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textbook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19초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ction Based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 허남구;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41-261
    • /
    • 2015
  • 디지털교과서는 정부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지칭하는 스마트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한 주요 전략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과학, 수학, 사회, 영어 교과의 디지털교과서를 2013년까지 개발하여 2014년에 적용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수학 과목의 경우, 디지털교과서의 초안이 기능적인 측면에서 서책형 교과서와 크게 다르지 않아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수학 교과에 부적합한 저작도구의 사용으로 인해 수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 중의 하나인 학생의 탐구 활동이 매우 제한적으로 구현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교과서가 보다 잘 사용되어지기 위한 개발 방향과 저작도구로서 Cabri LM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고 적용하면서 나타난 결과를 소개한다.

모성간호학 실습 전자교과서 개발 - 산부간호편 -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e for the Internet: Nursing Care of Women in Labor and Delivery)

  • 장순복;김정은;송주은;이선경;전은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22-231
    • /
    • 2002
  •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digital textbook for students to use over the internet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e. The textbook is not only for student nurses, but also for nurse midwives and nurses working in the maternity. The process used was as follows; 1. Existing educational media on maternity nursing were reviewed and examined. 2. Workshops and meetings were held to decide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presentation. 3. The digital content including text, pictures, audios, and videos were developed using Macromedia Dreamweaver, Adobe Photoshop and Adobe Premier. 4.Revisions were made recursively as the content was previewed and implemented over the internet by professionals and the end-users. 5. A database of members and a web survey module were developed and posted. The clinical implication of a digital textbook over the internet is the possibility of using it to educate many student nurs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disseminate the content for whoever needs it in practice settings and facilities. Another implication is that this site stressed interactivity by developing member database and web survey.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is first trial of digital textbook to be a unique educational media for nursing skills practice. Further refinement of this media is strongly recommended.

  • PDF

대화형 수학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활용 사례 연구 - 선형대수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Usage of Interactive Digital Linear Algebra Textbook)

  • 이상구;이재화;박경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41-255
    • /
    • 2017
  • 스마트 교육 환경과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테크놀로지들을 활용하는 새로운 차원의 디지털 수학 교과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초 중등 수학 교육에서는 여러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대학 수학교육의 경우 디지털 수학 교과서 관련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대수학을 중심으로 디지털 콘텐츠와 대화형 실습실을 활용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소개한다. 본 교과서는 본 연구진이 직접 개발하여 누구나 http://matrix.skku.ac.kr/LA-K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였으며, 기존의 종이 교과서(서책형)를 단순히 pdf 형태의 파일로 변환하여 애니메이션이나 참고자료 등을 추가한 수준에서 벗어나 전자책, 웹 콘텐츠, 강의 동영상, 대화형 실습실을 포함한다. 본 선형대수학 디지털 교과서는 학생들이 어떠한 모바일 기기에서든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계산, 코딩 및 타이핑 과정에서 절약된 시간을 수학 개념을 더 깊이 이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코드를 포함한 대화형 실습실 및 동영상 강의를 탑재한 최초의 수학 디지털 교과서로 평가되는 본 연구의 결과물은 차세대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모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UDL 가이드라인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Korea Digital Textbook based UDL guidelines)

  • 장상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5-75
    • /
    • 2010
  • 지금까지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는 교육 분야에 적용되어 교육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다양한 한계를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해 왔다. ICT의 발전은 컴퓨터 활용교육, 인터넷 활용교육, 이러닝으로 교수 학습의 방법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최근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유러닝으로의 교육 환경 변화를 예고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핵심 속성인 이동성, 지능성, 개인맞춤성 등이 구현된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뇌과학에 기반해 인지적 측면, 전략적 측면, 정서적 측면에서 학습에 대한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고 모든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한 설계 전략으로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적용한 한국의 디지털교과서의 접근성 향상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스마트폰 기반 초등 컴퓨터 교육을 위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based on Smart phone)

  • 이혜정;이정자;정석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687-693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의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위한 디지털 교과서를 설계하고 구현한 것으로서, 디지털 교과서의 장점인 상호작용성을 극대화하여 개인의 수준과 선택에 따라 자율적으로 공부 할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로 본 연구에서는 엑셀의 차트 기능을 활용하였다. 구현된 디지털 교과서를 초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평가해본 결과 기존에 활용되던 인쇄형 자료에 비해 차트를 작성하는 과제의 수행시간이 단축되었다.

차세대 디지털교과서를 위한 기반기술 및 적용에 관한 연구 (Fundamental study on the technology and appli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Digital Textbook)

  • 손원성;한재협;최진용;서종훈;최윤철;한탁돈;임순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65-174
    • /
    • 2010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시범사업은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컨텐츠 활용 및 연구사례 등을 도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온라인 학습콘텐츠와 유사한 상호작용 및 교수학습 모델을 제공하며 특히 태블릿 기반 콘텐츠의 학습효과 및 탐구능력 등과 같은 연구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블릿 기반의 차세대 디지털교과서를 위한 교수학습 모델을 제안하며 특히 디지털 잉크 기반의 스케치 인터페이스 및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상호작용 모델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연구기법은 학습콘텐츠로 구현되었으며 이를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 및 학습몰입감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미래형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시 효과적인 개발방안이 될 것이다.

  • PDF

PATROL 교수학습모형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기능 설계 (Design of Digital Textbook Functions Based on the PATROL Instructional Model)

  • 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89-196
    • /
    • 2016
  • PATROL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플립클래스룸을 적용한 교수학습모형으로서 계획, 실행, 추적, 추천, 요구, 안내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디지털교과서는 서책형교과서의 내용과 함께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자료를 보여주는 기능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교사들이 학생들의 가정 학습 결과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분석하고, 진단하고, 처치할 수 있도록 PATROL 모형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기능을 설계하였다. 디지털교과서 기반의 학습 분석 기능은 관계 분석, 평가 분석, 예측 분석, 적응 분석, 정보 분석 등 5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이 기능을 SEE-PAD라 명명하였다. 또한, 단계별 기능을 구체화하기 위해 Use Case 다이어그램과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 대한 비평적 접근 (A Critical Approach to an Elementary Science Lesson Using a Digital Science Textbook)

  • 임희준;오필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270-28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것이 과학 교육 측면에서 어떤 함의를 제공하는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과학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수업을 질적으로 기술하고 수업 현상의 구조를 분석한 후 그 의미를 비평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 초등 과학 수업의 구조나 교실 상호작용 양상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이 초등 과학 수업 방식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교실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때는 디지털 과학 교과서의 본질과 개발 방향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하고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고유한 교수법적 역할의 변화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PDF

생체모방 기반 융합 학습 모델을 적용한 '골격근의 구조와 수축'에 대한 디지털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Structure and Contraction Mechanism of Skeletal Muscle' with the Learning Model for Biomimicry-Based Convergence)

  • 김수연;권용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95-10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생체 모방 기반 융합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골격근의 구조 및 수축 메커니즘에 대한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골격근의 구조 및 수축 메커니즘 단원은 고등학교 생명과학I에 포함된 내용이다. 융합 학습 모델은 3D 모델링 및 프린팅을 포함하는 3단계의 생체 모방 기반 융합 학습(Exploration-Design-Implementation)으로 설계되었다. 개발된 디지털 교재는 8차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골격근 탐색, 스케치 앱과 3D 모델링을 이용한 골격근 모방 창의적 설계 2개 차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설계안의 융합적 구현, 근수축의 탐색, 스케치 앱과 3D 모델링을 이용한 근수축 모방 창의적 설계 2개 차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설계안의 융합적 구현 등으로 구성되었다. 각 차시는 대화 형 및 모바일 학습을 위해 갤러리 위젯, 미디어 위젯, 프레젠테이션 위젯, 스케치 위젯, 클라우드, 설문 위젯 및 평가 위젯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개발 된 디지털 교과서를 고등학생 20 명에게 투입한 결과 학생들의 생명과학 학습에 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생체 모방 기반 융합 학습 디지털 교재는 학생들의 창의적 설계 및 구현 능력의 향상에서 효과적인 학습자료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디지털 교재는 학생들의 흥미와 생명과학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에 유용한 자료임을 보여주었다.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Exploration of Digital Textbook Adop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서순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65-275
    • /
    • 2011
  • 이 연구는 초 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혁신확산모형에서 제안하는 혁신 속성 변인들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수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정보기술수용모형(TAM)을 보다 확장된 모형으로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찰가능성, 적합성, 주관적 규범을 외생변인으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사용의도를 내생변인으로 설정하는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관찰가능성, 적합성, 주관적 규범은 교사의 디지털교과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외재적 변인이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은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