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content

검색결과 5,532건 처리시간 0.032초

애니메이션 분야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공간구성 -Walt Disney스튜디오 작업환경과 공간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The Spatial Composition for Animation Competency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Studio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Walt Disney)

  • 이현석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6호
    • /
    • pp.1-22
    • /
    • 2017
  •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발전과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확대로 인해 관련 실용학문분야는 교육의 내용과 환경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핵심 분야인 애니메이션 교육은 창의와 융합 그리고 실무교육이 중시되며 교육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개선이 시도되었다. 하지만, 기존 컴퓨터실 형태의 획일적 교육 공간은 애니메이션 교육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분야 직무 역량과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제작의 특성이 반영된 효율적인 실습교육 공간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기존의 애니메이션 교육공간의 한계점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한다. 또한,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Post-production의 세 단계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제작의 작업적 특성과 순차적 업무에 따른 여섯 개 세부 직무의 역량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애니메이션 제작공간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구문론을 차용한 6가지 공간 유형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애니메이션 제작특성, 세부직무역량 요소, 6가지 공간 유형을 분석 툴로 하여,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인 Walt Disney의 작업환경과 공간구성에 대해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다섯째,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결과를 연계적으로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공간 구성의 특성을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실무와 직무역량요소의 특성이 반영된 교육 공간 구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사례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교육공간 구성을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기존과 차별화된 프로젝트 교육 공간구성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가치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정보과 교육내용체계에 대한 적절성 분석 (Analysis of Appropriateness in Information Curriculum for Algorithm and Programming Education)

  • 정영식;신수범;성영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5-584
    • /
    • 2016
  •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정보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내용이 영국이나 미국, 인도와 비교할 때 내용의 범위와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표준 모델을 참조하여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을 구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내용의 중요도와 교육 시기의 적절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가 제시한 영역별 내용 중에서 알고리즘의 평가 이외에는 모든 영역에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영역별 교육 시기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달랐다.

아버지 역할 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Needs for Father's Roles Education Programs - Focusing on the Fa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

  • 정회연;김진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2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가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 역할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프로그램 실시에 관련된 요구도를 조사하여 남성의 아버지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아버지들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관심을 갖는 프로그램의 주제가 다르다.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주 1회 90분 정도로 진행되는 4주 정도의 프로그램이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형식으로는 적합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주말보다는 평일에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교육 시간대도 일과 시간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어 프로그램 운영의 주체가 학교나 직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개발 및 IPA를 통한 개선방안 (The Model Development of Satisfaction Measurement Index of Education Service and the Improvement Plan of IPA)

  • 이상준;윤관호;김성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0-521
    • /
    • 2013
  •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1) 교과내용, 교수활동, 취업과정의 세 가지 핵심요인과 후생복지, 교육환경, 대학생활의 세 가지 부가요인으로 구성된 교육서비스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2) 구조방정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여 3)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를 산출한 뒤 4) IPA 결과를 제시한다. 연구결과 핵심요소인 교과내용, 교수활동, 취업과정과 부가요소인 후생복지, 교육환경, 대학생활 모두 학생만족을 결정하는 유의한 개념이고, 학생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만족에는 교과내용, 취업과정, 대학생활, 후생복지, 교수활동, 교육환경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인별 만족도지수를 산출한 결과와 IPA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선해야 할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초·중등 소프트웨어(정보) 교육 내용의 연계를 위한 계열성 분야 분석 및 제언 (Sequence Analysis and Suggestion for Linking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oftware Education)

  • 전용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105-11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소프트웨어(정보) 교육의 구현 및 정착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체계 중, 내용 요소의 학교급별 계열성을 교육부 고시 제2017-126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보·컴퓨터 교사의 기본이수분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통해 계열성 분석에 관한 타당도를 확보하여, 그 결과를 초·중등 교사가 현장에서의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설계 과정에서 교육 내용에 관한 계열성을 고려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표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 계열성 분야의 교육내용에 관한 학교급별 위계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내용 요소와 연계된 성취기준의 핵심어인 학습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소프트웨어 교육의 연계 방안을 제언하였다.

AI교육 효과성 제고를 위한 AI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Necessity of AI Literacy Education to Enhance for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 양석재;신승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295-30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차기 개정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인공지능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AI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모델링 수업을 실시하고 인공지능교육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AI리터러시에 대한 필요성과 내용 및 교육시기 등을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인공지능수업에서 데이터 활용 및 데이터 전처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인공지능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대한 기초역량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일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데이터분석을 위한 데이터저장의 형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기 위하여 데이터처리를 위한 사전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그 시기로는 대체적으로 고등학교 진학 이전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AI리터러시의 내용요소에 대해서는 데이터 생성 및 삭제를 비롯하여 데이터 변형과 함께 데이터 시각화의 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

  • 계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40
    • /
    • 2010
  • 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각 시대의 사상과 철학, 문화의 영향으로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관계중심 교육과정으로 변천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을 고찰하고,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과 미국 NCTM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의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연구 중인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에서 내용과 과정, 계열을 정하는데 있어서 문화적, 사회적, 인지적으로 적합하고 적절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당뇨병 교육자의 당뇨교육 경험: 내용분석적 접근 (Experiences of Diabetes Education among Educators of Diabetes : a content analysis approach)

  • 강수진;장수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1-23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experiences of diabetes education among educators of diabet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and 2 dieticians with had at least 3 years of experience in diabetes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May 2014 and February 2015.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stored as digital audio files, which were then transcribed verbatim. Data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Analysis showed that four categories could be derived from the data: 1) barriers of diabetes education from an educator's perspective, 2) barriers of diabetes education form a patient's perspective, 3) facilitating factors of diabetes education from an educator's perspective, and 4) facilitating factors of diabetes education from a patient's perspectiv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strengthen the policy systems and financial support at a national level to provide diabetes education with higher quality to patient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diabetes education programs with consideration to patient characteristics.

가족인권교육 프로그램 체계도 구성을 위한 델파이 연구 (Delphi Study on Human Rights Education Framework for Families)

  • 최새은;주현정;이지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315-331
    • /
    • 2020
  • This study clarifies the definition of and to provides guidelines on educational objectives, core concepts, and content in developing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families. The Delphi survey method was used to develop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families. As a result,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families was defined as education that would ensure all members of the family enjoy universal human rights without discrimination. In addition, that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socially marginalized would not be created within the family by learning values and attitudes that respects human rights and freedom. The objectives were to learn the merit of respecting individuals, relationships, and community. Core concepts of the program were the rights for myself and others, communicating and responsibilities and a sense of citizenship. Content included human rights, respect of oneself and others, empathetic understanding, acceptance, communication in an intimate relationship, conflict management, sharing the role of caring the family, no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marginalized, and creating an inclusive community cul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family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family human rights, which is the core of family democracy.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 실태와 면허신고 현황 및 발전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status and development)

  • 이선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11-11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aid in improving the operation of progressive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and development program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dental technicians nationwide who attended the 2023 Korea Dental Technology Expo & Scientific Conference and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from July 21 to July 23, 2023. In total, 180 copies were analyzed. The reliability of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demonstrated a Cronbach's α of 0.924.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IBM)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for dental technicians was 2.78, 2.81, 3.21, 2.96, and 2.87 for the number of lectures offered, composition of major fields, lecture content, instructor level, and overall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was 2.93,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3 point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overall improvement was required. Conclusion: Measures for those who have not completed continuing education must be implemented within the government's legal influence by actively using the license reporting system. Strengthening verification of comple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mproving autonomous disciplinary rights, diversifying the content and learning methods of continuing education, linking with the license reporting system, improving institutional postevaluation, and introducing related policies should be conducted when opening a dental labora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