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oheximid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9초

Acetylcholine과 MNNG가 생쥐 췌장세포(膵臟細胞)에서 외분비과립(外分泌顆粒)의 양적변화(量的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Changes in the Number of Exocrine Granules in Mouse Pancreatic Acinar Cells Induced by Acetylcholine and MNNG in vitro)

  • 조응행;최임순
    • Applied Microscopy
    • /
    • 제18권2호
    • /
    • pp.34-46
    • /
    • 1988
  • 췌장비 acinar cell에서 자극-분비 반응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다. 분비 촉진 물질인 아세틸콜린이나 MNNG의 투여에 따른 세포내 반응이 세포의 형태적 변화로서 잘 나타났으며 특히 gua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MNNG는 투여 후 일정시간 뒤 세포내에 많은 분비물 과립의 형성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때 췌장의 acinar cell을 아세틸콜린으로 자극할 경우 guanylate cyclase는 지속적 반응 단계의 초기에 분비에 가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cycloheximide나 dibucaine은 지속적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췌장의 acinar cell에서는 분비물 과립의 형성이 소포체에서 직접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Effect of Salicylic Acid on Growth and Chilling Tolerance of Cucumber Seedlings

  • Lee, Gui-Soon;Hong, J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1호
    • /
    • pp.1173-1181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salicylic acid(SA) on the chilling tolerance of acclimated and nonacclimated cucumber(Cucurmis sativus L.) seedlings. The acclimation phenomenon was characterized in chilling-sensitive cucumber seedlings and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rvival and shoot dry weights. The injuries experienced by the acclimated seedlings in the third leaf stage were on average smaller by half than those experienced by the nonacclimated seedlings. Chilling also caused a large increase in the free proline levels, regardless of the acclimation status. Exogenous treatment with SA(0.5mM) resulted in improved growth and survival of the nonacclimated chilled seedlings, indicating that SA induced chilling tolerance and SA and acclimation had common effects. The application of cycloheximide in the presence of SA restored the acclimation-induced chilling tolerance. The elevated proline level observed in the cold-treated and SA-treated plants was more pronounced in the light than in the dark at a chilled temperature, indicating that endogenous proline may play a role in chilling tolerance by stabilizing the water status in response to chilling.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A provided protection against low-temperature stress by increasing the proline accumulation, and pre-treatment with SA may induce antioxidant enzymes leading to increased chilling tolerance.

국내 해송에서 분리한 변색균 Ophiostoma quercus의 균학적 특성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phiostoma quercus, a Sap-staining Fungus Isolated from Japanese Black Pine in Korea)

  • 현민우;서동연;윤여홍;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3-129
    • /
    • 2008
  • 한국에서 해송의 줄기변색 부위에서 분리된 변색균류중 한 종에 대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Cycloheximide에 저항성인 Ophiostoma piceae complex 그룹에서 보여지는 무성세대 Petosum의 분생포자경과 또 다른 무성세대 Sporothrix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완전세대의 모습인 자낭각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이 균류는 배양적특성, 형태적특성 그리고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Ophiostoma quercus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분리된 O. quercus의 균학적 특성을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Cycloheximide 및 보존용액 처리가 개화단계에 따른 절화 아이리스 '블루매직'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cloheximide and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of Cut 'Blue Magic' Iris Flowers according to the Flower Development and Opening Stages)

  • 김영아;이종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90-795
    • /
    • 2010
  • 본 연구는 절화 아이리스 '블루매직'의 수명에 미치는 cycloheximide(CHI)와 보존용액의 효과를 알기 위해 실시하였다. 아이리스의 절화수명은 증류수구에 비해 3% sucrose (S) + $100mg{\cdot}L^{-1}$ HQS + $50mg{\cdot}L^{-1}$ $AgNO_3$ + $100mg{\cdot}L^{-1}$ BA 또는 3% S + $100mg{\cdot}L^{-1}$ HQS + $10{\mu}M$ CHI, 3% S + $100mg{\cdot}L^{-1}$ HQS + $50{\mu}M$ CHI 처리구에서 현저히 길었다. $200mg{\cdot}L^{-1}$ HQS를 보존용액에 첨가했을 때 나타나는 줄기 기부의 쪼그라듬 현상은 $100mg{\cdot}L^{-1}$ HQS 처리 시 완전히 없어졌다. 3% S + $100mg{\cdot}L^{-1}$ HQS + $50mg{\cdot}L^{-1}$ $AgNO_3$ + $100mg{\cdot}L^{-1}$ BA 처리는 절화수명, 생체중, 수분균형, 개화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3% S + $100mg{\cdot}L^{-1}$ HQS + $10{\mu}M$ CHI, 3% S + $100mg{\cdot}L^{-1}$ HQS + $50{\mu}M$ CHI 보존용액 처리시 용액흡수량과 증산량은 낮았으나 수분균형은 높았다. 반개화 상태에서 수확한 아이리스에 CHI 처리는 노화를 지연시켰고 절화수명도 현저히 증가시켰다. 봉오리 단계의 아이리스에 CHI를 함유한 보존용액을 처리하면 개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나, 꽃잎이 벌어진 상태에서 CHI를 함유한 보존용액 처리를 하면 개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졌다.

Comparison of Effects of Different Activation Treatments on Development of Rabbit Embryos Reconstituted with Fetal Fibroblast

  • Lee, H.J.;Yoo, J.G.;Cho, S.R.;Lee, S.L.;Chong, J.R.;Yeo, H.J.;Hwang, J.M.;Park, J.S.;Yea, E.H.;Rho, G.J.;Choe, S.Y.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22
    • /
    • 2001
  • To produce reconstituted rabbit embryos with fetal fibroblasts, the present study was evaluated the efficiencies of the different fusion and activation conditions as assessments of subsequent development and chromosome in the embryos.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used throughout the study. Fetal fibroblasts collected from 22-d of fetuses were cultured in DMEM + 10% FBS in 5% $CO_2$ in air. The culture was maintained for 10 passages. In every passage half of cell suspension were kept In frozen. From rabbits treated with FSH in 30% PVP solution and hCG, oocytes were surgically collected from oviducts at 14 h post-hCG injection and stripped off their cumulus cells by re-pipetting in a 300 IU hyaluronidase solution. Oocytes with an extruded first polar body and dense cytoplasm were enucleated by micromanipulation in Ham's F-10 medium+7.5 g/$m\ell$ cytochalasin B. Euncleation was confirm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after staining with 5 g/$m\ell$ bisbenzimide for 2 min. Each enucleated oocyte was injected with a fetal fibroblast into a perivitelline space. Reconstructed eggs were compared fusion rates either at 2.0 ㎸/cm or 1.6 ㎸/cm(60 sec, double pulses). After fusion, all eggs were activated with the combination of 5 M ionomycin (5 min) and 10 g/$m\ell$ cycloheximide (CHX, 3h), and cultured in CRlaa medium and transferred into TCM199+10% FBS on day 3. Although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 in fusion rate between treatments (60%, 2.0 ㎸/cm vs. 79.4%, 1.6 ㎸/cm), none of them in the eggs fused with 2.0 ㎸/cm developed to blastocyst. In comparison of development and chromosome status between different activation treatments (Group 1; 5 M ionomycin/10 g/$m\ell$ CHX, Group 2; 5 M ionomycin/5 g/$m\ell$ CHX + 2 mM DMAP after fusion with 1.6 ㎸/cm), there were not differ in cleavage and development rates (67.3% and 28.9% in Group 1; 67% and 33% in Group 2). All out of 8 embryos evaluated in Group 1 appeared a normal diploid chromosome sets and mean number of cells (Mean SEM) on day 4.5 of culture was 141.5 23.15 (n=8).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cycloheximide has not happened in chromosome abnormalities, and fetal fibroblasts can be used for cloning in rabbit.

  • PDF

비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 TOPE 의 생리적 작용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Effects of TOPE, a Photo - independent Diphenylether, on Higher Plants)

  • 김진석;조광연;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70
    • /
    • 1996
  • 비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 화합물인 TOPE의 제초작용 생리를 알기 위하여 온실에서의 제초특성을 비롯한 식물색소대사, 전자전달계, 단백질 및 핵산대사 등에 미치는 TOP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작용발현 속도가 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보다는 늦지만 엽신부의 고사와 동시에 생육저해 및 생장점에서의 분열이상이 관찰되었으며 절취된 오이자엽에 처리될 경우 전해질 누출과 더불어 엽주변부의 심한 분열이상이 초래되었다. 그러나 2,4-D와 같은 오옥신 활성은 아니었다. 저광도에서의 엽록소 형성 저해정도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oxyfluorfen 과는 달리 protoporphyrin IX의 축적도 유기되지 않았으나,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모두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었다. 탈수소효소의 활성 또는 미토콘드리아에서의 호흡활성은 일정농도에 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나 호흡저해제들은 TOPE에 의한 전해질 누출을 경감시키지 못하였다. 한편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는 고농도에서만 관찰되었다. 오이의 전해질 누출과 분열이상을 지표로 한 TOPE와의 상호작용 실험에서 전해질 누출에 대하여 cycloheximide는 상승적으로, chloramphenicol, actinomycin-D, hydroxyurea는 길항적으로 작용하였고, cycloheximide, actinomycin-D, hydroxyurea 등은 자엽의 이상분열을 경감시켰다. 이는 TOPE가 핵산대사에 관여됨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써 오이자엽 및 벼 근에 TOPE를 처리했을 때 RNA 및 단백질보다 DNA의 증가가 보다 빠른 시기에 일어났다. 따라서 TOPE가 처리되면 비정상적인 핵산대사 촉진으로 인해 제반 생리작용이 교란되고 이어 엽신부의 고사와 분열이상 등의 제초활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 홍삼사포닌이 배양중인 쥐 조골세포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SAPONIN ON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RAT OSTEOBLASTIC CELL(ROS17/2.8) IN CULTURE)

  • 정진광;김정근;이재현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694-702
    • /
    • 1995
  • Using the Korean red ginseng saponin, which is known to world-wide and thd effects of it have been investigated by many reserachers for years. Ginseng saponin,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Korea ginseng root, has many various biologic effects, such as cytotoxic effect, tumorcidal activity, protein biosynthesis and membrane modifying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ROS cells in culture. After ROS cells were seeded into a 96-well plate, 96-well plate cultured until confluence was obtained. To evaluate cytotoxic effect of total saponin in cultured ROS cells, the plates were added to each total saponin concentration (0-1mg/ml). After 48hr., cells were counted by stain with 0.2% trypan blue at randomly selected field microscopically. Also, to evaluate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 of total saponin in cultured ROS cell, the plate was added to each total saponin concentration (0-1mg/ml) and ALP activity was assayed. To evaluate time-course of ALP activity, $31.25{\mu}g/ml$ of saponin added to 96-well plate. After culture of 6, 12, 24 and 48hr., ALP activity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effect of cycloheximide in ALP activity, 96-well plate was added to saponin and cycloheximide. In control group, the plate was added saponin on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total saponin was added in the medium, 500 and $1000{\mu}g/ml$ of total saponin showed cytotoxic effect of ROS(P<0.005). 2. In contrast to control group, 7.6, 15.6, 31.25, 62.5 and $250{\mu}g/ml$ of total saponin increased ALP activity significantly. 3. Otherwise, 500 and $1000{\mu}g/ml$ of total saponin decreased ALP activity significantly(P<0.005). 4. As the time span increases, $31.25{\mu}g/ml$ of total saponin increased ALP activity. 5. Cycloheximide decreased saponin-indueced ALP actitity in ROS(P<0.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total saponin stimulates the ALP activity of rat osteoblastic cells.

  • PDF

Chemical Agent를 이용한 추가 활성화 처리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Porcine Parthenogenetic Oocytes Activated with Different Combination of Chemicals)

  • 서진성;황인선;김세웅;박효숙;김동훈;양병철;공일근;양보석;임기순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1호
    • /
    • pp.1-5
    • /
    • 2006
  • 핵이식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복제를 이루기 위해서 인위적인 활성화 처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전기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난자를 chemical agent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활성화 처리를 하였을 때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체외에서 $40{\sim}44$시간 동안 배양된 난자를 전기자극(E)으로 활성화 처리한 후 Thimerasol + Dithiothreitol(Thi+DTT), 6-Dimethylaminopurine(6-DMAP) 및 Cycloheximide(CH)를 사용하여 추가 활성화 처리를 하였다. 활성화 방법(E, E+Thi+DTT, E+6-DMAP 및 E+CH)에 따른 단위발생란의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을 조사한 결과, chemical agent에 의해 추가 활성화된 단위발생란이 전기자극만으로 처리된 구의 단위발생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21.5{\sim}28.1%$ vs. 18.0%, P<0.05). 특히, E+Thi+DTT를 이용하였을 때 발달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28.1%, P<0.05). 활성화 처리별 전핵 형성율을 조사한 결과, chemical agent에 의해 추가 활성화 처리된 구에서 하나의 극체(1PN) 형성률은 처리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59.9{\sim}64.7%)$, 2PN 형성율은 추가 활성화 처리구에서 전기자극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7.2{\sim}9.7%$ vs. 4.3%, P<0.05).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전기자극 후 chemical agent를 이용한 추가 활성화는 단위발생란의 배반포까지의 발달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Killer 효모와 알콜 발효효모간의 원형질체 융합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otoplast Fusant between Killer Yeast and Alcohol-Fermenting Yeast)

  • 정기택;방광웅;김재근;송형익;정용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1990
  • 원형질체 융합을 통하여 killer 효모의 유전형질을 기존의 ethanol 발효효묘에 도입하므로서 야생의 killer 효모에 저항성을 가지고, 오염효모를 치사시킬 수 있으며, ethanol 발효능도 유지하는 새로운 효모균주를 개발하였다. 먼저 융합주의 생리적인 특성을 검토한 바, 융합주는 양천주에 비하여 세 적이 크고, DNA 함량이 높았으며, 증식도는 친주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 융합주를 최소배지에서 보존하는 것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이었고, 7일 간격으로 7회 계대배양하므로서 유전적으로 안정화시킨 융합주를 6개월 간 계속 사용한 결과 segregant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매우 안정하였다. 또한 융합주는 핵 및 포자를 형성함을 관찰 할 수 있었고, TTC 정색반응에서 적색 및 pink 색을 띄었으며, 탄소원의 자화성 및 발효능은 천주와 유사하였는데, KCI, NaCl, sodium propionate alc cycloheximide 등에 대한 내성도 양친주의 한쪽을 따랐다. 그리고, 융합주를 20% glucose와 sucrose에서 72시간 및 60시간 배양했을 때, FWKS 260의 경우 각각 9.6v/v% 및 9.8v/v%의 ethanol을 생성하였고, 감수성주와 혼합배양한 결과 FWKS260의 경우 48시간 이후에는 감수성주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으며, 전주 및 융합주의 dsRNA plasmid를 추출하여 전기 2.5kb의 L 및 M dsRNA plasmidsms는 서로 연관성이 있으며, killer toxin 분비 및 저항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지배하는 것은 M dsRNA plasmi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