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Utilizing Daesoon Jinrihoe's Video Content: Focusing on the Film, The Road of Peace and Harmony, and the Videos of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신종교의 영상 콘텐츠 활용 현황과 과제, 그리고 제언 -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물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4.01.25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Video content is often used as a means of edu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representation, information delivery, immersion, and experience. In particular, religious films are being used more often in public schools and religious communities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inspi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aesoon Jinrihoe utilizes video content via the film, The Road to Peace and Harmony, and the videos that were made for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Museum. The study will also make suggestions regarding the future use of such contents. In Section 2 of this study, the status of the video contents as currently used by Daesoon Jinrihoe will be examined and analyzed in terms of how the film, The Road to Peace and Harmony, and the videos produced for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are being utilized. In Section 3, the limitations of Daesoon Jinrihoe's video contents will be considered in that these materials in terms of how these videos are only used within the religious order. There is the potential that such materials could be used in broader society. Lastly, in Section 4, it is proposed that video materials produced by Daesoon Jinrihoe could be used within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in a public setting beyond mere in-group religious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Daesoon Jinrihoe will be able to expand as a world religion in a more timely manner than what would otherwise be achieved.

영상 콘텐츠는 매체적 특성인 재현과 정보 전달, 몰입과 경험 등으로 교육의 수단으로 자주 활용되곤 한다. 특히, 종교영화의 경우, 종립학교나 신앙공동체에서 신앙의 이해와 고취를 위해서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과제와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제2장에서는 대순진리회 영상 콘텐츠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현황을 살펴보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콘텐츠가 현재 종단 내부의 종교교육 자료로만 기능하고 있다는 한계를 장르영화로서의 '예수 영화'를 통해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제4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 콘텐츠가 종교교육을 넘어선 다문화 종교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활용할 때 좀 더 시의성 있는, 지역 종교를 넘어서 세계 종교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강대진, <화평의 길>, 1984.
  3. 전주MBC, <강증산, 이제는 상생이다>, 1997.
  4. 시드니 올콧, <구유에서 십자가까지(From the Manger to the Cross)>, 1912.
  5. D.W. 그리피스, <인톨러런스(Intolerance)>, 1916.
  6. 세실 B. 데밀, <왕중왕(The King of Kings)>, 1927.
  7. 머빈 르로이, <쿼바디스(Quo Vadis)>, 1951.
  8. 헨리 코스터, <성의(The Robe)>, 1953.
  9. 윌리엄 와일러, <벤허(Ben-Her)>, 1959.
  10. 사무엘 브론스턴.니콜라스 레이, <왕중왕(King of Kings)>, 1961.
  11. 조지 스티븐스, <위대한 생애(The Greatest Story Ever Told)>, 1965.
  12. 피에르 파솔리니, <마태복음(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1966.
  13. 노만 주이슨,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Jesus Christ Superstar)>, 1973.
  14. 데이빗 그린, <갓스펠(Godspell)>, 1973.
  15. 프랑코 제피렐리, <나사렛 예수(Jesus of Nazareth)>, 1977.
  16. 존 헤어먼, <예수(Jesus)>, 1979.
  17. 마틴 스코시즈,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The Last Temptation of Christ)>, 1988.
  18. 드니 아르깡, <몬트리올 예수(Jesus of Montreal)>, 1990.
  19. 김윤지, 「예수영화 THE JESUS FILM의 원형과 그 흐름」, 「현대영화연구」3, 2007. http://uci.or.kr/G704-SER000014877.2007.3.1.006
  20. 나권수.윤재근, 「종교문맹률의 증가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종교교육학연구」 60, 2019.
  21. 박상규, 「대순진리회 조직의 특성」, 「한국 종교교단의 조직」,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22. 박종석, 「기독교 교육과 구원: 구원의 유인책으로서의 예수 영화」, 「성경과신학」 55, 2010. http://uci.or.kr/G704-002003.2010.55..005
  23. 박종수, 「한국 다문화사회와 종교」,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9.
  24. 박종천, 「신종교영화의 유형과 특성」,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179
  25. 박종천, 「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 : 종교와 영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26. 박종천, 「한국 대학들의 <종교와 영화> 강좌 운영의 역사와 특색」, 「종교연구」 83-1, 2023. https://doi.org/10.21457/kars.2023.4.83.1.65
  27. 서보명, 「문화 비평 : 영화 속의 예수」, 「기독교사상」 517, 2001.
  28. 신광철, 「영화의 종교적 구조에 대한 성찰」, 「종교문화연구」 4, 2002.
  29. 신광철, 「한국 종교영화의 현황과 전망」, 「한국종교」 28, 2004.
  30. 신상미, 「영화 '화평의 길'이 만들어지기까지」, 「대순회보」 140,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3.
  31. 안 신, 「영화의 상상력과 다문화 종교교육 : 영화에 나타난 예수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32, 2010. http://uci.or.kr/G704-000911.2010.32..011 https://doi.org/10.32..011
  32. 안 신, 「강증산(姜甑山)의 해원사상에 대한 이해: 영화 <화평의 길>(1984)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109
  33. 정현웅, 「신인(神人) 강증산」, 서울: 유레카, 1994.
  34. 자크 아탈리, 「호모 노마드 : 유목하는 인간」, 이효숙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5.
  35. 찰스 테일러, 「다문화주의와 인정의 정치」, 이상형.이광석 옮김, 서울: 하누리, 2020.
  36. W. 반즈 테이텀, 「예수영화 100년 : 영화의 역사 1백년과 예수영화들」, 승현민 외 옮김, 서울: 백림, 2004.
  37. William R. Telford, Jesus Christ Movie Star: The Depiction of Jesus in the Cinema, Marsh and Ortiz, Explorations in Theology and Film, Hoboken: Wiley-Blackwell, 1997.
  38.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홈페이지》 http://www.daesoon.org
  39. 《대순진리회박물관 홈페이지》 http://museum.daesoon.org
  40. 《유튜브 Jesus Film 채널》 https://www.youtube.com/@jesus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