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spect of quarantine insect pest occurrence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 in sweet persimmon orchard

단감원의 방제 체계에 따른 검역대상 해충 발생 양상

  • Lee, Dong-Woon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Sa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Wan (Department of Sericulture and Insect Resources, Sa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ung-Gyoo (Division of Plant Resources and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o, Ho-Yul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ub (Department of Sericulture and Insect Resources, Sangju National University)
  • 이동운 (상주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 박재완 (상주대학교 잠사곤충자원학과) ;
  • 박정규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식물자원환경학부) ;
  • 추호렬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 김영섭 (상주대학교 잠사곤충자원학과)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Temporary control schedules were tested at sweet persimmon orchards to development new control programs to meet the quarantine repuirements of America in 2001 and 2002. The 'MRL-type control orchards' were sprayed with chemicals which were possibly adaptable to the pome trees in America. A control schedule consisted of those chemicals registered for persimmon in Korea was incorporated in the 'domestic-type control orchards'. The efficacy of these two control type against insect pests was compared with that of a conventional control schedule. In 2001, MRL orchard and domestic orchard were sprayed 7 and 6 times, and two conventional orchards were 6 and 9 times, respectively. In 2002, acaricide was added once to the MRL orchards at late September to reduce the density of mites on harvested fruits. However no insecticide to plant bug control could be applied to the MRL orchards, because no insecticide against bugs was registered for pome trees in America. This resulted in 7 times of applications in MRL and domestic orchards. The conventional orchard was sprayed 9 times. Only the occurrence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tiferalis (PPM) out of 4 quarantine inset species was observed. The PPM was observed during growing season in MRL, domestic, and conventional orchards. However no fruits damaged by PPM larvae were observed after mid October and after harvest. In 2002 only 1 fruit out of 1,350 fruits inspected in June was damaged by the larvae of PPM at MRL orchards. A fungus-feeding mites and collembolan were under calyx of vested fruits. In 2001 they were found on 45.3% of harvested fruits at MRL orchard. However the percentage of fruits with mites in 2002 was greatly reduced to 3.5% at MRL orchard, presumably because of a added application of acaricide at late September. However percentage of fruits damage by hemipteran bugs at harvesting time was quite high 11.3 % at MRL orchards, because no application of insecticide against plant bugs.

우리 나라 단감의 미국 수출을 위하여 남부지방 단감 주산지에서 몇 가지 방제체계에 따른 미국 의 검역대상 해충 발생 및 수확과에서 해충류의 잔존 과수를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조사하였다. 적용 방제 체계는 농가관행 방제구, 미국의 이과(梨果)류 적용 가능 농약 위주의 MRL형 방제구와 국내 단감 고시 농약 위주의 방제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2001년에는 MRL형 방제구와 내수형 방제구는 각 7회와 6회의 농약 살포를 하였으며 진주시 금산면의 관행 방제구는 6회, 김해시 진영읍의 관행방제구는 9 회의 농약을 살포하였다. 2002년에는 MRL형 방제구와 내수형 방제구를 진주시 금산면과 미천변에 각각 2개씩 설치하였는데 금산변에서는 8회 미천변에서는 7회의 농약 살포를 하였고, 김해시 진영읍의 관행 방제구에서는 9회의 농약을 살포하였다. 방제체계에 관계없이 미국측 검역대상 해충은 복숭아명나방 만이 발생하였다. 2001년 조사에서는 4개 과원에서 단감의 생육기에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과가 확인되었으나, 수확기인 10월 중순에는 피해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수확과에서도 복숭아명나방은 발견되지 않았다. 2002년 조사에서는 하나의 과원에서 한 개의 피해과 만이 발견되어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은 문제시되지 않았다. 수확과에서는 균식성 응애와 톡토기가 감꼭지 아래에서 발견되었는데, 2001년 조사에서는 정촌의 MRL형 적용 방제지에서 300과의 조사과 중 수상과에 136개, 1차선과과(내수용)에서 72개, 2차선과과(수출용)에서 63개의 응애 잔존과가 발견되어 높은 발생수를 보였다. 그러나 9월의 마지막 농약 살포시기에 살비제를 추가 한 2002년에는 미천의 MRL형 방제 적용지 2차 선과과에서 5개, 금산의 수출형 방제 적용지 2차 선과과에서 3개의 응애 잔존과가 확인되어 응애류 발생과수를 줄일 수 있었다. 노린재 피해과수는 2002년 조사에서 내수형 방제력 적용지 단감원이 노린재 대상 약재를 살포하지 않은 MRL형 방제력 적용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Stewart, R. D. (1997) Importation of fresh persimmon fruit, Diospyrus kaki from South Korea into the United States; qualitative, pathway initiated pest risk assessment. APHIS, USDA. 1999
  2. Anonymous (2001a) 농림통계. 농림부. 서울
  3. Anonymous (2001b). 우리 나라 사과의 경쟁력 강화와 소비 증대 전략을 위한 세미나. pp.89. 대구사과연구소, 농촌진흥청
  4. Anonymous (2002). 2002 농약사용지침서 농약공업협회. 서울
  5. 강창헌, 이규철, 박정규, 이동운 (2002) 단감원에서 복숭아병나방의 발생양상과 수확기 단감의 피해과율. 한응곤지, 41(2) : 107-11 2
  6. 김용석, 정상복, 손동수, 이경국, 박종성, 이운직(1988) 단감 안전재배 한계지 규명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원예편). 30(3) : 56-76
  7. 김인수, 홍기정, 한만종, 이문홍 (1997) 단감 주산단지에서의 수출 검역해충 발생 조사. 작물보호논문집. 39(2): 67-71
  8. 식물검역소 (2002) 식물검역정보 p.4. 안양
  9. 이규철, 강창헌, 이동운, 이상명, 박정규, 추호렬 (2002a) 수은유아등과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단감원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한응곤지 41(4): 233-238
  10. 이동운, 이규철, 박정규, 추호렬 (2002b) 단감원 풍뎅이의 종류와 단감에 미치는 영향. 한응곤지 41(3): 183-189
  11. 이동운, 이규철, 이승욱, 박정규, 추호렬, 신창훈 (2001) 단감원의 병해충 관리 실태와 소득 증대 방안에 대한농가의식 조사 농약과학회지 5(4): 45-49
  12. 이동운, 이상명, 최병렬, 박정규, 추호렬 (2003) 단감원의 최근 농약 사용실태. 한응곤지. 42(1): 85-89
  13. 임업연구원 (1995) 산림병해충 목록 pp. 360. 임업연구원 서울
  14. 정부근, 강수웅, 권진혁 (1995) 단감원에서 노린재류 피해와 발생소장 및 방제에 관한 연구 농업논문집. 37(2): 376-382
  15. 조상규, 조덕환 (1962) 감 지방종에 관한 수집조사. 농시보고 8(1): 147-190
  16. 조인호 (1996) SAS 의 활용과 실제. pp. 665 성안당.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