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 of figure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1초

수학교육에 있어서 각의 개념 지도 방안 (On Teaching of the Concept of Angle in Education of Mathematics)

  • 박홍경;김태완;정인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5-100
    • /
    • 2005
  • 최근 저자들은 수학교육에서 수학사의 적극적인 활용과 수학지도의 순서를 결정하는 문제에 관해 연구하였다 수학지도의 순서로는 역사적 순서, 이론적 체계, 강의적 체계 순서의 세 유형이 제안되었다. 강의적 체계 순서는 역사적 순서와 이론적 체계의 결합이며 그 결합은 본질적으로 교사 개개인의 교육적 가치관에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각의 개념에 관해 수학지도의 순서에 대한 결정문제를 다룬다. 실제 각의 개념은 도형의 개념에 관계하여 정의되기 때문에 도형의 개념에 관한 수학지도 순서의 결정 문제도 함께 다루어진다. 먼저, 수학사를 통해 도형의 개념의 역사적 순서를 조사한다. 다음에 도형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수립한다. 이러한 기초적인 자료로부터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도형의 개념의 강의적 체계 순서를 제시한다. 끝으로 제시된 도형의 강의적 체계 순서에 따라 각의 개념에 대한 강의적 체계 순서를 노의한다. 또한 가우스$\cdot$보네 정리와 관련하여 각의 대역적 성질에 관해서 고찰한다.

  • PDF

효율적인 공간도형의 방정식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Equation of Figure in Space Effectively)

  • 김일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59-67
    • /
    • 2000
  • Two groups of students, who are the students in the natural science course of high school in Korea, learned the equation of figure in space (point, line, plane) to understand more effectively with two different textbooks. One group was taught with the textbook used now in most high schools and the other group was taught with the textbooks systematized by associating old concept with new concep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We need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vector plainly and flexibly to apply it to the solution of problems. 2) It helps students understand new concepts how we should establish the concept about point, line and plane in space by applying the concept about those on XY plane, 3) It is very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new knowledge system more easily to analyze the existent concepts and to arrange them systematically for efficient understanding of new concepts. 4) The texts which consist of contents organized by basic concepts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 PDF

Exploration and Analysis of "Integration of Chinese and Western Cultures" of Chinese Realistic Ink Wash Figure Painting

  • Guo Yu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04-211
    • /
    • 2023
  • Chinese figure painting is the earliest type of painting to be mat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After its peak in the Jin and Tang dynasties, Chinese figure painting turned into a low tid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y Fourth New Culture Movement's concept of "introducing the Western culture into China", realistic ink wash figure painting emerged, which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ainting. Realistic ink wash figure painting is a new kind of painting that combines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methods with concepts of Western scientific painting. With the mutual reconciliation of realistic modeling and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it makes up for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Chinese figure painting in reproducing life, thus forming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Chinese figure painting. Through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fusion of Chinese realistic ink figure painting with Chinese and Western, this paper accurately grasp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language, which is an important guide to the creation of Chinese realistic ink painting today.

Deep Lexical Semantics: The Ontological Ascent

  • Hobbs, Jerry R.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29-41
    • /
    • 2007
  • Concepts of greater and greater complexity can be constructed by building systems of entities, by relating other entities to that system with a figure-ground relation, by embedding concepts of figure-ground in the concept of change, by embedding that in causality, and by coarsening the granularity and beginning the process over again. This process can be called the Ontological Ascent. It pervades natural language discourse, and suggests that to do lexical semantics properly, we must carefully axiomatize abstract theories of systems of entities, the figure-ground relation, change, causality, and granularity. In this paper, I outline what these theories should look like.

  • PDF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도형의 높이 개념 이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Height Concept of Figures of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 임승현;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1-159
    • /
    • 2011
  •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도형의 높이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평면도형(삼각형,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입체도형(원뿔, 원기둥, 각기둥, 각뿔)의 높이 개념 이해에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로 학생들은 평면도형의 높이 측정에서 밑변이 수형하지 않은 도형에서 어려움을 나타냈고, 일상의 높이 경험과 연관되는 오류를 보이고, 높이 개념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에 관한 연구 - '형상'개념을 중심으로 - (Study on G. Deleuze's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 Focus Primarily on Concept of 'Figure' -)

  • 진기행
    • 철학연구
    • /
    • 제141권
    • /
    • pp.263-286
    • /
    • 2017
  • 들뢰즈의 철학은 넓게는 서양사상 전체를 지배해 온 플라톤주의와의 대결이며, 좁게는 표상적 사유 및 재현적 예술과의 대결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하자면 들뢰즈가 그의 사상 전체에 걸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재현의 관점이 아닌 비재현적 관점에서 사유하는 것, 그리고 사유를 그것의 재현적 이미지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었음은 분명하다. 들뢰즈가 어떻게 표상(재현)을 비판하고, 그것을 통하여 어떻게 근대적 사유를 극복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단순히 플라톤주의의 유산을 청산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동일성의 사유에 묶여 전체주의 사고의 노예로 전락한 현대인들의 모습을 직시하고 그러한 모습을 극복하여 유목적 사유, 해방적 사유로 나아가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들뢰즈의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진 재현에 대한 비판을 본 논문에서는 모두 살펴보지 않고, 범위를 좁혀서 그의 회화론을 통하여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려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들뢰즈는 "철학이란 개념들을 형성하고, 창안하고, 만드는 기술"이라고 명쾌하게 답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 중에는 '형상(figure)'이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감각의 논리"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상'개념을 정리하고, 그 발전과정을 추적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이 들뢰즈의 재현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흐름 속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전개도에 관한 교수학적 고찰 (Didactical Contemplation on the Development Figure)

  • 정영우;김부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85-301
    • /
    • 2014
  • 초등학교에서 처음 도입되는 전개도는 교육과정에서 목적적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한정된 개념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전개도의 정의도 하나가 아니다. 그리고 다루어지고 있는 소재들 사이의 정의 요소에 대한 비교 분석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전개도는 다양한 교수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단편적인 활용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과정 밖 교육소재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러한 교육적 학문적 매체의 전개도 정의를 고찰하여 전개도 정의를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전개도의 정의와 지도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교수학적 고찰 과정에서 대두된 세 가지 논점을 통하여 전개도의 본질적이해와 목적성 그리고 전개도의 교수학적 활용방안에 대해 생각해 본다.

  • PDF

JAVA 3D를 이용한 웹 기반 입체도형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Web based 3D Figure Learning Program Using JAVA 3D)

  • 김종민;주영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13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입체도형에 대한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웹 기반 입체 도형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입체도형 학습에 필요한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는 다양한 입체도형 학습기능을 개발함으로써 실제 수업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유용한 학습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연구와의 비교분석과 초등학교 학생들의 사용 평가를 통해 본 프로그램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함수 개념의 현상학 (Phenomenology of the concept of functions)

  • 유윤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5-90
    • /
    • 2010
  • 함수 개념을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측면에서 분석하면 인과, 명명, 연산, 변화, 도형, 형태, 변수, 범함수, 작용소 등 적어도 9가지의 양상이 존재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함수 개념은 현재 3단계로 성장해 왔다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