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 tunnel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3초

소단면 터널에서 에멀젼폭약의 사압현상과 대책 (Dead Pressure and its measures of Emulsion Explosives at Small Sectional Tunnel)

  • 민형동;정민수;진연호;박윤석
    • 화약ㆍ발파
    • /
    • 제26권2호
    • /
    • pp.29-37
    • /
    • 2008
  • 도로 및 철도 건설에서 적용되는 터널의 단면크기는 $50m^2$에서부터 $200m^2$의 중 대단면 터널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전력구, 통신구, 광산용 터널, 용수를 위한 도수로터널 등 특수한 용도로 설계, 시공되고 있는 터널에서는 $20m^2$이하의 단면크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소단면 터널의 경우에는 협소한 작업공간으로 인하여 적용공법 뿐만 아니라 장비의 사용 또한 제약을 받게 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에멀젼 폭약을 사용하는 발파에서 먼저 기폭된 발파공의 충격압력에 의해 인접공의 폭약이 예비압축되어 사압현상을 일으키고 잔류약을 발생시키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사압현상은 발파의 실패와 함께 2차적인 사고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기존 문헌을 통하여 사압현상의 원인과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사압현상이 발생한 소단면 터널현장을 대상으로 그 대책을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심발방법을 변경하여 전단의 충격압력을 견딜 수 있는 공간격을 확보하고 뇌관의 초시간격을 적절하게 배치한 발파패턴을 적용한 결과, 사암현상을 억제하고 잔류약의 발생을 감소시켜 계획 굴진장을 확보하였으며 파쇄석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등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RPS공법을 이용한 철도횡단터널의 2차원수치해석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Crossing Tunnel under Railroad using Roof Panel Shield Method)

  • 신은철;노정민;이은수;김경모;김중희;정병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591-600
    • /
    • 2005
  • There are many cross tunnelling methods such as NTR, TRCM, Messer Shield, Front Jacking, and Pipe Roof Method. The advantages of adopting RPS(roof panel shield) method in crossing tunnel construction with comparing other existing cross tunnelling method are needed a little space and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of cutting shoe during the construction of pipe roof. The numerical analysis of RPS was performed for the application in the crossing tunnel under railroad.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and settlement were predicted when the RPS method was applied during the excavation for crossing railroad tunnel construction.

  • PDF

해저철도터널(목포-제주간) 화재시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에 의한 피난연결통로 적정간격산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terval calculation of cross passage in undersea tunnel by quantitative risk assesment method)

  • 유지오;김진수;이동호;신현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49-256
    • /
    • 2015
  • 현재 목포-제주간 해저터널은 타당성 검토를 위한 기본계획 중에 있으며, 노선의 길이가 108 km인 고속여객 전용선으로 단면형태는 유로터널과 같은 서비스터널을 설치한 단선쌍굴터널로 검토되고 있다. 또한 교통량은 10량 1편성의 열차가 일일 76편/편도 운행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의 피난연결통로의 적정 간격을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에 의해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을 정립하였다. 또한 터널의 단면형태를 복선터널(Type 3), 쌍굴터널(Type 1) 및 복선터널을 격벽으로 분리하는 형태의 터널(Type 2)을 대상으로 단면형태별로 적정 피난연결통로 간격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Type 2의 단면이 대피안전확보에 가장 효과적이며, 현행 국내 사회적 위험도 평가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단면형태별로 350 m (Type 1), 400 m (Type 2), 1,500 m (Type 3)의 피난연결통로 간격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터널의 신 정보화 설계시공법과 극대단면 터널에의 적용 (New Observational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in Tunnels and Its Application to Very Large Cross Section Tunnel)

  • 황재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7호
    • /
    • pp.5-14
    • /
    • 2004
  • 최근 터널의 정보화 설계시공이 중요시 되어지고 있다. 암반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사전에 예측 할 수 없었던 암반의 붕락이 발생하여, 붕락대책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낭비하는 사례가 많다. 암반 불연속면의 복잡성을 사전 조사 단계에서 충분히 파악하거나 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터널의 신 정보화 설계시공법을 제안하고, 현장에서 관찰한 불연속면 정보를 근거로 하여 극대단면 터널에 적용했다. 터널의 신 정보화 설계시공법을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은 범용성, 정밀성, 신속성, 편리한 사용성을 검토하여 새롭게 개발되었다. 극대단면 터널에서는 표준지보에 의해 지지할 수 없는 불안정 키블럭이 7개 존재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7개의 키블럭에 대해서는 굴착전에 추가 지보를 실시했다. 극대단면 터널에 있어서, 터널의 신 정보화 설계시공법을 위해서 새롭게 개발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확한 키블럭 추출이 가능한 것을 검증하였다.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본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은 키블럭의 안정성 계산뿐만 아니라 추가보강대책공의 설계도 가능하다.

300km/h급 고속철도의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한 슬릿후드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alleviation of micro-pressure waves radiated from the tunnel exit with the slit hoods on the high-speed train operations of 300km/h)

  • 김동현;민동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619-624
    • /
    • 2000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for reducing micro pressure waves generated according to train speeds $(240km/h{\sim}380km/h)$ through tunnels with countermeasures as followings; the hood configuration in tunnel entrance. We developed hoods for tunnel of 0.5 km length in the condition of tunnel cross-section area of $107m^2$ on the slab track.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ximum micro-pressure wave is reduced by 41.2% for the slit hood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and reduced by 47.7% for the slit hood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and the $45^{\circ}$ slanted portal at the exit of the tunnel

  • PDF

미기압파에 의한 터널 출구 소음 저감을 위한 고속철도 터널 형상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unnel Entry Design Considering the Booming Noise Resulting from Micro-Pressure Wave)

  • 목재균;최강윤;유재석
    • 소음진동
    • /
    • 제7권6호
    • /
    • pp.959-966
    • /
    • 1997
  • In general, the booming noise intensity at tunnel exit is strongly related to the gradient of the compression wave front created by high speed train entering the tunnel. This paper presents some results in relation with the compression wave front produced when the high speed train enters a tunnel. Four kinds of tunnel entrance shape with real dimension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compression wave front inside tunnel by train entering tunnel. Comput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three-dimensional compressible Euler equation with vanishing viscosity and conductivity of flui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low disturbances occured at tunnel entrance were eliminated by tunnel hood with same cross sectional area. The compression wave front is formed completely at 30-40m from tunnel entrance. The maximum pressure gradient of compression wave front is reduced by 29.8% for the inclined tunnel hood and reduced by 21.5% for the tunnel hood with holes at the top face with tunnel without hood. The length of the inclined hood is 15m and the length of the hood with holes is 20m.

  • PDF

TBM 철도터널 단면선정을 위한 공기역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for the selection of cross-section to the TBM railway tunnels)

  • 이호근;강현욱;김현수;김홍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25-635
    • /
    • 2013
  • 유럽 등 해외에서는 TBM 굴착방식을 이용한 터널이 다수 건설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적용되고 있지 않다. TBM 철도터널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토목적 설계요소와 공기역학적 영향을 고려한 최적단면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적단면의 선정시에는 터널 연장, 열차 속도, 전차선 높이, 공동규 규격 등 토목적인 설계요소에 대한 고려와 함께 공기역학적 영향을 검토하여 적정 단면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공기역학적 검토시에는 최근 철도터널의 고속화를 고려하고 적절한 분석기준의 수립이 필요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관련기준이 없어 터널마다 상이한 공기압 분석기준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이명감 및 미기압 분석기준에 대하여 검토하고, TBM 터널단면별 공기역학적 분석을 통해서 TBM 철도터널의 단면선정시 공기역학적 영향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효율적인 터널 내공 단면 추출을 위한 지상 레이저 스캔 자료 처리기법 개발 (Developing a method of processing terrestrial laser scan data for efficient extraction of tunnel cross sections)

  • 한수희;조성하;김상민;허준;손홍규;유광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39-24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크기의 지상 레이저 스캔 자료로부터 터널의 내공 단면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헤시(hash) 기반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 중심선 자동 추정 및 터널 내공 단면 구성 포인트 클라우드 추출 방식을 제안하였다. 즉, 헤시 기반 구조체에 입력한 레이저 스캔 자료로부터 일정한 방향의 단면들을 추출한 후 각 단면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터널의 중심선을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중심선을 따라 일정 간격 및 두께로 터널 내공 단면 구성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약 750만개의 포인트로 구성된 레이저 스캔 자료로부터 1 m 간격으로 0.1 m 두께의 단면 구성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하는데 3초미만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메모리는 124 MB가 소요되었다. 그러나 터널 중심선 추정 후 오류 포인트 제거, 시점 및 종점 추가 작업을 수동으로 수행해야 히는 한계도 드러내었다.

미기압파에 의한 터널출구소음저감을 위한 고속철도 터널형상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unnel entry design considering the booming noise resulting from micro-pressure wave)

  • 목재균;최강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경주코오롱호텔; 22-23 May 1997
    • /
    • pp.627-635
    • /
    • 1997
  • In general, the booming noise intensity at tunnel exit is strongly related to the gradient of the compression wave front created by high speed train entering the tunnel. This paper presents some results in relation with the compression wave front produced when the high speed train enters a tunnel. Four kinds of tunnel entrance shape with real dimension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compression wave front inside tunnel by train entering tunnel. Comput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three-dimensional compressible Euler equation with vanishing viscosity and conductivity of fluid. According to the reslts, the flow disturbance occured at tunnel entrance were eliminated by tunnel hood with same cross sectional area. The compression wave front is formed completely at 30-40m from tunnel entrance. The maximum pressure gradient of compression wave front is reduced by 29.8% for the inclined tunnel hood and reduced by 21.5% for the tunnel hood with holes at the top face with tunnel without hood. The length of the inclined hood is 15m and the length of the hood with holes is 20m.

  • PDF

팬의 운전조건에 따른 종류식환기터널 내의 연기거동에 관한 전산유체역학연구 (Flow and smoke behavior of a longitudinal ventilation tunnel with various velocitie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이주희;권영진;김동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5-115
    • /
    • 2014
  • 터널내의 연기거동 및 대피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더욱 길어지고 있는 장대터널의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온도 분포와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치적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계산에 사용되는 컴퓨터자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델로 선정한 터널의 전체길이인 3 km을 사용하는 대신 여러 개의 대피터널이 포함되는 1.5 km만을 해석영역으로 사용하였다. 터널내의 연기거동에 의한 대피자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기의 밀도에 의한 기시도와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고려한 SE (smoke environment)값을 사용하였다. 공기 중에 포함된 연기의 밀도는 3차원 전산유체역학을 통하여 구하였다. 이러한 연기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분포를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하여 터널 벽면을 단열 혹은 일정한 열유속(heat flux) 가정을 사용하는 대신 1차원 열전도(heat conduction)방정식을 이용하여 터널벽면의 온도를 계산하였다. 대피터널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피자의 안전성은 높아지겠지만 상대적으로 건설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대피터널의 길이는 250 m로 하였으며 화재 시 제연팬의 운전 조건을 3가지 (팬이 가동되지 않는 조건, 임계풍속이하조건, 임계풍속이상조건)로 나누어 연기의 거동과 온도분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시간부터 플래쉬오버가 발생한 시간까지의 연기의 거동과 대피자의 상황을 SE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