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G. Deleuze's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 Focus Primarily on Concept of 'Figure' -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에 관한 연구 - '형상'개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1.06
  • Accepted : 2017.02.22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It is well known to us that in its enlarged sense Deleuze's philosophy has confrontation with platonism that has dominated the whole western ideas, and in a narrow sense it is confrontation with representative thinking and representative arts. In other words, it's obvious what Deleuze h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his whole of ideas is to think not in a representative way but in a non-representational way and to disentangle thinking from its representative image. To examine the way how Deleuze criticize representation, and how he overcome modern ideas is not just to make a clean breast of platonic inheritance. Because they are essential for facing up to the actual circumstances of our contemporaries who have degraded servility of totalitarian thoughts under the thinking of identity, and furthermore, it is essential for overcoming this situation and proceeding to nomadic thinking, liberating thinking. This study is not intended to be a definitive account of all his criticism of representation. Because, as is well known, Deleuze's criticism of representation contains a wide variety. And so this study were limite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oints in Deleuze's position on representation as follows. How does Deleuze's criticism of representation has been developed in his theory of paintings? And what does it mean to us today? In this paper, I paid special regard to make sense out Deleuze's concept of 'figure' in his important writings that pertains to an analysis of his criticism of representation,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And having trac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figure', I want to understand the implicit meaning of the concept in constant flux of his critical thinking.

들뢰즈의 철학은 넓게는 서양사상 전체를 지배해 온 플라톤주의와의 대결이며, 좁게는 표상적 사유 및 재현적 예술과의 대결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하자면 들뢰즈가 그의 사상 전체에 걸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재현의 관점이 아닌 비재현적 관점에서 사유하는 것, 그리고 사유를 그것의 재현적 이미지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었음은 분명하다. 들뢰즈가 어떻게 표상(재현)을 비판하고, 그것을 통하여 어떻게 근대적 사유를 극복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단순히 플라톤주의의 유산을 청산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동일성의 사유에 묶여 전체주의 사고의 노예로 전락한 현대인들의 모습을 직시하고 그러한 모습을 극복하여 유목적 사유, 해방적 사유로 나아가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들뢰즈의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진 재현에 대한 비판을 본 논문에서는 모두 살펴보지 않고, 범위를 좁혀서 그의 회화론을 통하여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려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들뢰즈는 "철학이란 개념들을 형성하고, 창안하고, 만드는 기술"이라고 명쾌하게 답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 중에는 '형상(figure)'이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감각의 논리"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상'개념을 정리하고, 그 발전과정을 추적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이 들뢰즈의 재현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흐름 속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외국어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