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lation learning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28초

응급구조과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 이정은;김순심;피혜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9-61
    • /
    • 2021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while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s indicated ab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nduct future studies. Furthermore, results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technology.

기초간호과학 해부학 교육에서의 팀기반 학습 효과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natomy Subject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 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98-7108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기초간호과학 해부학교육에 팀기반 학습이 학습태도,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이다. 해부학 교과목을 수강한 145명을 6~7명의 팀을 나누어 팀기반 학습을 12주간 시행하여 교과목 수강전후 설문조사와 팀기반 학습에 대한 적용에 대한 반구조적인 면담술을 하였다. 양적연구는 SPSS WIN 18.0 을 이용하여 빈도,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질적연구는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동기(t=-2.97, p<.003)와 자기주도적 학습력(t=-2.40, p<.018)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학습태도,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팀기반 학습을 해부학 수업에 효과적인 교육법이며 추후 타 교과목에서의 팀기반 학습 적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 고등학생의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impact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 항항붕;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223-231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 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학습몰입, 행복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젠더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학습몰입은 젠더 및 학업성취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젠더가 조절 매개하였다. 즉,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증진을 위하여 그릿과 학습 몰입의 활용을 젠더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전략 검사결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Learning Strategies between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and Averag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김유미;류성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7-239
    • /
    • 2010
  •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최근연구 경향과 요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초등수학영재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학습전략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영재들이 일반학생보다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 초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의 활용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영재의 경우 성별에 따라 자원관리전략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며, 일반학생은 성별에 따라 학습동기에서 차이가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습동기 및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수학영재는 학습 동기, 자아효능감, 인지 초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사이의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일반학생의 경우도 인지 초인지전략과 자원관리전략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으나,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인지 초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사이에서 모두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코로나 19 (COVID-19)로 인해 온라인 전공 수업을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Flow of Health Science Students Taking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 구상미;강문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81-89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전공 수업이 학업스트레스, 학습 만족도,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보건계열 전공자 129명으로 2020년 11월 15일부터 2020년 12월 22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학습만족도(r=.-78, p<.001), 학습몰입(r=.-70, p<.001)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7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온라인 수업 시 과제 분량, 지난 학기에 이수한 온라인 실습 교과목의 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61.0%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전략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between Online Learning Patterns and Learning Effects in the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이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57-562
    • /
    • 2020
  • 코로나19로 인해서 비대면 강의환경에서 온라인 학습이 교육환경의 주요 학습기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온라인 학습패턴이 학업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동영상 학습횟수와 시간을 주요 요소로 두고, 매 학습에 대한 형성 평가와 함께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바탕으로 학습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대학에서 예체능 학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교양 과목 중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실제 학생들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매주 실시한 형성 평가와 학습회수, 학습 시간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와는 평소 학습회수(r=.39 p<0.05)와 학습 시간(r=.42 p<0.05)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 진행 과정에서 SMS 문자, 게시판, 메일 등의 요소는 모든 학생이 접하지 못하여 제외하였으므로,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학습자 패턴을 분석하고 연구한다면 학습자들의 요구와 학습효과를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Learning Immersion, Sociality and Morality

  • Hong, Sunyeub;Park, Gangwoo;Kim, Tea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23-29
    • /
    • 201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learning immersion, sociality and morality of college students and the present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learning immersion, sociality and morality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45 freshman,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at a college located in the Gyeongbuk regio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5 to 18, 2017. upon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earning immersion and sociality and between learning immersion and morality, indicating that the learning immersion decreased as the sociality or morality increase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ity and morality, indicating that those who have a higher degree of sociality have a higher level of morality.

문제중심학습에서 내재적 동기와 학습 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problem-based learning)

  • 김혜령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8-2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Fundamentals of nursing as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we identified the intrinsic motivations of 114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problem-based learning using the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The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intrinsic motiv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Results: The group with higher intrinsic motivation showed higher scores in all domains of self-assessed learning outcomes than the lower group. It was the 'Relatedness with an instructor'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domains of intrinsic motivation. Conclusion: Problem-based learning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cultivating the competencies needed for nurse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problem-based learning. For the efficiency of problem-based learn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nd apply autonomy-supportive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플립러닝학습법(Flipped learning)이 응급구조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 이영아;김효실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9-11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based physical assistant skills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ology(EMT) students. Methods: 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Flipped learning was carried out for 2 hours per week for 16 week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6 EMT students from March 3 to June 16, 2016.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After completion of flipped learning,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self-directed learning(t = 6.04, p < .001), academic achievement($3.25{\pm}.79$) and academic achievement((t = 6.41, p < .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Flipped learning is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the EMT students.

Emotional Correlation Test from Binary Gender Perspective using Kansei Engineering Approach on IVML Prototype

  • Nur Faraha Mohd, Naim;Mintae, Hwa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68-74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 of users' feelings from a gender perspective toward interactive video mobile learning (IVML). An IVML prototype was developed for the Android platform allowing users to install and make use of the app for m-learning purposes.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level of feelings toward the IVML prototype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perspectives, identify the most responsive feelings between male, and female users as prominent feelings and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user-friendly feeling tra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accordance with gender attributes. The feelings response could then be extracted from the user experience, user interface,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based on gender perspectives using the Kansei engineering approach as the measurement method. The statistical results demonstrated the different emotional reactions from a male and female perspective toward the IVML prototype may or may not have a correlation with the user-friendly trait, perhaps having a similar emotional response from one to an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