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exchange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3초

17~18세기 동인도회사를 통한 네덜란드와 일본의 복식문화교류 연구 (A Research on the Exchange of Costume Culture between Netherlands and Japan through 17-18 Century Dutch East India Company)

  • 김명은;배수정
    • 복식
    • /
    • 제65권4호
    • /
    • pp.109-123
    • /
    • 2015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take a bilateral look into cultural exchanges of the Netherlands and Japan through the East India Company and thereby improve the general understanding in regards to the exchanges of costume cultur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on features of contemporary costumes of the Netherlands and Japan from 1602 to 1799 by investigating the secondary sources, such as the histories of costumes, arts, and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raditional sleeves of the Japanese Kimono were basically cut out in a straight line. However due to the growing popularity of the kimono home gown in Europe, the producers of the kimono in India as well as several other European countries modified them into western-style sleeves. Regarding the costumes of the Netherlands, which were introduced to Japan, the study found that Japan imported Dutch fabrics, instead of specific clothing items. In Japan, costume controls and anti-conspicuous consumption regulations among social classes including a closed-door policy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developments and exchanges of costumes of the country.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Jinbaori, a costume for ruling classes, Japan was open to using fabrics, patterns and designs of the West. In light of w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stum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started long after their first business of the general cultural exchanges. Though it is clear that the advancements in the natural sciences that the Japanese made can be attributed to the West, Japan was one of the nations that impacted the costume cultures in Europe.

재생 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특성 연구 -독일의 졸페라인 탄광 지구 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me Features Appear in Renewal Space -Focusing on the Renewal Project of the Zollverein Coal Mine Industrial Complex in German-)

  • 이현진;이상준;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60-69
    • /
    • 2014
  • The features of the cultural phenomenon, 'Hybrid Culture,'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of 'Meme,' the cultural gene continuously evolves. The architectural meme also has an effect as the cultural symbol on a space. It can be the solution to the urban problems, lack of contextualization caused by reckless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stainable and effective renewal space by applying the concept of Meme. Theoretical analysi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case study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Meme features of the renewal space.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me features appeared in the Zollverein Coal Mine Industrial Complex in Germa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s as written below. First, Meme renewal space is a design that can solve the contextual deficiency of architecture through the cultural renewal. Second, the true renewal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meme space that organically changes as if an organism. Third, it is possible to conduct a detailed analysis on the organ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volving phases-Mimesis, Memeplex, and Metameme. Fourth, the true meaning of sustainable renewal space is the Meme space encompasses the scope of urban. Lastly, the Meme space has a circulation system that each evolving phase, and new and old continuously exchange feedbacks.

아든만 연안지역의 복식문화 동질성 연구 -혼 지역과 아라비아 지역의 부르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omogeneity of Costume Culture in the Coastal Areas of the Gulf of Aden -Focusing on the Burga of Horn and Arabia -)

  • 김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4호
    • /
    • pp.664-676
    • /
    • 2001
  • This study highlights the homogeneity in the heritage of the costume cultures between the Gulf of Aden, a part of the Horn region of Africa and the Arab region of West. Asia. Specifically,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s use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regions based on their (1) geographic living cultures and (2) the use of a costume accessory called Burga-a face veil. The current trend in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Africa mostly ties art with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and examines its from an aesthetic or animalism perspective rather than from a cross cultural Perspective.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in this area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views and Pictorial analysis to analyze costume culture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Burga, which is worn in the low lands of the Horn regi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West Asia and African continents, as well as the Arab region, shows a reciprocal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the shape, design, decorative elements, and the way the Bursa was worn in two regions. Although the Burga as a face veil is only a small part of a costume, it reaffirms the similar living cultures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regions. As the living culture environment becomes similar around the world, this study should help with cross culture negotiations as well as forthe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 PDF

도서관 및 지역 특성이 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brary and Local Characteristics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Library Users)

  • 박지영;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66
    • /
    • 2017
  •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인이 겪는 편견과 차별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다문화 인식이 고양될 필요가 있으며, 공공도서관은 시민이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과 기회를 넓혀 나가는 문화 교류의 장으로 시민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및 지역의 특성에 따라 공공도서관 일반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어떤 특성이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별로 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도서관 특성이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전반적인 서비스 제공에 있어 문화다양성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중국 무용 복식을 통해 본 이국적 취향의 이입 현상에 관한 연구 - 한대부터 수당대 장수의과 우의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the Exotic Fashion Observed in Chinese Dancing Costumes - From Han to Sui Tang Dynasty-)

  • 윤지원
    • 복식
    • /
    • 제55권4호
    • /
    • pp.124-137
    • /
    • 2005
  • Foreign culture, introduced by cultural exchange, was modified and accepted into a new form and value system. Culture speaks for the characters of the period, so it is presented by the mutual actions of many factors affecting culture. Religion is the essence of human life and the source of ideas about life, the universe and existence, so they become hidden inside of the structure of culture. Dancing costumes present the process of cultural modification and acceptance more vividly than general costumes. This research shows that, among foreign cultures, it is Buddhism that most influenced Chinese dancing costume. Taoism was the Chinese native religion that played an oppositional role against Buddhism. Taoism was hidden in Chinese dancing costume in every age. Chinese dancing costume changed many times due to the import of exotic styles such as Buddhism that partially replaced the Taoistic tradition.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ultural importation of exotic styl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China during the period from the Han to the Sui and Tang dynasties.

중국 건무 복식에 나타난 이국적 취향에 대한 연구 -한대부터 수당대를 중심으로- (Research of the Exotic Fashion Observed in the Ribbon-Dancing Costumes - From Han to Sui $\cdot$ Tang Dynasty-)

  • 윤지원
    • 복식
    • /
    • 제55권8호
    • /
    • pp.48-56
    • /
    • 2005
  • Foreign culture, introduced by cultural exchange, was modified and accepted into a new form and value system. Culture speaks for the characters of the period, so it is presented by the mutual actions of many factors affecting culture. Religion is the essence of human life and the source of ideas about life, the universe and existence, so they become hidden inside of the structure of culture. Dancing costumes present the process of cultural modification and acceptance more vividly than general costumes. This research shows that, among foreign cultures, it is Buddhism that most influenced Chinese dancing costume. Taoism was the Chinese native religion that played an oppositional role against Buddhism. Taoism was hidden in Chinese dancing costume in every age. Chinese dancing costume changed many times due to the import of exotic styles such as Buddhism that partially replaced the Taoistic tradition.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ultural importation of exotic styl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China during the period from the Han to the Sui and Tang dynasties.

CULTURAL IMPACT ON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AFFECTING PROJECT MANAGEMENT PRACTICE

  • Eric Wai-Leung Ch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73-183
    • /
    • 2009
  • Knowledge management (KM) is one of the useful management tools in today's project management (PM) practice, such as construction projects. Nobody can deny the importance of "useful knowledge" always helps organizations and project managers shaping a decision. Due to the trend of globalization, it is now very common that an organization may comprise employees from different countries of distinct national-cultures working together. It is also not uncommon that different projects, within an organization, may have their own organizational-cultures which influence its knowledge repository, transfer process and knowledge strategy. Therefor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align all these cultures and consolidate them to benefit the KM process and PM practice. Organizations and project managers understand that different national-cultural and organizational-cultural factors will create impact on the philosophy of KM process which will subsequently affect PM practice. Those factors may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xchange of knowledge between projects and amongst staff. Systematic KM process can utilize the goodness of different employees from distinct cultures which can eventually drive the organization and projects to suc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based upon a case study of a Hong Kong construction company, is to discuss how those cultural factors are linked to KM and what organization and project managers can do to improve the KM process and PM practice.

  • PDF

칭다오대학 국제교류 현황 및 발전과제 (Status an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Exchange at Qingdao University)

  • 이장패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1호
    • /
    • pp.24-35
    • /
    • 2021
  • 이 글은 국제교육교류의 성격을 밝히고, 그 가능성을 살펴본 것이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우선 국제교육교류라는 것은 국가 간 교육에 대한 교류를 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낙후한 지역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국가들 간의 상호이해에 기반해 전 세계의 발달에 기여하는 것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국제교육교류에 대한 현황을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경남교육청 국제교육교류센터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들 세 주체에 나타난 국제교육교류에 대한 현황에서는 실천적인 측면에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이들을 이론화하여 설명이나 예측을 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것을 토대로 국제교육교류의 가능성은 정부나 교육청의 실천력 강화는 교육의 타율성을 가져올 수 있고,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 대한 지원을 통해 해당 국가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으며, 개발도상국에 개발 원조에 대한 제한성이 있고, 우리나라 학문적 발전에 대한 저조한 노력이 있고, 연구방법론의 활성화를 통한 학문 정체성의 확립에 대해 논의하였다.

남북 무형유산 교류 협력의 다자간 협력 틀 모색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남북 공동 등재 사례 - (A Study on Seeking a Multilateral Cooperation Framework for the Inter-Korean Exchan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Through a Multinational Nomination of a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 김덕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252-269
    • /
    • 2019
  • 2012년 북한의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와 관리는 정상 국가의 법과 관리체계 형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북한의 민족유산보호지도국은 무형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목록화하며, 이들 중 아리랑, 김치 담그기, 씨름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2018년 12월 씨름의 남북 공동 등재는 평화와 화해를 위한 남북 교류 협력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남북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 공동 등재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현재 한국은 20개 종목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하고 있으며, 그 중 매사냥, 줄다리기, 씨름 등 3개 종목은 공동 등재로 여러 국가들이 함께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3개 종목의 공동 등재 신청 과정과 이후 활동들을 비교해볼 때, 과연 공동 등재의 본질과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된다. 특히 씨름의 경우 공동 등재 신청서 작성을 위한 남북 간 실무 협의도 없이 각각 단독 등재를 신청하였고,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주도 아래 정치적으로 협의가 이루어져 정부간위원회에서 예외적으로 공동 등재로 승인되었으며, 공동 등재 후 현재까지 상호 어떠한 교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국가 간 교류와 협력을 전제로 문화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동 등재의 정신에 비추어볼 때, 상징적이고 형식적이며 실질적으로는 각각의 단독 등재와 유사하다. 따라서 남북 공동 등재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공동 등재 정신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은 남북을 포함한 다국가들이 함께 다자간 공동 등재를 추진하는 것이다. 특히 각궁 또는 옻칠 등 남북한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이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남북한 또는 다른 국가들이 등재한 종목에 대해 추가적으로 공동 등재하는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그리고 거시적 관점에서 남북 관계의 특수성 및 정치적 상황에 따른 남북 문화 교류 협력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국제기구인 유네스코 등을 활용한 다자간 협력 속에서 남북 문화유산 교류 협력을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모전과 지역문화산업 육성전략의 연계 모델 연구 : WAF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Promoting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ies through the animation festival : WAF case study)

  • 임학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4호
    • /
    • pp.129-150
    • /
    • 2008
  • 이 연구는 도시에서 개최되는 문화산업 페스티벌 공모전과 지역문화산업의 연계성 증진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모전을 중심으로 모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광주에서 개최되고 있는 웹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모전(WAF)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업화 사례는 창작집단 중심형, 기업제작 중심형, 지역문화산업정책사업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공모전을 활용한 우수 프로젝트 발굴사업과 선정 작품에 대한 사업화 지원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공모전사업 주관기관과 담당자의 사업화 의지와 산업계의 공모전 참여구조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모델은 공공부문의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투자와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WAF를 우수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Showcase로 특성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