 장터> 설화를 중심으로

  • 황윤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 서명희 (서울대학교 융합교과개발 SSK 연구단)
  • Received : 2017.01.15
  • Accepted : 2017.02.23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fusion education is to acquire educational contents efficiently and gain a new worldview. To realize this purpose, I point out that it is urgent to provide common educational content and suggest "place experience" as common content for literature and geography. Local legends present a concrete space and a sharp confrontation with the human world, while shaping the tradition of a place's name. Place experience as common educational content enables a three-dimensional experience of a place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ocal legends. The physical condition, human activity, and implied meaning of a place mediate the student's empirical understanding of folktales. The common area of "place experience" allows us to expect a stereotypical understanding of a learner's place by providing a literary context to learning contents that can flow from the existing geography subject to the simple provision of information. In addition, it facilitates learners' empirical understanding by providing actual and specific objects to learning contents, which can flow abstractly in the existing literature subject. Through this discussion, convergence education demonstrates educational significance by achieving educational efficiency through common educational content and enabling the formation of new thinking.

융합교육은 이질적인 영역의 교과들이 각자의 시각과 내용을 바탕으로 공통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협력적으로 다룸으로써 교육적 효율성을 획득하고 세계를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획득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통의 교육 내용 마련이 시급한 과제임을 지적하고 문학과 지리학의 공통 교육내용으로서 '장소 경험'을 제안하였다. 공통 교육 내용으로서의 '장소 경험'은 '구체적인 공간' 제시나, '인간의 세계와의 첨예한 대결', '지명 유래'의 전승이라는 지역 전설 특유의 장르적 속성이 매개가 되어 한 장소에 대한 입체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장소를 구성하는 '물리적 조건', '인간의 활동', '부여된 의미'가 매개가 되어 설화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장소경험'이라는 공통의 영역은 기존의 지리 교과에서 정보의 단순한 제공으로 흐를 수 있는 학습 내용에 문학적 맥락을 부여함으로써 학습자의 장소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기존의 문학 교과에서 추상적으로 흐를 수 있는 학습 내용에 실재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경험적 이해를 신장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융합교육은 공통 교육 내용을 통해 교육적 효율을 달성하고 새로운 사고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교육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