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ations of seas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PGF2α처리(處理)에 의한 무발정(無發情) 제주마(濟州馬)의 치료효과(治療效果) (Therapeutic effect of prostaglandin F2α on anestrus in Cheju pony mares)

  • 장덕지;양기천;김중계;서문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9-354
    • /
    • 1990
  • The effects of $PGF2{\alpha}$ on the conception rate and the plasma levels of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of anestrus Cheju mares were investigated at the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ies are as follows; 1. The durations of the estrus and diestrus after $PGF_2{\alpha}$ treatment persisted shorter than control cycle (p<0.05), but ovulation time was fast. 2. The levels of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 before $PGF_2{\alpha}$ treatment showed 103.8pg/ml, 8.0ng/ml in breeding season and 72.8pg/ml, 4.7ng/ml in non-breeding season, respectively. 3. The levels of estradiol-$17{\beta}$ rose to 115.4~154.0pg/ml, and 90.8~27.0pg/ml from 2nd to 6th day after the treatment of $PGF_2{\alpha}$, in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respectively, while progesterone level dropped to 1ng/ml with the sign of estrus and at 8th day rose in breeding season (p<0.05). 4. Of thirty anestrus mares investigated for $PGF_2{\alpha}$ administration, 87.5% showed estrus on an average of 3.8 days after treatment and the conception rate was 62.5% in breeding season, but the estrus and conception rates dropped 40% and 20% in non-breeding season, respectively.

  • PDF

1월 최저기온을 이용한 겨울철 저온발생일수 추정 (Estimation of Duration of Low-temperature in Winter Season Using Minimum Air Temperature on January)

  • 문경환;손인창;서형호;최경산;좌재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9-123
    • /
    • 2012
  • 이 연구는 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작물 생육에 중요한 겨울철 저온 발생일수를 효과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전국 61개 기상관서의 1981~2010년의 30년 간의 일 최저기온자료를 확보하여 $-15^{\circ}C$부터 $5^{\circ}C$까지 각 온도 이하 일수와 월 최저기온의 평균들을 비교한 결과, 1월 최저기온의 평균을 이용하였을 때 저온 발생일수를 가장 적합하게 추정할 수 있었다. 1월 최저기온 평균자료로부터 기준온도 이하가 되는 저온 발생일수를 추정할 수 있는 2차 함수 형태의 간단한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여러 온도 범위에서 추정식을 활용하기 위하여 추정식의 계수를 저온을 평가하는 기준온도로부터 구할 수 있도록 두 개의 2차 함수식을 도출하였고, 이 식들은 결정계수가 0.995 이상이었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와 기간을 달리하여 1971~2000년 30년 일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해본 결과 기준온도 $-10{\sim}0^{\circ}C$ 범위에서는 저온 발생일수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으나, $-15^{\circ}C$에서는 다소 과소하게 추정되는 결과를 보였다.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 계절 시작일 및 지속기간의 공간 분포 변화 전망 (Future Projec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

  • 권영아;권원태;부경온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6-51
    • /
    • 2008
  • 지구 온난화는 농업, 수산업, 임업, 보건 등 사회 여러 분야에 걸쳐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우리에게 당면한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후를 정확히 분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미래 기후를 전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0년간$(1971\sim2000)$의 관측 자료와 IPCC SRES A1B 시나리오에 근거한 2090 년대$(2091\sim2100)$ 전망 자료에 로패스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계절 시작일 및 계절 지속기간의 공간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계절 시작일의 공간 분포를 보면, 봄과 겨울 시작일은 위도, 지형 및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으나, 여름과 가을 시작일은 위도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고, 해양과 지형에 의해서만 일부 영향을 받는다. 2090년대의 계절 시작일을 보면, 남해안과 동해안 및 남부 내륙 지역에서는 현재보다 봄은 40일 정도, 여름은 $25\sim30$일 정도 빨리 시작되며, 가을은 20일 정도, 겨울은 50일 정도 늦게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계절 지속기간을 보면, 2090년대에는 남해안과 동해안 및 남부 지방에서 겨울철은 더 짧아지고 여름철은 더 길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봄철 강수량 및 강수효율의 지역적 특성별 변화분석 (Analyzing the Variability of Spring Precipitation and Rainfal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김광섭;김종필;이기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3호
    • /
    • pp.1-11
    • /
    • 2011
  • The temporal variability of spring (March, April, May) monthly precipitation, precipitation effectiveness, monthly maximum precipitation, monthly precipitation of different durations, and the precipitation days over several threshold (i.e. 0, 10, 20, 30, 40, and 50 mm/day) of 59 weather stations between 1973 and 2009 were analyzed. Also to analyz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emporal variability, 59 weather stations were classified by elevations, latitudes, longitudes, river basins, inland or shore (east sea, south sea, west sea) area and the level of urbaniz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trends of variables increase in April and decrease in May except precipitation day. Overall trend of precipitation amount and precipitation effectiveness is same but precipitation effectiveness of several sites decrease despite the trend of precipitation amount increases which may be caused by the air temperature increase. Therefore more effective water supply strategy is essential for Spring seaso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pring precipitation variability can be summarized that increase trend during May become stronger with the increase of latitude and elevation which is similar to that of Summer season. The temporal variability of variables showed different behaviors according to river basins, inland or shore (east sea, south sea, west sea) area and the level of urbanization.

Acclimation of maximum quantum yield of PSII and photosynthetic pigments of Panax quinquefolius L. to understory light

  • Fournier, Anick R.;T.A., John;Khanizadeh, Shahrokh;Gosselin, Andre;Dorais, Martin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347-356
    • /
    • 2008
  • Forest-grown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is exposed to daily and seasonal light variations. Our goal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understory light changes on the maximum quantum yield of photosystem II, expressed as $F_v/F_m$, and photosynthetic pigment composition of two-year-old plants. Understory light photon flux density and sunfleck durations were characterized using hemispherical canopy photography. Our results showed that understory light significantly affected the $F_v/F_m$ of American ginseng, especially during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plants when light levels were the highest, averaging 28 mol $m^{-2}d^{-1}$. Associated with low $F_v/F_m$ during its initial development, American ginseng had the lowest levels of epoxidation state of the xanthophyll cycle of the season, suggesting an active dissipation of excess light energy absorbed by the chlorophyll pigments. As photon flux density decreased after the deployment of the forest canopy to less than 10 mol $m^{-2}d^{-1}$, chlorophyll a/b decreased suggesting a greater investment in light harvesting pigments to reaction centers in order to absorb the fleeting light energy.

Behavioral Aspects of Captive Alpine Musk Deer during Non-mating Season: Gender Differences and Monthly Patterns

  • Meng, Xiuxiang;Zhao, Changjie;Hui, Cenyi;Luan, Xiaof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5호
    • /
    • pp.707-712
    • /
    • 2011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gender-related and month-related behavioral differences in captive alpine musk deer. The study was conducted at Xinglongshan Musk Deer Farm (XMDF) of Xinglongshan National Nature Reserve in Gansu Province of western China. The integrated method of focal sampling and all occurrence recording was utilized to quantify the behavioural patterns of 45 captive alpine musk deer (Moschus sifanicus) during non-mating season (from August $1^{st}$ to October $25^{th}$), and the behavioural durations of 12 behavioural patterns such as standing-gazing were recorded. The behavioural modes were compared to explore the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females and males, and the monthly behavioural modes for males and females were analyze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aptive female deer in XMDF could compensate the energy lost in pregnancy, parturition and lactation through improving its ingestive efficiency. In order to be more sensitiv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females expressed more standing-gazing (SG: $67.38{\pm}12.69\;s$) and moving (MO; $27.41{\pm}5.02\;s$), but less bedding (BE: $42.32{\pm}11.35\;s$) than male deer (SG: $56.43{\pm}9.19\;s$; MO: $19.23{\pm}4.64\;s$; BE: $96.14{\pm}15.71\;s$). Furthermore, females perform more affinitive interaction (AI: $7.89{\pm}4.81\;s$) but less ano-genital sniffing (AS: $0.24{\pm}0.13\;s$) and agonistic behaviour (CI: $0.57{\pm}0.26\;s$) than males (AI: $1.45{\pm}1.09\;s$; AS: $0.45{\pm}0.29\;s$; CI: $1.42{\pm}0.67\;s$). The females expressed ingestion more in October ($132.31{\pm}27.47\;s$) than in August ($28.80{\pm}18.44\;s$) and September ($45.1{\pm}10.84\;s$), and the males performed Ano-genital sniffing (AS: $1.79{\pm}1.14\;s$) and self-directed behaviour (SD: $12.61{\pm}5.03\;s$) significantly more in October than in August (AS: 0 s; SD: $0.62{\pm}0.17\;s$) and September (AS: $0.02{\pm}0.01\;s$; SD: $0.17{\pm}0.15\;s$). Moreover, male musk deer increased the intension of ano-genital sniffing, agonistic behaviour and tail rubbing behaviour, which were related to sexual activities.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 계절 시작일 및 지속기간 변화 전망 (Future Projections on the Change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

  • 권영아;권원태;부경온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35-8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온 자료를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특정 임계치 이상이 되는 날짜를 산출한 후 계절 시작일과 계절 지속기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7개 기상 관측지점의 80년간(1921-2000년)의 관측 자료와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2040년대와 2090년대의 모델 전망 자료로부터 계절 시작일과 지속기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봄과 여름의 시작일은 할라지고 가을과 겨울의 시작일은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2040년대보다 2090년대의 경우에 더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봄 시작일과 겨울 시작일의 변화 특성은 위도가 낮을수록 더 현저히 나타나고 여름 시작일은 해안보다는 내륙에서 더 발리 진행되었다. 전 분석 지점에서 지구온난화 및 도시화에 의해 여름 지속기간은 증가하는 추세이고 겨울 지속기간은 감소하는 추세였다. 여름과 겨울 지속기간은 위도가 낮을수록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긴 특성을 보였으며, 여름 시작일이 가장 빨랐던 대구 지점이 가장 긴 여름 지속기간을 보였다. 특히, 1990년대부터 겨울 지속기간이 크게 감소하면서 여름과 겨울 지속기간의 차이는 더 커졌다. 비슷한 위도대의 경우 여름과 겨울 지속기간 차이는 내륙보다 해안지역에서 더 컸다. 특히, 남해안과 동해안에 위치한 강릉, 부산, 목포 지점들은 여름철은 길어지고 겨울철은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모델 자료에 근거한 2090년대에는 겨울철이 사라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우리나라 사계절 개시일과 지속기간 (Seasonal Onset and Duration in South Korea)

  • 최광용;권원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5-4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일기온 자료를 바탕으로 사계절을 정의하여 지난 32년(1973-2004)동안 우리나라 장기간 평균적인 사계절의 개시일과 지속기간의 공간적 분포패턴 및 최근의 그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공간적으로, 장기간 평균적인 봄철과 겨울철 개시일은 위도 및 해발고도의 영향을 받아 남-북(성산포-대관령)으로 각각 최고 44일과 63일의 차이를 보인다. 반면, 여름철 개시일은 위도보다는 해양과 해발고도의 영향을 받아 한반도 내륙지역에서 여름철이 제주도보다 일찍 시작된다. 사계절 지속기간에 따라 긴 계절부터 짧은 계절 순으로의 조합의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는 특징적으로 5개의 계절주기 기후유형이 군집되어 나타난다. 한편, 최근 한반도에 나타난 기후변화가 계절주기에도 반영되어, 1980년대 후반 이후에 우리나라의 전체적으로 겨울철 개시일은 4일 늦어지고, 봄철 개시일은 6일 빨라져서 겨울철 길이가 10일 정도 짧아졌다. 이러한 겨울철 축소현상은 1980년 중반이후 남부지방에서 시작되어 1990년 접어들면서 북쪽으로 확대되어 한반도 전역에 걸쳐 나타났다. 인위적으로 콘크리트화가 진행된 우리나라 대도시 지역에서는 이러한 겨울철 축소현상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고, 심지어 여름철 지속기간도 국지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한반도의 겨울철 축소현상은 추운계절 동반구 극지방($0-90^{\circ}E$, $65-85^{\circ}N$)의 지오포텐셜 고도장(925hPa) 변화와 원격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우리나라 겨울철 지속기간의 감소현상은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시그널로 나타나는 겨울철 기온상승 추세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Improving productivity of mulberry trees and silkworm, Bombyx mori L., using vermicompost application

  • Ghazy, Usama M.;Fouad, Tahia A.;Ahmed, Ghada 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0권2호
    • /
    • pp.41-50
    • /
    • 2020
  • Vermicompost, manure, compost and organic fertilization are ecofriendly. Nowadays, many products resulted from sericulture consumed by humans such as mulberry leaves, fruits, mulberry tea, silk and natural silk cosmetics. Soil applications of three treatments with vermicompost (0.5, 1 and 2 tons per 0.42 hectare) and recommended rate of mineral fertilizer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were used for investigation. Impact of fertilization on mulberry plant traits of moisture, number of shoots/tree, total shoots length/tree, number of leaves/shoot, number of leaves/ (100g), leaf yield/tree and leaf yield of fadden/season were recorded. In addition the effect of fertilization on larval and cocoon characters of young instar duration, fifth instar duration, total larval duration, larval mortality percentage, weight of third instar larvae, weight of fourth instar larvae, weight of fifth instar larvae, fresh cocoon weight, fresh shell weight, pupae weight, cocoon shell ratio, silk productivity, cocooning percentage, pupation ratio, number of cocoons/ liter, crop cocoons by number, crop cocoons by weight, fecundity and fertility. Using vermicompost treatment was enhancing plant characters. Treatments of V3, V2 and V1 were shortage young, fifth and larvae durations. Mostly feeding silkworm during the whole larval duration on treated mulberry leaves with vermicompost improving the traits average. Using vermicompost for fertilization by rate of V3 and V2 is better than others for cocoon characters for females and males.V3 and V2 of vermicompost per 0.42 hectare is recommended for rearing mulberry silkworm instead of mineral fertilization.

추계학적 강우모형의 매개변수 변동을 통한 서울지역 여름철 강우 변동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Variability of Rainfall at the Seoul Station during Summer Season Using the Variability of Parameters of a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 조현곤;김광섭;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8호
    • /
    • pp.693-7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변동특성 분석에 있어 기존의 접근법인 지속기간별 강우량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얻는 데 한계가 있는 강우의 구조적 변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강우모형을 이용하였다. Neyman-Scott 구형펄스 모형(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NSRPM)은 점 과정을 이용한 추계학적 강우생성 모형으로 시간단위 강우를 생성함으로써 수문학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강우특성과 관련한 5개의 매개변수로 구성되어있다. 각 매개변수는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울지점의 1973~2011년 여름철 시강우자료를 이용하여 NSRPM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매개변수의 변화를 분석하여 강우의 구조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기존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