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estic fruit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초

단감원의 방제 체계에 따른 검역대상 해충 발생 양상 (An aspect of quarantine insect pest occurrence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 in sweet persimmon orchard)

  • 이동운;박재완;박정규;추호렬;김영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8-237
    • /
    • 2003
  • 우리 나라 단감의 미국 수출을 위하여 남부지방 단감 주산지에서 몇 가지 방제체계에 따른 미국 의 검역대상 해충 발생 및 수확과에서 해충류의 잔존 과수를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조사하였다. 적용 방제 체계는 농가관행 방제구, 미국의 이과(梨果)류 적용 가능 농약 위주의 MRL형 방제구와 국내 단감 고시 농약 위주의 방제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2001년에는 MRL형 방제구와 내수형 방제구는 각 7회와 6회의 농약 살포를 하였으며 진주시 금산면의 관행 방제구는 6회, 김해시 진영읍의 관행방제구는 9 회의 농약을 살포하였다. 2002년에는 MRL형 방제구와 내수형 방제구를 진주시 금산면과 미천변에 각각 2개씩 설치하였는데 금산변에서는 8회 미천변에서는 7회의 농약 살포를 하였고, 김해시 진영읍의 관행 방제구에서는 9회의 농약을 살포하였다. 방제체계에 관계없이 미국측 검역대상 해충은 복숭아명나방 만이 발생하였다. 2001년 조사에서는 4개 과원에서 단감의 생육기에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과가 확인되었으나, 수확기인 10월 중순에는 피해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수확과에서도 복숭아명나방은 발견되지 않았다. 2002년 조사에서는 하나의 과원에서 한 개의 피해과 만이 발견되어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은 문제시되지 않았다. 수확과에서는 균식성 응애와 톡토기가 감꼭지 아래에서 발견되었는데, 2001년 조사에서는 정촌의 MRL형 적용 방제지에서 300과의 조사과 중 수상과에 136개, 1차선과과(내수용)에서 72개, 2차선과과(수출용)에서 63개의 응애 잔존과가 발견되어 높은 발생수를 보였다. 그러나 9월의 마지막 농약 살포시기에 살비제를 추가 한 2002년에는 미천의 MRL형 방제 적용지 2차 선과과에서 5개, 금산의 수출형 방제 적용지 2차 선과과에서 3개의 응애 잔존과가 확인되어 응애류 발생과수를 줄일 수 있었다. 노린재 피해과수는 2002년 조사에서 내수형 방제력 적용지 단감원이 노린재 대상 약재를 살포하지 않은 MRL형 방제력 적용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과일.채소중 식이섬유의 분석법 검토 및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 in Some Fruits and Vegetables)

  • 이경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7-323
    • /
    • 1987
  • 국내의 공업적 등급의 시판용 효소제를 사용하며 AOAC에서 공인된 enzymatic-gravimetric 방법에 따라 과일 4종류(사과, 배, 복숭아, 감)와 채소 4종류(무우, 상추, 배추, 배추김치)에 대한 식이심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국내의 시판용 효소제를 사용하였을 때 AOAC가 추천하는 정제된 효소제에 대하여 효소역가 1/10, 반응시간 2배의 조건을 채택하여 과일 채소 중 식이섬유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과일, 채소의 건조물중 식이섬유의 함량은 과일의 경우 총함량은 $9.4{\sim}28.8%$, non-cellulosic polysac-charide 함량은 $1.8{\sim}7.8%$, cellulose 함량은 $3.7{\sim}5.8%$, lignin 함량은 $1.3{\sim}11.3%$의 범위이었다. 채소의 경우 총함량은 $26.0{\sim}35.7%$, non-cellulosic polysac-charide 함량은 $12.3{\sim}14.4%$, celluose 함량은 $12.3{\sim}19.7%$, lignin 함량은 $1.4{\sim}7.4%$의 범위이었다. 과일, 채소의 건조물중 조섬유함량은 과일의 경우 $3.5{\sim}6.7%$, 채소의 경우 $9.1{\sim}13.8%$의 범위이었다. 따라서 과일, 채소중 조섬유함량은 식이섬유의 $12{\sim}50%$만이 정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자 위해지수를 이용한 5종 과일 중 잔류농약 안전성평가 (Safety Evaluation of Pesticide Residue in Five Fruits by Dietary Risk Index)

  • 이제봉;홍수명;권혜영;유아선;홍순성;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6-341
    • /
    • 2014
  • 국내에서 생산되는 과일 중 농약의 잔류특성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사과, 복숭아, 배, 포도, 감귤에 대한 농약잔류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잔류농약의 검출량과 위해성지수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료는 2-5지역의 주산단지에서 채취하였으며, 시료 중 잔류농약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과의 경우 acetamiprid 등 18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고 총 위해지수가 0.55로 위해우려 수준은 아니었으나 조사한 과일 중 가장 높았다. 감귤의 경우는 carbendazim 등 17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위해지수는 0.37이었다. 복숭아, 포도 및 배는 각각 12, 10, 8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위해지수는 0.066, 0.025, 0.008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사과, 복숭아, 배, 포도, 감귤 중의 잔류농약에 의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유통 수박의 적정 포장설계를 위한 진동특성 분석 (Analysis for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atermelon for Optimum Packaging Design in Domestic Distribution)

  • 정현모;김만수;김기석;조병관;김대용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2
    • /
    • 2006
  • Shock and vibration inputs are transmitted from the transporting vehicle through the packaging to the fruit. The vibration causes sustained bouncing of fruits against each other and the container wall. The steady state vibration input may cause serous fruit injury, and the damage is particularly severe if the fruits are bounced at its resonance frequency. The determina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fruits and vegetables may help the packaging designer to determine the proper packaging system providing adequate protection for the fruits, and to understand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fruits when they relate to expected transportation vibration inputs. To analyze the vibration properties of the watermelon for optimum packaging design during transportation, sinusoidal sweep vibration tests were carried ou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watermelon ranged from 19 to 32 Hz and the amplitude at resonance was between 1.6 and 2.9 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amplitude at resonance frequency band of the watermel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sample mass. The multiple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predict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watermelon were developed us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mass, input acceleration and sphericity.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Load during Handling and Distribution of Domestic Fruits -Focused on Seongju Korean Melon

  • Jongmin Park;Donghyun Kim;Wontae Seo;Hyunmo Jung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8
    • /
    • 2023
  • The propor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handled through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APC) is also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in the case of Seongju Korean melon, a total of 10 APCs of Nonghyup and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s are in operation, and the distribution ratio is about 60% based on total production. In this study, Seongju Korean melon was selected as a target to analyze the environment load during carrying (production farm ~ APC) in the production area and the transport environment load during distribution of domestic fruits, an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load for handling at APC. The vertical average vibration intensity (overall Grms of 1~250 Hz) of truck transport measured at three transport routes from Seongju Korean melon producer ~ APC, Seongju ~ Seoul and Seongju ~ Jeju was about three times larger than tha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4.5 times larger than th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high-amplitude events (G) in the vertical direction compared to the measuring time was deeply related to pavement conditions in the order of unpaved farm-roads, concretepaved farm-roads, and asphalt-paved main-roads, but overall Grms for the entire frequency band is believe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vehicle traveling speed than road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vibration intensity measured by the forklift truck's main-body and the attachment (fork carrier) during handling at Seongju Korean melon APC was clear, and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forklift truck's main-body was largely affected by the stiffness of the fork and the mast according to the handling weight. Based on the field-data of the transport environment during domestic distribution measured through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lab-based simulation protocol for appropriate packaging design.

과실유래 단백질 조효소액과 과육의 근원섬유 분해 효과에 관한 연구 (Proteolytic Effect of Fruit Flesh and Crude Enzyme Extract from Fruits on Myofibrilar Protein)

  • 김미현;노정해;김미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3-329
    • /
    • 2010
  • 국내산 무화과, 키위, 배, 파인애플은 단백분해효과가 알려져 조리 중에 쓰여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이들 과실로부터 조효소액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 과실을 직접 소고기에 처리하여 연육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실에서 조효소액을 추출한 후 카제인과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분해 능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 조효소액을 근원섬유 단백질에 처리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배를 제외하고 조효소액의 농도를 증가시켜 처리할수록 myosin heavy chain이 170,000D 이하로 붕괴됨을 볼 수 있었다. 연육작용 측정에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진 소편화율을 관찰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로서 근원섬유단백질 분해 활성의 순서와 같았다. 소고기에 갈은 과육을 5% 및 10%로 처리하였을 때 침지액의 가용성 질소량을 측정한 결과, 과실 처리구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가용성 질소량을 나타내었다. 과실을 갈아 소고기에 처리한 후 가열하여 전단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이 연육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고기에 갈은 과실을 넣고 숙성하여 가열한 후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springiness와 gumminess의 경우 파인애플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위도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의 연육효과를 평가한 결과, 5% 첨가시 연도의 경우는 파인애플과 키위가 가장 연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호도의 경우 모든 과실에서 10% 첨가보다 5%가 더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Food Ingestion Standards for Nuclear Emergency Exposure Situations

  • Keum, Dong-Kwon;Jeong, Hyojoon;Jun, In;Lim, Kwang-Muk;Choi, Yong-Ho;Hwang, Won-Ta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166-175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food ingestion standards for radioactivity that can be applied in nuclear emergency exposure situations, and discusses the validity of the current domestic standard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derived food ingestion standards for radiocesium and radioiodine using domestic food intake rates and intervention levels, which serve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necessity of public protective actions, and then compared them with the existing guidelines. Operational intervention levels were also derived using domestic food intake rates,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Results and Discussion: The derived activity concentrations for food ingestion standards of radiocesium for infa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Act on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APPRE) for all food categories, while for adults, the derived activity concentrations for drinking water and milk appeared to be slightly lower. The derived activity concentrations for vegetables, fruits, and grains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guidelines of the APPRE, while the derived activity concentrations for meat and seafood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APPRE. The derived activity concentrations for radioiodine were greater than both domestic and global standards. The calculated operational intervention levels (OILs) based on domestic food intake rates were greater than the IAEA's default OIL6 values for most radionuclides, except for a few ${\alpha}$-radionuclides. Conclusion: The current domestic guidelines turned out to be conservative overall, compared to the present results that were calculated using domestic food intake rat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omestic guidelines should be revised and complemented transparently through an in-depth review by stakeholders on a solid scientific basis.

시판중인 과대지의 이화학적 특성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bagging paper)

  • 김강재;변종상;김대근;엄태진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3-199
    • /
    • 2006
  • Fruit bagging paper is used for protecting of fruits from insect and/or microorganisms. Generally, fruit bagging paper controled 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n it is used for good fruit color, size and tas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ventional(domestic and abroad) fruiting bag and wrapping pap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And also, the optical properties of conventional(domestic and abroad) fruiting bag and wrapping pap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The chemical additives and residual herbicide in conventional fruiting bag and wrapping pap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The analyzed data was bench marked for developing water repelling paper and embossing paper.

  • PDF

The Effectiveness of CRM Approach in Improving the Profitability of Korea Professional Baseball Industry Measured by Entropy of ID3 Decision Tree Algorithm

  • Oh, Se-Kyung;Gwak, Chung-Lee;Lee, Mi-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8권3호
    • /
    • pp.91-110
    • /
    • 2011
  • Korea professional baseball industry has grown to take the lion's share of the domestic sports industry, but still does not make break ev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nancial impact of adopting the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CRM) approach on the profitability of Korea professional baseball industry. We use a measuring tool called entropy used in ID3 decision tree algorithm. In the paper, we specify fiv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spectator satisfaction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perform survey analysis, calculate entropy values, and find the results. We predicted the change in revenues when we adopt CRM by checking the spectators' willingness to pay more when the conditions of each factor are improved. We find that we can reap significant fruits of the effect of CRM introduction through enhancing 'game content factor' and 'game promotion factor' among the five factors. We also find that we can increase the revenues of domestic professional baseball teams to 2.4 times or 2.1 times the current level if we manage intensively those two factors respectively. It is very surprising to see that the improvement in total revenues makes both ends meet for domestic professional baseball teams. This clearl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CRM approach in improving the profitability of organizations.

감귤저장시 부패균 증식억제를 위한 식물유래 천연항균제 탐색

  • 하철규;이동규;강선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3-456
    • /
    • 2000
  • 감귤의 저온저장 중 부패방지를 위한 천연항균제 개발의 일환으로 감귤의 저온저장 중 과피로부터 분리한 곰팡이를 MEA와 PDA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분생자병과 분생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플라스크형의 phialide, 분생자병의 branching type이 simple type이며, conidial head가 columnar shape 등의 특징을 갖는 Penicillium sp. CF-301로 동정되었다. 또한 국내 자생식물을 채집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향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측백나무 열매와 주목나무를 제외한 8종의 식물 추출액이 감귤부패균에 대하여 향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측백나무 즙액은 8mm의 투명환을 보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