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ational thinking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1초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비전공자의 인식 연구 (Non-Major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the Scratch Programming Language)

  • 오미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17
  • 컴퓨팅 사고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대학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 강좌로 오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학생들이 느끼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실제 수업 후 느끼는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주 동안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214명의 답변을 받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전공자 학생들의 74%가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전의 경험이 없었으며, 87%가 프로그래밍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69.7%가 프로그래밍 교육이 필요없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수는 수업 전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및 내용을 분명히 전달해야한다. 둘째, 필수보다는 선택교과목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셋째, 전공과의 통합 내용이나, 취 창업에 연계한 교육과정 및 내용 개발이 필요하다.

정보 교육이 과학고 학생들의 진로 개척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tics Education on Career Development Ability of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정웅열;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23
    • /
    • 2017
  •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정보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효율적인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인재상 중 하나가 진로 개척 능력을 가진 자주적인 사람임에 반해,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의 정보 교육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정보 교육이 과학고 학생들의 진로 개척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교육은 과학고 학생들의 진로 인식 및 진로 탐색 능력을 향상시키고, 진로 선택 및 자기주도적인 진로 준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중학교 정보 과목의 이수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 정보 교육의 필요성 및 정보 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정보교육학회 논문 분석 (The Analysis on the KAIE Articl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43-552
    • /
    • 2016
  • 최근들어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연구가 사회과학 영역뿐 아니라 자연과학 영역에 이르기까지 여러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교육분야 논문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R을 사용하여 정보교육학회 논문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분석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논문 데이터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어들은 IT 기술발전과 정보교육과정의 변화에 맞게 기간1에서는 CAI, 코스웨어 단어가, 기간2에서는 ICT 단어가, 기간3에서는 스마트, 스크래치 단어가, 기간4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코딩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또한, 추출된 단어들의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간1에서는 단조로운 연결망 형태를 보이다가 기간3부터 중심성이 높은 단어가 다양해짐을 볼 수 있어 연구주제가 복잡하고 구체화됨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화에 따른 대학 정보화 교육의 방향 (The Future Direc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in University according to Computerization)

  • 김동주;하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33-40
    • /
    • 2015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사회 전 분야에서 컴퓨터화가 진행 중이며, 소프트웨어는 모든 융복합 분야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 환경의 변화는 가치관의 변화와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국내 교육정책 또한 변화하고 있다. 머지않아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이 일상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소양으로서 코드 리터러시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 정보화 교육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채 사무용 응용프로그램의 단순 활용 능력의 배양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 대학교육에서 디지털리터러시의 배양을 위해 운영 중인 제도적 수단과 교육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 과정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교육 수준과 교육 내용에 따른 교육적 요소를 제시한다. 제시하는 교육적 요소는 3가지 교육 내용과 3단계 교육 수준을 결합하여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에서 코두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with KODU on Problem-Solving Abil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 홍태경;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두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다. 어린 학생들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좀 더 쉽고 편하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코두는 게임, 애니메이션과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응용을 개발하도록 만들어진 도구이다. 코두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들의 게임과 애니메이션 및 음악을 만들면서 문제해결력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코두를 활용하여 초등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하였다.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3개월간의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가졌으며 수업 후에 문제해결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SW 교육을 위한 로봇과 앱 개발 도구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Design a Programming Education Plan for SW Education Using Robot and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Tool)

  • 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15-624
    • /
    • 2014
  • 마트 기기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에 따라 사회가 크게 변화되고 있으며, SW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학습자들 또한 모바일 앱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한편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로봇의 활용은 흥미유발, 동기부여, 참여도, 성취도 제고의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W 교육을 위한 로봇과 앱 개발 도구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그리고 수업, 로봇, 앱 인벤터, 로봇과 앱 인벤터의 연동 등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네가지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흥미, 만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었다. 학습자들은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결과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스마트폰으로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 점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로봇과 앱 개발 도구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은 유용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Perception on SW Education of Students with Scratch-Day)

  • 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1-470
    • /
    • 2014
  • 본 논문은 스크래치데이 행사에 참여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SW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2013, 2014년에 실시된 스크래치 행사에 참여한 558명의 학생에게 창의컴퓨팅 교육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인식을 묻는 설문을 통하여 우리나라 SW 교육의 인식을 파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창의컴퓨팅 교육을 재미있고,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사용의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전에 스크래치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용성, 사용의도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는 창의컴퓨팅 교육의 재미, 용이성, 유용성이 학교교육에 적용해야 한다는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W교육이 초 중등 교육에서 필요하며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애너그램 문제 인지적 해결과정의 분자컴퓨팅 시뮬레이션 (Molecular Computing Simulation of Cognitive Anagram Solving)

  • 천효선;이지훈;류제환;백다솜;장병탁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00-705
    • /
    • 2014
  • 애너그램은 주어진 문자들을 재배열하여 숨겨진 단어를 찾아내는 철자바꾸기 놀이로, 문제를 빨리 풀어내는 사람들은 제약 만족 네트워크의 병렬적 탐색에 의해 문제를 해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지적 현상을 모델링한 분자 애너그램 풀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문자를 DNA 서열로 인코딩하고, 문자 DNA 가닥을 연결하여 바이그램과 단어 서열을 만들었다. DNA 혼성화, 연결, 젤 전기영동, 추출 연산을 수행해 문자와 바이그램 집합으로부터 답을 찾는 데 필요한 바이그램을 추출한 후, 추출한 바이그램과 단어 집합으로부터 다시 네 가지 DNA 연산을 반복하여 답을 찾는다. 분자 실험 결과 분자 컴퓨터는 정답인 단어와 오답인 단어를 구분해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인간의 병렬적 사고과정을 분자 컴퓨터로 모델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Domestic Articles)

  • 황지온;황성온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09-525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관련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난 4년간(2014-2017) 국내 주요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총 72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별로 연구방법과 연구주제를 살펴보고,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15년부터 관련 논문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중 연구유형에서는 양적연구와 그 중 실험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구대상으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삼은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를 7개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소프트웨어 관련 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로 주요 연구결과를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일본의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 분석을 통한 한국 대학의 교양 정보교육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toward the Liberal Arts Informatics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Korea through Standard Analysis of Japan's Liberal Arts Informatics Curriculum)

  • 김미정;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3-22
    • /
    • 2020
  • 본 연구는 일본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교양 정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J07-GE, J17-GE와 관련된 다양한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두 표준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개정판인 J17-GE가 반영하는 정보학에 대한 지식의 범위와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CS에 관한 교육과정 표준들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팅 사고력 관점과 일본 정보학 정의에 기반한 J07-GE, J17-GE를 통해 정보의 원리와 지식은 보편적인 교양으로서 전체 대학생의 역량을 길러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지식체계 뿐 아니라 시수, 방법 등에 대한 논의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 정보교육의 내실화 및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