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ng

검색결과 5,259건 처리시간 0.034초

콘텐츠 이해도 강화를 위한 전시방식에 관한 연구 - 국내 댐 전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hibition Method to Enhance the Visitors' Understanding Contents - Focus on the Domestic Dam Exhibition Centers -)

  • 이주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96-204
    • /
    • 2010
  • Human beings are having suffered from the unexpected climate changes which are caused by global warming leaded from air pollution. More than 3 billions of people will be forced to experience insufficient water in 2015. In Korea, over 70% of precipitation has been concentrating in Summer season. Furthermore, natural disasters has been occurred constantly all over the country. The unusual flood and drought have broken out not only victims but also, property damages. By the natural condition, the effective consuming and controlling system of water is going to be the core business field and constructing dams will be encouraged and promoted for the system. To convince the objectionable against the constructing dams, a dam exhibition center stands the very important position by being responsible for the presenting positive factors and highlighting the beneficial functions. The dam exhibition center is built as complex space combined by information center regarding water resources and visitor center for the community nearby the inundated area. Combined of the different purposes, the dam exhibition center can be confused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contents established in the space. To enhance the visitors' understanding contents of the dam exhibition center,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tents are being analyzed with existing centers and define the most effective exhibition methods between the spaces and visitors.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quantitative analysis data for the following design works those can get the better insight how to make visitors to get information and agreement of constructing dams effectively.

의복 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Images: Their Constructing Factors and Evaluative Dimensions)

  • 정인희;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9-391
    • /
    • 199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constructing factors and the evaluative dimensions of clothing images.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0 words expressing clothing images was developed, and eight clothing photographs were selected as stimuli. 298 female subjects aged between 22 to 37 responsed to the 110 words for two photographs during September in 1991. After survey, 110 words were reduced to 62 words based on their independence,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6 factors-grace, modernity, unattractive- ness, activeness, dressiness, and youthfulness were found out as constructing factors of clothing images. One additional interest was the effect of design line to the formation of clothing images. ANOVA identified that curved line designs were perceived to be more graceful, modern, dressy, and youthful, and straight line designs were perceived to be more unattractive and active. The other interest was the effect of image factors to the total evaluation. So, regression was used. Consequent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total evaluation was found out as grace, followed by unattractiveness, modernity, youthfulness and activeness in a descending order. To identify the evaluative dimensions of clothing images, nine words of unattractiveness image factor were eliminated,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was employed. Here, three dimensions were judged to be appropriate to explain the result. The first dimension in the multidimensional space was the evaluation in 'mannish image versus feminine image'. The second was the evaluation in 'simple image versus decorative image'. The third was the evaluation in 'pastoral image versus urbane image'.

  • PDF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다면체 정의 구성 활동 분석 (The Analysis o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ctivities Constructing Definition of a Regular Polyhedron)

  • 고은성;이경화;송상헌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53-77
    • /
    • 2008
  • 이 연구는 정 다면체를 학습한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5학년 수학영재 21명을 대상으로 정 다면체의 정의를 구성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학생들은 조별로 교구를 사용하여 정 다면체를 직접 제작하고(활동1), 이들을 관찰하면서 그 특징을 기술한 뒤(활동2), 탐구한 내용을 토대로 정 다면체의 정의를 구성하였다(활동3). 학생들이 구성한 정 다면체의 정의를 분석하여 정다면체에 대한 완전한 정의를 구성한 경우와 불완전한 정의를 구성한 경우로 구분하고 각 경우들이 수학적 정의의 필수 조건에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정 다면체를 관찰할 때 주목하는 요소와 학생들이 구성한 정다면체의 정의를 통합 분석하여 정의 구성 활동에 미치는 수학적 사고 요소와 수학영재 교육에의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쇄석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통계학적 분석 (Constructing Database and Probabilistic Analysis for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Aggregate Pier)

  • 박준모;김범주;장연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8호
    • /
    • pp.25-37
    • /
    • 2014
  • 국내 외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의 저항계수 보정 시 수집된 데이터베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항편향계수 산정 단계에서 저항편향치의 ${\pm}2{\sigma}$ 범위의 데이터만을 선택하거나 가정된 확률분포 검정을 만족하도록 꼬리(tail)부분의 데이터를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우연히 포함된 저품질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재하시험의 품질, 원지반의 공학적 특성, 쇄석다짐말뚝의 제원 등의 품질기준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는 품질평가법을 제안하였으며, 국내 외 문헌 및 정재하시험 보고서로부터 65개소의 정재하시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품질평가를 수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의 품질 평가 상태에 따른 저항편향계수와 변동계수, 저항계수를 비교한 결과,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처리과정과 품질평가법을 병행할 경우에 저항편향계수의 불확실성이 감소되며, 신뢰도 높은 LRFD 저항계수 보정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가상공간지도 기반의 3차원 가상공간 저작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uthoring Tool for 3D Virtual Space Based on a Virtual Space Map)

  • 정일홍;김은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7-186
    • /
    • 2006
  • 이 논문은 입력 영상에 대해 기존의 영상기반 렌더링 기법을 적용하고 가상공간지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실적인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저작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고 있다. TIP 같은 기존의 기법들은 단일 영상을 사용하여 작은 3D가상공간을 구축하는 반면 여기서 제안하는 저작도구는 복수의 영상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가상공간을 구축한다. 이 저작도구는 입력영상 각각에 대해 작은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먼저 정의된 가상공간지도를 사용하여 이 독립적인 3D가상공간을 서로 연결하여 광범위한 3D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가상공간지도는 세 가지 구성요소와 세 가지 방향으로 구성되어있다. 세 가지 구성요소는 특정 공간, 연결점 및 통로이고, 세 가지 방향은 정방향, 역방향 및 양방향이다. 가상공간지도는 가상공간의 연결구조, 네비게이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저작도구는 사용자가 광범위한 3차원 가상공간을 쉽게 구축할 수 있게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 PDF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Spatial DB for Developing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 Network)

  • 김경탁;최윤석;김주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7-96
    • /
    • 2004
  • 유역의 공간 DB를 DEM을 이용하여 구축할 경우에는 DEM으로부터 유역의 수문학적 지형특성 인자를 손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들이 자동으로 공간 DB의 속성으로 입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반정보인 프레임워크 공간 DB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롤 위하여 프레임워크 공간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들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실제 유역을 대상으로 프레임워크 공간 DB률 구축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순수 국내기술로 수자원 공간자료 생성 및 수자원 시스템 개발 모듈인 HyGIS(Hydrolog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개발하였다. HyGI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 및 공간자료를 추출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실제 유역의 프레임워크 공간 DB를 구축하는 기본 데이터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유 네트워크에서 공유대역폭 트리 구성을 위한 선형 시간 알고리즘 (A Linear Time Algorithm for Constructing a Sharable-Bandwidth Tree in Public-shared Network)

  • 정균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3-10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공유 네트워크에서 최소 공유대역폭 트리 구축 문제의 근사해를 구하기 위한 선형 시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공유 네트워크는 자신이 소유한 AP의 일부 대역폭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사용자가 생성하는 통신 기반 구조로 사용자는 이러한 공유 AP를 통해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최근에 공유 네트워크에서 SVC 기술을 사용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는데 서버로부터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비디오 스트림을 보내기 위해서는 트리 구조를 만든다. 클라이언트의 비디오 스트림 요구를 전부 만족시키는 트리 구조를 생성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공유 AP의 공유대역폭의 합이 최소가 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최소 공유대역폭 트리 구축 문제는 NP-하드임이 증명되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발표된 알고리즘들은 해를 잘 찾지 못하거나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해를 찾는 성공률이나 해의 결과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미래 한국군 군사력 건설방향에 대한 연구 - 북한 핵위협과 주변국 위협대비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direction of future Korean military force establishment -focus on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nd neighboring countries' counter military threat operation-)

  • 김연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21
    • /
    • 2014
  • 한국은 과거처럼 국제관계의 예속자가 아니라 명실상부한 중견국으로서, 북한의 핵과 재래전 도발위협을 극복하고 동북아지역의 평화를 유지하는 '균형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군사력을 건설해야 한다. 군사력 건설을 통해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한 억제력 발휘가 가능하다. 군사적 억제력 발휘를 위해 첫 번째로 '선제적 억제'(deterrence by preemptive)와 '응징적 억제'(deterrence by punishment)는 현재와 미래의 위협에 대비하여 '감시정찰체계와 지휘통제체계'(C41SR)를 공통전력으로 공격무기체계를 결합한 '공격체계 축'을 건설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거부적 억제'(deterrence by denial)는 공통전력과 방어무기체계를 결합한 '방어체계 축'을 건설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주적으로 첨단전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위산업과 연구개발 역량을 통합하여 '인프라 축'을 구축해야 한다. 우리는 미래 한국군의 군사력을 건설함에 있어서 정부의 균형자 역할에 대한 국가적 비젼, 이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토대로 본고에서 제시한 군사력 건설 모형에 따른 일관성 있는 정책적인 노력과 신념이 반드시 필요하다.

1924세대용 브래지어 원형개발 및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Brassiere Pattern and a Grading Method for the 1924 Generation)

  • 오송윤;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3-64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rassiere patterns which are both fitting and functional for women aged 19 to 24(the 1924 generation). We suggested a 'size chart for body measurements' for constructing basic brassiere patterns with six sizes of '70, 75', 'AA, A, B cups', which are used most frequently by the 1924 generation consumers. The scope of research was in reference to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the Size Korea(2004) body measurements and the results of the data from the preceding research. The 'drafting method for constructing basic brassiere patterns for the 1924 generation consumers' was completed by selecting a total of 18 subjects, 3 for each six sizes in the scope of research, and three wearing tests were carried out with the subjects. We compiled one brassiere pattern in six sizes obtained with the drafting method of constructing a basic brassiere pattern on another by block pattern in order to observe the phase of change in dimensions and shapes of paper pattern. The result was converted into the variations of a x-axis and a y-axis, and we suggested 'Size Grading Rule' and 'Cup Grading Rule' for the basic brassiere patterns. As the results of the wearing evaluation of the basic brassieres and measuring the variation in body dimensions by wearing brassieres, the dimensions and shapes of the basic brassieres suggested in this research proved to be fitting and to have a wearing effect that brings together and supports the breasts.

모바일 기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3D전래동화 콘텐츠 연구 (3D Graphic Nursery Contents Developed by Mobile AR Technology)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25-213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기술 기반을 활용한 3D전래동화 콘텐츠에 관한 연구이다.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콘텐츠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공간을 연결하는 SW기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전래동화를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자막언어선택으로 외국어학습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 AR게임(놀이)으로 재구성하였다. 전래동화는 3D 콘텐츠 제작을 위해 6~8개의 scene으로 분량을 구성하고, 각색하여 번역하였다. 더빙은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 성우를 통해 표준발음을 사용하여 더빙하였고, 효과음은 장면에 어울리도록 별도 제작하여 편집하였다.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3D 모델구성, 인터렉션 구성, 사운드 이펙트를 구성하고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작성한 후, Unity 3D 게임엔진을 실행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스크립터로 기술한다. 재미있고 유익한 전래동화를 ICT기술을 접목한 융복한 콘텐츠로 경험하면서, 첨단기술기반 교육을 수용하며, 생활주변에서 소프트웨어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