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Authoring Tool for 3D Virtual Space Based on a Virtual Space Map

가상공간지도 기반의 3차원 가상공간 저작도구의 개발

  • 정일홍 (대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은지 (대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06.05.01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certain highly efficient authoring tool for constructing realistic 3D virtual space using image-based rendering techniques based on a virtual space map. Unlike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TIP, for constructing a small 3D virtual space using single image, the authoring tool developed herein produces a wide 3D virtual space using multiple images. This tool is designed for constructing each small 3D virtual space for each input image, and for interconnecting these 3D virtual spaces into a wide 3D virtual space using a virtual space map. The map consists of three elements such as specific room, link point and passageway, and three directions. It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connection structu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so on. Also, the tool contains a user interface that let users construct the wide 3D virtual space easily.

이 논문은 입력 영상에 대해 기존의 영상기반 렌더링 기법을 적용하고 가상공간지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실적인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저작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고 있다. TIP 같은 기존의 기법들은 단일 영상을 사용하여 작은 3D가상공간을 구축하는 반면 여기서 제안하는 저작도구는 복수의 영상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가상공간을 구축한다. 이 저작도구는 입력영상 각각에 대해 작은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먼저 정의된 가상공간지도를 사용하여 이 독립적인 3D가상공간을 서로 연결하여 광범위한 3D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가상공간지도는 세 가지 구성요소와 세 가지 방향으로 구성되어있다. 세 가지 구성요소는 특정 공간, 연결점 및 통로이고, 세 가지 방향은 정방향, 역방향 및 양방향이다. 가상공간지도는 가상공간의 연결구조, 네비게이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저작도구는 사용자가 광범위한 3차원 가상공간을 쉽게 구축할 수 있게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