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autonomy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남북한 수학 교과서의 비교 -북한의 고등중학교(중등반) 기하를 중심으로- (Comparis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Mathematics Textbooks)

  • 최택영;김인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35-54
    • /
    • 1998
  • Half century has passed sinc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Now a days,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Especially mathematics education in which I am interested has a lot of changes and differences. This is proved true by defects' proof. For those reasons, I compared South Korea's education ideology, goal and system, and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with North Korea's. I compared geometric(1-4 years, published by Pyong-yang Educational Book Publication Co. 1991) of mathematics texts(1-6 years) which are used in the secondary school with mathematics text of South Korea in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them. As a result of this comparison, education ideology and goal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pursuing humanity. In North Korea, the curriculum is very strict without autonomy. There are 1283 mathematics classes which are occupied 19% for six years during the secondary school. The contents are very similar, but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of a term. The problems which praise Kim Il-sung and his son and reveal loyalty to them were found, and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in order to promote hostile feeling against U.S.A and South Korea, too. In conclusion, mathematics education of Korean peninsula should be reunified in the fields of the terms and contents at first.

  • PDF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실태 분석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Innovative Sharing University Project for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Digital New Technology)

  • 한지영;이승엽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66-7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novative sharing university project.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y selecting officials participating in the innovative sharing university project as stud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romotion system and operation dimension of project group, study participants presented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in terms of the national promotion system and university-level project operation. Second, in terms of curriculum management dimension, study participants presented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in content development and sharing, engagement support for professors and students participation, and securing and shar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ird, in terms of management of project performance indicators, study participants presented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in managing core performance indicators, managing autonomy performance indicators, and sharing project performance.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suggestions for the use of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의사소통론 교과목 개발 및 적용 (A Study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in Communication Curriculum of Nursing Education)

  • 현명선;강인애;공성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4-154
    • /
    • 2003
  • Recently, in the academic disciplines critical thinking has been emphasized as the new evolution in education. Problem-based learning is suggested as the evolutionary learning method in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In the nursing education, PBL is offered as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to prepare nurse student for professional. PBL is a student-centered learning strategy aimed at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motivating self-directed study and attaining aut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curriculum of nursing education based on PBL and implementing of it. PBL module was developed focused on five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to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guided questions to stimulate student inquiry were also developed. This PBL education was conducted for six students in the master's course during the 14 weeks from March, 2000 to June, 2000. The outcomes of the PBL education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experienced the effect of it focused on self-oriented, group-oriented, and practice-oriented domain. In the self-oriented domai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5 kinds of concepts including 'motivation for self-directed study', 'transition toward certainty in knowledge acquisition', 'attempt to apply their prior knowledge into new situation', 'enhancement of self-image in real situation', 'self-growth with self reflection'. In the group-oriented domain, there were 3 kinds of concepts including 'cognitive work in group', 'perception of co-responsibility in attaining learning objectives', 'socialization with group members'. In the practice-oriented domain, there were 3 kinds of concepts including 'linkage theoretical knowledge with real situation', 'attempt to apply in real situation', 'development problem solving skill in real situation'. In conclusion, PB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 group, and clinical domain. And assessing PBL outcomes is challenging because standardized instrument do not develop yet. 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uggest the basic data for examining the PBL outcome.

  • PDF

창의적 융합교육에 의한 교육환경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창의성 촉발의 탈중심적 및 사건적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Education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Fusion of Creative Education)

  • 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25
    • /
    • 2015
  •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가 정착되면서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정책 영역은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게 되고 모방형 인재가 아닌 미래성장 동력인 창조적 인적자본의 육성을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교육환경은 여전히 입시교육 위주의 지필평가를 위한 교육정책과 학생들의 흥미나 즐거움을 유발하지 못하는 학교교육으로 인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해야하는 글로벌 지식사회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물론 자유학기제 등을 강조하는 교육정책과 더불어 학교는 창의적 융합교육 환경을 조성해야할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지식사회에 상호 관계적 연계성을 중요시하는 특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이후 현대철학 사상에 나타난 인간에 대한 탈중심적 사유를 통한 창의성 촉발을 중요한 생성론적 특징으로 언급한 철학자 질 들뢰즈의 교육과 공간담론의 개념적 사유로 창의적 교육공간 특성을 이해하고 서로의 상호 연관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구조주의적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현대 철학적 사유를 통한 창의적 학교는 구성원들의 탈중심적인 협력 중점의 융합적 교육과정 및 학교 운영의 자율성이 중심이 되는 창의성 교육환경, 즉 환경공간의 속성으로서 다변화적 지원공간, 유동적 실외공간, 연계적 중심공간, 사건적 상황에 따른 다양한 종류 및 규모 공간, 개방적 공간 및 융합적 공간이 다양한 교육공간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짐을 볼 수 있다.

지능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체제 혁신 방향과 과제 탐색을 위한 시론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irection and Tasks for Innovating School System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27-136
    • /
    • 2017
  • 이 연구는 다가온 4차 산업혁명시대와 지능정보사회를 맞은 한국 사회의 핵심적 정책 아젠다 중 하나인 학교교육 체제 개혁을 위한 몇 가지 방향과 대안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학교교육은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공급자 중심 체제이고, 20세기 초반의 공장제식 학교교육의 특징을 굳건히 하면서 획일적 교육 및 학습 관행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교육계 종사자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과도한 추종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지식의 도구화와 학습의 탈맥락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4차 산업혁명기가 요구하는 공감하고 협력하면서도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할 줄 아는 인간을 양성해내는 데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혁하기 위한 교육 혁신의 과제로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하고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수권체계를 선진형 교사수권체계로 변화시키고, 둘째, 교사의 자율성을 잠식하는 관료적 교사단체제를 해체하고 전문적 교사단 체제를 정립하며, 셋째,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과정에서 교과영역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교원양성교육과정의 철저한 개선이 시급하고, 넷째, 과도한 교육행정관료제의 완화와 함께 교육법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하며, 다섯째, 학교교육 지원행정을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 교육과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omeschooling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 육권인;백일우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51-87
    • /
    • 2018
  •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한국 홈스쿨링 교육과정에 대한 제도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준거를 도출하고, 그에 대한 하위범주로 분석내용을 도입하여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적 면에서 양국의 홈스쿨링 가정이 사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고 있지만, 사회적 목적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은 유사하다. 둘째, 교육내용 면에서 홈스쿨링의 교과과정, 교재 및 교육자료의 다양성이 미국에서는 상당히 확보되어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교육실행 면에서 양국의 홈스쿨링은 수업시간의 자율성과 수업공간 및 수업방법의 다양성은 확보되어 있지만, 한국의 홈스쿨링은 미국의 홈스쿨링과 달리 홈스쿨링 단체와 홈스쿨링 협력모임의 부족, 웹상의 공간 부족 등으로 인하여 교육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넷째, 교육평가 면에서 한국의 홈스쿨링은 미국의 홈스쿨링과 달리 공식학력으로 인정되지 않고 있으며, 대학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논의를 하였다.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성취를 예측하는 학생과 학교 및 ICT 요인 : 다층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Student-, School-, and ICT-Factors Predicting Computer-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cusing on Analyses of Multi-level Models)

  • 임효진;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57-471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142개 학교의 4863명)의 PISA 2015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이하 CPS)에 미치는 학생, 학교 수준의 배경요소와 ICT 요인을 설정하여, 설명 변수가 없는 기초모형(모형1)부터 모든 변수가 투입된 최종모형(모형5)까지 2수준 위계선형모형(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이하 HL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협동지수는 CPS 점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던 반면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불공평함은 CPS 점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목적의 ICT 사용빈도가 많을수록, 그리고 오락 목적의 ICT 사용빈도와 학교에서의 ICT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PISA 2015에서 최초로 측정된 ICT 태도 중 ICT에 대한 흥미가 높고 ICT 기기 사용에 대한 자율성이 높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으며, ICT를 사회적 상호작용(SNS, 채팅)을 위한 도구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CPS 점수가 낮았다. 셋째, 학교 수준 변수에서는 학교의 학습 분위기를 저해하는 학생 행동이 적을수록, 교사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생 당 이용가능한 컴퓨터 수가 적을수록 CPS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소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ICT에 대한 흥미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하며, 학교현장의 ICT 기기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ICT 활용이나 SW 교육과정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 탐색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 분석 (The Study of Educational Consumer's Perception for Exploring Educational Capacity Consolidation Way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sangbuk-do)

  • 정현숙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71-99
    • /
    • 2014
  • 본 연구는 고교 다양화 및 특성화고 육성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을 탐색 제시하기 위해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의 일반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경상북도 소재 일반고 총 31개교의 학부모 3,383명, 학생 7,953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교육역량강화 정책에서 추진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수준이며, 학부모와 비교했을 때 학생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교규모별에서는 소규모학교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소규모 학교가 가지는 협동적 학교조직 문화형성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실천 전략의 선호도에서는 학교규모별, 신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향후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전략 수립에서 교육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조화롭게 반영할 수 있도록 단위학교별로 전략수립에 자율성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기본방향과 성공적인 정착방안 탐색 (The Study of Basic Direction and Successful Fixation Way for Enhancing Educational Capacity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sangbuk-do)

  • 정일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3
    • /
    • 2014
  • 본 연구는 고교 다양화 및 특성화고 육성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일반고가 안고 있는 문제점 등을 진단하여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상북도의 일반고 육성방안을 다각적으로 마련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박근혜정부의 교육정책기조와 경상북도 교육정책 방향, 경북지역 일반고 교육현황,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방안의 주요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교육부의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방안에 기초하여 제시된 경상북도 일반고 교육역량 제고의 주요 추진과제로는 (1) 진로별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확대, (2) 일반고 학생을 위한 진로직업 교육 확대, (3) 위기학생 지원 프로그램 강화, (4) 일반고 High-up 프로그램 지원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주요 추진과제들이 학교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 운영되기 위해서는 개별 일반고의 지역적 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학교단위 책임경영제의 정착, 학교경영에 있어 총체적 질 관리 적용, 그리고 협동적 학교조직문화 형성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글로벌 민주시민 양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그리고 경상북도교육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즉 경상북도 일반고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전략들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