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Descriptive Analysis on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Introduction of 7th Curriculum Modification  

Kim Kg Royl (Elementary School)
Kim Young Hae (Department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Ju Hyeon Ok (Department of Nursing, Dong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and barriers of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introduction of 7th curriculum modification. Method: A questionaire was sent by mail on November 1, 2003, and received a total of 230 till November 30, 2003. Among them, 198 were included in fm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of the school health task, the most time spending task was emergency treatment and medication.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which now being taught was sex education and prevention of drug abuse in the 6th grade, prevention of obesity in the 5th grade, emergency treatment, safety education in the 4th grade and prevention of disease of teeth in the 3rd grade.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health education was pointed to no subject, no hour about health education by policy. Conclusion : It was necessary to formalize the health education subject, to ensure of health education hour by policy and to establish of extra health education room to improve health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1). 1998
2 김영임, 이연경. 서울시 일부 국민학교 보건교육양상 및 관련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4; 7(1):29-36
3 김재희. 학교보건수업에 대한 양호교사의 태도 및 교수능력의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4 방에스터. 서울시내 일부 국민학교에서 양호교사가 실시하고 있는 보건교육의 실태조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5 이원유. 양호교사의 보건수업 실시정도와 이의 연관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6 유호열. 국민학교 보건교육 내용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7 김보은. 전남지역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태와 개선인식.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8 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 초.중등보건교사 1급 자격연수 교재. 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 2003
9 김 명. 학교 보건교육의 강화 방안.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993
10 오윤신.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1 김옥순. 부산시 중학교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시 상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2 김가옥.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보건교육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김화중. 건강증진을 위한 학교보건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6; 9(2):147-160
14 주일남. 초중등학교 교과서의 보건교육 관련내용 분석.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5 황연자. 학교보건교육 및 간호. 현문사, 2002
16 부산광역시 교육청. 학교보건기본방향. 부산광역시 교육청, 2004
17 윤동엽. 서울시 초둥학교 보건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8 김현주.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태와 교사직무능 력 인식정도에 관한 조사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9 박형종, 김공현, 김광기. 보건교육. 신광출판사, 1997
20 이화연. 초등양호교사의 보건교육실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21 김해영.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시 현황과 교사직무능력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2 김상욱. 학교보건교육제도 및 운영상의 문제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3 정연강. 학교보건제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4;7(1):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