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porate consulting marketing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기업상담에 대한 기업경영 전문가의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믹스 연구 (The Perception of Corporate Management Experts on Corporate Counseling A Study on Marketing Mix for Revitalization)

  • 나상훈;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1-8
    • /
    • 2022
  • 기업상담이 기업수익에 기여하고 근로자의 효과적인 복지향상이라는 연구결과들로 많은 기업들이 운영 및 도입하고 있는데 상담을 제공하는 기업입장에서 연구한 자료는 부족하여 기업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믹스에 대해 기업경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로 첫째, 기업상담에 대해 기업경영 전문가들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기업상담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마케팅 7P믹스는 무엇인가? 셋째, 마케팅 7P믹스에 대해 기업경영 전문가들 간에 중요도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양적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경영 전문가들은 기업상담의 도입의향과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지니며 분야별로는 생산관리보다 마케팅이 높았다. 상담모델은 외부모델을 선호하며 대상기업으로는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산업으로는 서비스업과 제조업을 선택하였다. 주제로는 대인관계와 직무스트레스 등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가격믹스, 제품믹스, 사람믹스, 프로세스믹스 등이 중요한 마케팅믹스라고 인식하고 있는데 기업은 가격믹스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셋째 촉진믹스와 프로세스에서 기업경영 전문가들 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마케팅은 촉진믹스를 재무관리는 프로세스믹스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제외한 믹스들은 분야별 차이가 없어 마케팅믹스에 관한 인식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상담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믹스의 시사점을 기업측면에서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수출 중소기업의 온라인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Promotion of Online Commerce in Exporting SMEs)

  • 정복훈;정진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5-343
    • /
    • 2019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성화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부의 온라인 수출지원 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의 무역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내부역량은 온라인 마케팅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수출마케팅 컨설턴트의 역할이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보다 중요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활용을 위해 첫째, 중소기업의 무역역량 확대. 둘째, 사업수행 기업의 무역컨설팅 역량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참여기업 및 수행기업의 무역컨설턴트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소기업의 온라인마케팅 활용에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기업과 정책적 노력이 더해져서 중소기업의 수출확대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온라인수출지원 사업에서 컨설턴트의 역량과 서비스품질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s' competency and service quality on performance in Untact online export support business)

  • 이현준;정진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119-128
    • /
    • 2020
  • 산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수출중소기업에게 위기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역할변화에 대응한 해외마케팅지원 사업, 특히 온라인마케팅 지원의 효과적인 수행요인 중 컨설팅관련 사항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온라인 수출지원 사업 참여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진행한연구결과, 컨설턴트의 역량과서비스품질이 모두 지원사업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원사업의 만족도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만족도는 일부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변화하는 수출환경하에서 지원사업의 성과달성을 위해서는 컨설턴트의 역량과 서비스품질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수출지원사업의 개선에 필요한 실체적 요인의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추후 요인별로 역량강화 방안에 대한 추가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중소기업 해외마케팅지원사업의 활용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use and performance of SMEs' overseas marketing support projects)

  • 정복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19-227
    • /
    • 2020
  • 4차 산업혁명 등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중소기업에게 위기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지원사업의 개선과 확대에 힘쓰고 있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역할변화에 대응하는 해외마케팅지원사업의 효과적인 수행요인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수출지원 사업신청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역량, 지원기관의 지원품질, 수행컨설턴트의 역량이 모두 지원사업의 활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원사업의 활용도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변화하는 수출환경하에서 지원사업의 성과달성을 위해서는 지원기관과 컨설턴트, 기업의 3자에 대한 역량강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수출지원사업의 개선에 필요한 실질적인 요인의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요인별 역량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중소기업의 현지브랜드 개발과 브랜드 컨설팅 프레임워크: 정부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Local brands development and brand consulting framework for SMEs: Governmental supporting programs)

  • 김귀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45-1855
    • /
    • 2010
  • 해외진출기업의 브랜드 개발을 위한 브랜드 컨설팅은 현지의 시장 및 소비자 분석, 그리고 기업의 역량 및 자원에 대한 진단을 포함한 내외부의 환경 분석에서부터, 브랜드 전략의 수립, 브랜드 컨셉의 개발, 그리고 디자인 개발에 이르기 까지 제품의 해외 런칭 이전에 선행되는 많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해외진출 브랜드 컨설팅은 브랜드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국제마케팅, 디자인, 그리고 국내외 상표권 전문가들의 공동노력이 이루어질 때만이 성공적인 수행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외진출기업의 브랜드 개발, 특히 기업역량이 대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으로 평가되는 중소기업의 비영어권 국가 진출 시 현지브랜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브랜드 컨설팅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현지브랜드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년간에 걸친 시행착오를 거쳐 현장에서 이루어진 브랜드 컨설팅 프레임워크는 현지브랜드 컨설팅을 수행하는 브랜드 전문가뿐만 아니라 해외진출 브랜드 컨설팅을 의뢰하는 중소기업들에게도 상당히 의미 있는 지침이 되리라고 기대한다.

창업가역량과 창업보육 프로그램 지원이 기술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업 역량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s on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 김진한;조진형;이세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2-142
    • /
    • 2020
  •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ursuing various support policies to foster start-ups national widely in order to secure new economic growth engin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diffusion strategy for the 2'nd round Start-up Boom in March 2019 and is promoting the support policies for start-up incubating by various programs. Many incubators and startup accelerators operate various kinds of programs to foster start-ups us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technical capability of entrepreneurs as the internal factors of the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the effects of progra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s an external factor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compan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re competence of start-up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ship, technical capability and the programs supported by incubators or accelerators had no direct effects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but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mpany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addition, the type of program supported by the comprehensive accelerator programs or the marketing supports had effects on the core competence rather than simple financial supports. Lastly, the policy proposals for incubating program suppor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long with the limitation are suggested.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port Service of Gyeonggi-do Cultural Contents Area Business Incubating Center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Business Validity of Business Start-Up Items)

  • 홍대웅;이일한;손종서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4호
    • /
    • pp.47-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의 창업보육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보육 서비스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창업보육 서비스는 전통적인 물리적 서비스에서 비물리적 서비스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창업보육 서비스 유형들 중에서 실제 창업보육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의 창업보육센터의 서비스와 입주기업의 성과와의 관련된 연구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분야의 기업 관점에서도 유의미한지 재 검증해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창업아이템의 사업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창업보육 서비스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창업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2016년 10월 14일부터 31일까지 18일 동안에 총 180부를 배포하여 178부 중 30부를 제외하고, 14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표본의 특성을 파악한 후,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PLS(Partial Least Square)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서비스, 경영지원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경영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결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팬 시민행동이 스포츠마케팅 성과 간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n Citizenship And Sports Marketing Achievement)

  • 윤대홍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125-147
    • /
    • 2018
  • 본 연구는 팬시민행동이 스포츠마케팅 성과 간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로 부산지역 롯데자이언츠 팬을 대상으로 2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05부의 설문지를 최종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SPSS 25.0과 Smart PLS 2.0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총 17개의 기설 중 4개의 가설(가설 5-3, 가설 6-1, 가설 6-2, 가설 6-3)을 제외하고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팬시민행동은 구단자산(가설 1), 스폰서 자산(가설 2), 지역 자산(가설 3)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구단자산은 스폰서 자산(가설 4)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이미지(가설 5-1), 지역사회기여(가설 5-2)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적 교류(가설 5-3)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폰서 자산과 지역자산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기업이미지는 지역 자산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기업인지도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팬 시민행동이 스포츠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객의 비재무적 가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타겟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Network Targeting Using the Non-financial Value of Customer)

  • 김진;오윤조;박주석;김경희;이정현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2호
    • /
    • pp.109-128
    • /
    • 2010
  • 본 연구는 소비자 간에 형성되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데이터 기반의 마케팅 기법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비재무적 가치를 찾아내고, 이를 마케팅에 적용함으로써 마케팅 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인식과 구전 효과에 큰 영향을 받으며, 관여도가 높은 에센스 화장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에센스 소비자의 세분시장은 여러 개의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각 네트워크 내에는 연결(degree centrality) 및 매개중심(closeness centrality)이 되는 소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번째, 연결 및 매개 중심성이 높은 고객들이 주변 고객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기업의 수익을 촉진시키는 비재무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국외산 제품별 및 인구통계적 특성별로 에센스 화장품 소비시장의 네트워크 구조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네트워크 타겟팅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특성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혁신활동과 사업성과 극대화 요인의 우선순위 연구 (A Study on Priority of Innovation Activity, Business Performance and Maximization Factors of SMEs.)

  • 김치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36-4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혁신활동과 사업성과 극대화 요인의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이다. 각 정부부처별 지원사업이 다양한 산업별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기업에 보조금, 지원금 및 마케팅, 기획, 교육등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고 각 기업들 또한 이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지원사업의 참여요인 즉, 기업혁신활동에 따라 사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혁신활동의 우선순위를 AHP기법을 이용해 분석하고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업혁신활동의 계층구조는 '연구개발'과 '정부지원'으로 하였으며, '내부R&D, 외부R&D, 공동R&D'를 연구개발의 하위요인으로, '자금지원, 금융지원, 조세지원'을 정부지원의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R&D정부지원을 1회 이상 받아 본 기업대상 분석결과, 정부지원(72.1%)이 연구개발(27.8%)에 비해 중요함을 알 수 있으며, 하위요인의 경우 자금지원(30.1%), 조세지원(22.7%), 금융지원(18.8%), 내부R&D(10.8%), 외부R&D(10.3%), 공동R&D(7.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소기업의 사업성과 극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연구개발과 정부지원의 세부혁신활동 우선순위가 제품혁신 및 공정혁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정부지원사업에 참여하고자하는 중소기업들의 혁신활동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기업혁신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CEO들에게 결정요소간 전략적 우선순위를 제안하여 효율적으로 기업을 혁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