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Approach to an Elementary Science Lesson Using a Digital Science Textbook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 대한 비평적 접근

  • Received : 2014.06.10
  • Accepted : 2014.08.14
  • Published : 2014.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a science lesson using a digital textbook looked like and what kinds of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rom the lesson. The study qualitatively described a 4th grade science lesson in the unit of Earth and Moon,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lesson, and critically interpreted the meaning of it. It was reveal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digital science textbook did not bring about changes in the already patternized structure of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as well as in the manner of classroom interaction. The result was followed by discussion concerning the ways the use of a digital textbook could change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and enable new types of classroom interaction. It was suggested that negotiations should be reached about the nature of digital science textbooks and their developments and that the teacher's own pedagogical roles in the science classroom should be improved.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것이 과학 교육 측면에서 어떤 함의를 제공하는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과학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수업을 질적으로 기술하고 수업 현상의 구조를 분석한 후 그 의미를 비평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 초등 과학 수업의 구조나 교실 상호작용 양상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이 초등 과학 수업 방식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교실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때는 디지털 과학 교과서의 본질과 개발 방향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하고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고유한 교수법적 역할의 변화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